철학/현대실천철학

Liezl(2013), “Virtue ethics and right action”, The Cambridge Companion to Virtue Ethics

현담 2022. 4. 3. 19:20

<목차>


0. Introduction (172-174)
1. A Qualified-Agent Account (174-181)
2. Agent-Based Virtue Ethics (181-187)
3. A Target-Centered Account (187-192)
4. Conclusion (192-194)

 

 

Introduction

 

“It seems [...] every normative theory should say something about right (and wrong) action. An account of right action is supposed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at, if anything, do all right actions have in common?’ and ‘What makes an action right?’”

 

“In addition, an account of right action is thought to have a practical purpose. [...] able to answer questions such as ‘Did the agent perform right action?’ and ‘What ought I to do in this situation?’”

 

*규범 이론이 답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주요 질문들

  - “모든 옳은 행위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무엇이 행위를 옳게 만드는가

  - “행위자는 옳은 행위를 수행하였는가?”

  - “이 상황에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이 질문들은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an account of right action)을 요구하고, 나아가 실천적 목적(practical purpose)을 지님

 

“To begin with, [...] ‘What do all right actions have in common?’ is not the same question as ‘What makes an action right?’ By answering the first question a theory provides [...] a substantive account of right action. Such an account allows us to correctly identify and assess certain actions as right. By contrast, the latter question calls for an explanatory account of right action, that is, an explanation of what the rightness of an action consists in.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 구별 1

  1) “모든 옳은 행위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2) “무엇이 행위를 옳게 만드는가

  ⇒ 1)은 특정 행위를 옳은 것으로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인 설명(substantive account)을 요구하고, 2)는 행위의 옳음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에 관한 내용적인 설명(explanatory account)을 요구함

 

“A second complication is that not all ethicists use the term ‘right action’ in the same way. Deontologists and consequentialists typically use ‘right’ to mean either permissible or obligatory, whereas ‘wrong’ is understood as synonymous with ‘impermissible.’ [...] By contrast, virtue ethicists primarily think in terms of acting well, of what is noble or ignoble, admirable or deplorable, good or bad.”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 구별 2

  1) 옳은 행위 = 허용되는 행위 or 의무적인 행위 / 그른 행위 = 금지되는 행위

  2) 옳은 행위 = 고결한 행위, 존경스러운 행위, 좋은 행위 / 그른 행위 = 비열한 행위, 개탄스러운 행위, 나쁜 행위

  ⇒ 1)은 옳음을 허용이나 의무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2)는 옳음을 좋음의 관점에서 이해

 

“Thirdly, we should take not of an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action guidance and action assessment. The statement, ‘X is a (or the) right action,’ is sometimes used to provide guidance, as a response to the question, ‘What ought one to do?’ At other times, however, it is used to assess or evaluate an action. Deontologists and consequentialists tend to think of these two functions as two sides of the same coin. [...] some virtue ethicists argue that [...] it is possible for an agent to do what he ought to do without thereby performing a right action.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 구별 3

  1) 행위 지도 = 행위 평가

  2) 행위 지도 행위 평가

  ⇒ 1)은 행위자가 해야 할 행위가 옳은 행위라는 입장이지만, 2)는 행위자가 해야 할 행위가 꼭 옳은 행위는 아닐 수도 있다는 입장

 

“A final complication is that one should not necessarily expect a criterion of right action, [...] a decision-making procedure that can be applied by anyone to render the correct result. [...] virtue ethicists argue that it is unrealistic to expect such a thing as a ‘theory of right action’ [...] Instead they te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quiring the virtues, most notably practical wisdom, in allowing us to deal with real-life problems.”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 구별 4

  1) 옳은 행위의 기준 = 옳은 행위를 산출하는 의사결정 절차

  2) 옳은 행위의 기준 옳은 행위를 산출하는 의사결정 절차

  ⇒ 2)1)을 도덕적 의사결정의 복잡성을 고려했을 때 부당하다고 비판. 2)에서 일부 공리주의자들은 특히 긴급한 경우에는 공리주의 원칙에 따른 고심보다는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 것이 오히려 공리를 증진하는 데 효과적이라 주장. 2)에서 덕윤리학자들은 실생활의 문제들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지혜로 대변되는 덕을 획득해야 한다고 주장.

 

“In what follows I discuss three virtue ethical accounts of right action, namely a qualified-agent account, an agent-based account, and a target-centered account. In examining each of these it will be helpful to consider (1) whethere it is a substantive or an explanatory account of right action, (2) the sense in which it uses the term ‘right action,’ and (3) whether it distinguishes between making the right decision (action guidance) and performing a right action (action assessment).”

 

*논의의 대상 : 3가지 옳은 행위에 관한 덕윤리적 설명

  1)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a qualified-agent account)

  2) 행위자 기반 설명(an agent-based account)

  3) 목표 중심 설명(a target-centered account)

 

*논의되는 문제

  1) 그것이 옳은 행위에 관한 실질적(substantive) 설명인지 이유를 밝히는(explanatory) 설명인지

    ←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 구별 1 참고

  2) 그것이 옳은 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방식은 어떠한지

    ←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 구별 2 참고

  3) 그것이 행위 지도와 행위 평가를 구별하는지

    ←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 구별 3 참고

 

A Qualified-Agent Account (Rosalind Hursthouse)

 

*옳은 행위에 관한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

 

“[V] An action is right iff it is what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

 

*옳은 행위에 관한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 부연

  - virtuous agent : one who has and exercises the virtues

  - virtue : a character trait a human being needs to flourish or live well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의 특징

  - substantive rather than an explanatory account of right action, it does not hold that an act is right because it is what virtuous person would do (구별 1 참고)

  - pluralistic view, denies that there is a single right-making feature that all right acts have in common (akin to the view held by deontologists such as W.D. Ross) (구별 4 참고)

 

*비극적 딜레마 상황

  - 비극적 딜레마 고려 이유 :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과 의무론의 중요한 차이들이 명확히 드러남

  - 비극적 딜레마 : when an agent is forced to make a choice between two or more terrible actions, “terrible” in the sense that they involve, for example, causing a great amount of suffering, breaking a promise or killing someone.

 

*비극적 딜레마

 

“She mentions Bernard Willams’ well-known case of Jim and Pedro as a possible example. Whether Jim kills one peasant, or refuses and allows the twenty to be killed, he would be doing something that can only be described as ‘terrible.’ But is he forced to do something terribly wrong? Consider (W), which is the corollary of (V):

 

[W] : An act is wrong iff it is what a vici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

 

Now, it looks like Hursthouse will have to say that Jim acts wrongly, whatever he does. However, she resists this conclusion by denying that a statement such as ‘Jim kills a peasant’ provides an accurate description of what the agent does. The way in which he acts, his feelings, attitudes, and motives are all part of his action. [...] he is not forced to act wrongly, for he does not act indifferently or gladly, as the vicious do, but with immense regret and pain.”

 

“[...] she believes a virtuous agent cannot perform a right action when faced with a tragic dilemma. She therefore adds a qualification to her original specification of right action (V), namely: ‘... except for tragic dilemmas, in which a decision is right iff it is what [a virtous] agent would decide, but the action decided upon may be too terrible to be called ’right’ or ‘good’

 

“A right action, then, is not equivalent to ‘what ought to be done’ but is ‘an act that merits praise rather than blame, an act that an agent can take pride in doing rather than feel unhappy about, the sort of act that decent, virtuous agents do and seek out occasions for doing.’”

 

*비극적 딜레마에 관한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

  - Jim은 강제로 그른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닌데, 왜냐하면 Jim은 사악한 행위자가 그러하듯 무심하거나 즐거이 그 행위를 수행하지 않고 엄청난 후회와 고통을 가지고 그 행위를 수행하기 때문

  - 그렇다고 Jim은 옳은 행위를 하는 것도 아닌데, 왜냐하면 그것은 덕스러운 행위자가 수행할 행위이기는 하나 행위자의 삶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행위이기 때문 (Rossian 의무론자는 주어진 상황에서 우세한 의무를 그것이 무엇이든 따라서 행위한다면 옳은 행위라고 주장할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

  ⇒ 올바른 결정(right decision) 또는 해야만 하는 행위(doing what one ought to do)가 꼭 옳은 행위(right action)는 아니라는 입장. (구별 3 참고)

  ⇒ 옳은 행위는 칭찬받을만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고, 덕스러운 행위자가 노력을 기울여 하고자 하는 행위로 보아야 함. (구별 2 참고)

  ⇒ 인간은 도덕적 운에 취약함(vulnerable to moral luck)을 인정함. 그 상황에 빠지는 것이 인간 자신의 잘못은 아님에도 인간이 옳은 행위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는 것.

  ⇒ 유덕한 동기는 옳은 행위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님 (이러한 Hursthouse식 설명을 매력적이지 못하다고 느끼고 행위의 옳음을 오로지 행위자의 의도로만 판단하고자 하는 관점도 있음. 이러한 이론은 다음 섹션에서 살펴볼 것임.)

 

Q : “Hursthouse claims that some tragic dilemmas are resolvable; the virtuous agent will see that one alternative is preferable to the other.”에서 resolvable한 기준이 무엇인가?

A : 기준을 정확히 서술하고 있지는 않지만, 적어도 비극적 딜레마 1 상황에서는 한 명을 죽이는 것이 열 명을 죽이는 것보다는 선호할 만한 선택지이며 따라서 해당 딜레마는 resolvable tragic dilemma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임.

 

*바람둥이 딜레마

 

“Let us now look at a different kind of moral dilemma, [...], namely where an agent finds himself in the situation because of some character defect or past wrongdoing. Hursthouse’s example is of a man who has impregnated two women, A and B, and can now marry and support only one. Imagine that B finds another suitor who is happy to support both her and the child, so that it would clearly be worse to abandon A.”

 

“Hursthouse responds that [V] does allow for action assessment, it tells us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 philanderer to perform a right action. [...] This response has not completely satisfied her critics, however. Robert Johnson argues that it is intuitively plausible that a nonvirtuous agent can perform a right action even if he cannot do what a virtuous agent would do.”

 

*바람둥이 딜레마에 관한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

  A) 덕스러운 행위자는 애초에 이러한 상황에 처할 일이 없으므로, [V]가 여기 적용될 수는 없다.

  B) [V]는 이러한 상황에서 행위 평가를 허용하며, 바람둥이가 옳은 행위를 할 여지가 없음을 보여준다.

  C) 바람둥이는 여기서도 옳은 행위를 할 여지가 있으므로, [V]는 틀렸다. (Johnson)

 

*옳은 행위를 할 여지(A), C))

  : 만성적 거짓말쟁이가 자신의 성격을 개선하기 위해 치료를 열심히 받을 때, 그는 덕스럽지는 않지만 옳은 행위를 한다고 보는 게 직관적임. 그러나 [V]는 애초에 덕스러운 행위자가 이런 상황에 처할 일도 없기에 그가 옳은 행위를 한다고 보지 않음.

  ⇒ A`) : [V]‘right action in terms of virtuous agent would advise one to do, or would approve of one doing’으로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대응하기도 함

  ⇒ B) : [V]를 유지하면서, 거짓말쟁이의 행위가 [W]에는 더 이상 해당하지 않고 거짓말쟁이가 정직한 사람을 닮아가려고 한다는 관점에서 그를 격려하고 칭찬할 수 있겠지만, 여전히 정직의 측면에서 (덕스러운 정직한 사람이 치료받는 거짓말처럼 행위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아직 정직하지 못하다고 대응하기도 함. 덕윤리는 다른 윤리 이론과 비교하여 옳음과 그름의 연속선상에서 어떤 행위를 평가할 수 있기 때문.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의 행위 지도 문제

  - 바람둥이 딜레마 상황과 만성적 거짓말쟁이의 상황은 덕스러운 행위자가 처할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바람둥이와 거짓말쟁이가 행위 지도를 받지 못하게 된다는 반론이 제기됨

  - 이에 대한 한 가지 대응 방식은 옳은(right, good, excellent) 행위의 기준 [V]가 행위 지도의 원칙은 아니라고 인정하는 것. 대신 [V] ([W])로부터 다음과 같은 행위 지도의 원칙들을 도출해낼 수 있음.

 

“[...] one can derive a positive action-guiding principle from [V], namely ‘Do what a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 [AG+], as well as a list of more specific virtue rules, such as ‘Do what is charitable’ and ‘Do what is honest’”

 

“[...] remember that we also have [W], from which we can derive another action-guiding principle, ‘Do not do what a vici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 [AG-]. This generates a list of more specific vice rules, namely ‘Do not do what is dishonest, uncharitable, mean, etc.,’ that does provide action guidance to nonvirtuous agents.”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의 행위 지도 부연

  - [V]로부터 도출되는 [AG+]와 구체적인 긍정적 virtue rules, 그리고 [W]로부터 도출되는 [AG-]와 구체적인 부정적 vice rules

  - 바람둥이는 further vice를 피하기 위해, 또는 “Do not do what is uncaring or indifferent”라는 규칙에 따라, (1) AB를 둘 다 버리거나 (2) A를 버리고 자기에게 더 이상 관심이 없는 B를 좇는 대신, (3) B를 버리고 A와 결혼하는 행위가 지도됨 (물론 세 가지 선택지 모두 임신한 여성을 버린다는 점에서 사악한(vicious, selfish, unreliable, irresponsible) 행위자가 특징적으로 할 행위이긴 하지만)

  ⇒ 바람둥이와 거짓말쟁이는 사악한 행위자에서 벗어나 덕스러운 행위자로 나아가기 위한 행위를 선택할 수 있음. 이렇게 덕 윤리는 선택과 행위의 현-시간-단면만 배타적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있는 다른 윤리 이론과 비교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덕스러운 행위자로의 발전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에서 옳은 행위

 

“Acting virtuously requires that the agent knows what she is doing (rather than her acting accidentally or unintentionally), that she acts for a reason and, moreover, for the right reason (rather than from an ulterior motive), and that she has the appropriate feeling(s) or attitude(s) when she acts.”

 

“Hursthouse notes [...] difference between terms such as ‘acting morally’ (or ‘acting rightly’) and ‘acting well,’ namely that the former is not open to such qualifications as ‘quite,’ ‘fairly,’ ‘very,’ or ‘perfectly,’ whereas the latter is. [...] Hursthouse [...] is not happy with the term ‘right action,’ with its suggestion of uniqueness, and its implication of ‘if not right then wrong’, and prefers talking in terms of ‘good action’ or ‘acting well’.”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에서 옳은 행위 부연

  - 행위자가 자신이 무얼 하는지 인지하고, 올바른 동기에서 비롯되어, 적절한 감정을 가지고 수행하는 행위만이 올바른 행위

  - 올바른 행위보다 좋은 행위라고 이해할 때, 옳고 그름이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행위를 각종 단서(qualification)를 통해 풍부하게 평가할 수 있음

 

Agent-Based Virtue Ethics (Michael Slote)

 

*옳은 행위에 관한 행위자 기반 설명

 

“[A] An act is right (morally acceptable) if and only if it comes from good or virtuous motivation involving benevolence or caring (about the well-being of others) or at least doesn’t come from bad or inferior motivation involving malice or indifference to humanity.”

 

*행위자 기반 덕윤리의 특징

  - 결과주의와 마찬가지로 행위가 그 자체로 옳거나 그르다는 것을 부정하지만, 결과주의가 행위의 옳음이 결과에 의존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달리, 행위자 기반 덕윤리는 사악하지 않은 동기로부터 비롯된다면 행위가 옳다고 주장함 ([A] is therefore an explanatory account of right action)

  - virtue is fundamental, in the sense that the admirability of a virtue is not dependent on any further properties, such as its consequences or its being needed for flourishing

 

*도덕적 운의 문제

  - 행위의 옳음이 행위의 실제적 결과에 달려 있다면, 우리는 우리 행위의 결과를 완전히 통제할 수 없기에 행위가 우연적으로 옳거나 그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함. 그러나 행위자 기반 덕윤리에서 완전히 자애로운 행위자는 돕고자 하는 사람을 돕는 데에 실패했다고 하더라도 비난받지 않음.

  ↔ 결과주의는 옳음에 운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정하지만, 행위를 그르다고 평가하는 것은 행위자에 대한 비난이 아니기에, 즉 행위에 대한 평가와 행위자에 대한 평가를 구별할 수 있고 그른 행위를 했다고 해서 행위자를 그르다고 평가할 필요는 없기에, 운이 문제가 되지는 않음. 단지 행위자가 그른 행위를 하지 않았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음. 오히려 행위자 기반 덕윤리가 doing the right (or wrong) thingdoing it for a good (or bad) reason을 구별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역으로 제기될 수 있음.

 

*행위 평가와 동기 평가의 구별을 위한 “blameless wrongdoing” 사례 검토

 

[1] “Let us begin by considering what looks like an example of “blameless wrongdoing”:

 

Alex intends to help Tessa but ends up, not merely failing to help but actually harming her.

 

(1) Slote handles this kind of case by noting, first, that the agent may not manifest true benevolence at all, so the act may not be entirely blameless. [...] (2) But it doesn’t necessarily follow that Alex’s action will be assessed as wrong. [...] as we have seen, it states that an action is right if it exhibits or expresses an admirable motive, or at least does not exhibit or express a deplorable motive. [...] So, part of the response to the objection that an agent-based theory fails to account for the intuition that there can be examples of blameless wrongdoing, then, is that some such actions are not blameless at all, and therefore wrong according to an agent-based view”

 

[2] “But what does it say about cases where a fully benevolent agent ends up, through no fault of her own, harming those she seeks to help? Consider the following case as a possible example of blameless wrongdoing:

 

John gives a thirsty person a drink, but unbeknownst to him the drink is poisonous and the person dies.

 

Most people would agree with Slote that John cannot be blamed or criticized, but is the action nevertheless wrong? Intuitions on this vary. [...] he assumes that assessing an action as wrong amounts to criticizing the agent. By contrast, those who hold a more legalistic conception of rightness insist that assessing an action as right or wrong is a separate matter to assessing a person’s praise- or blameworthiness.”

 

[3] “Let us now consider a different kind of case, namely where a poorly motivated agent performs an action that appears to be intuitively right. Slote discusses the following example:

 

A prosecutor does his duty by trying to convict a defendant whom he believes to be guilty, but is motivated by malice rather than by concern for the public good.“

 

*[3]에 대한 논쟁

  - 표준적 결과주의적 관점은 (좋은 결과를 산출한다면) 해당 행위는 옳지만 동기는 나쁘다고 평가할 것. 칸트주의자는 의무에 맞게 행위하는 것이지만 의무로부터 행위하는 것은 아니기에 해당 행위는 도덕적 가치가 없다고 평가할 것. 행위자 기반 덕윤리에 따르면 악의로부터 행위하기 때문에 해당 행위는 그릇된 행위임.

  ↔ 행위자 기반 덕윤리는 검사가 기소의 의무를 가지지지 않는다거나 기소하지 않아야만 한다고 시사하는 것인가?

  ⇒ But Slote is quick to deny this implication. He argues that if the agent does not prosecute it will also manifest a bad motive lack of concern for the public good and hence be wrong.

 

  - 만약 검사에게 사퇴한다는 선택지가 없고 악의로 기소하거나 피고를 풀어줘야한다는 선택지만 있다면, ‘피고를 풀어주지 말고 기소해야만 한다악의로 기소하지 않아야만 한다를 동시에 지킬 수 없기에 도덕적 딜레마에 처하는 것으로 보임. Slote는 도덕적 딜레마를 받아들이는 입장은 seems to contravene the maxim that ‘ought’ implies ‘can,’ for if badly motivated people have obligations but everything such people can do counts as wrong, they have obligations that they are unable to fulfill. 그래서 Slote는 도덕적 딜레마를 피하고자 the malicious prosecutor has it in his power to prosecute the defendant while also refraining from expressing his malice, from which he concludes that agent-basing is consistent with “ought implies can이라고 주장.

  ↔ Jacobson은 행위자가 마음대로 자신의 품성이나 동기를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어떤 때는 특정한 방식으로 행위를 삼감으로써 나쁜 동기의 표현을 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항상 그렇지는 못하며, 따라서 Slote 또한 행위자가 때로 자신이 달성할 수 없는 obligations을 가진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비판.

 

  ↔ 악의적 검사가 애초에 기소해야만 한다는 의무를 왜 가지는가?

  ⇒ Slote에 따르면, 검사가 기소하지 않는다면 공공선이나 사회에 유용함에 대한 충분하지 못한 고려를 수반하기에 도덕적으로 비판받을만한 내부적 상태로부터 행위하는 것이므로, 기소하지 않는 행위는 나쁜 동기에서 비롯된 행위.

  ↔ Brady에 따르면, (1) Slote는 검사의 의무를 만약 기소하는 데에 실패한다면 표현될 동기라는 면에서 그의 실제 동기와 독립적으로 정의하기에 그의 이론의 중심 주의(central tenet)를 위반하고 있으며, (2) 심지어 만약 기소한다면 표혈될 동기가 악하기에 그의 의무가 기소하지 않아야만 한다는 것으로 변형된다는 문제가 존재. (혹은 기소해야만 한다와 기소하지 않아야만 한다는 모순되는 두 의무가 발생)

  ⇒ Slotewrongness로부터 duty가 비롯되지 않는다는 식으로 문제를 빠져나가는 것으로 보임. Slote, Hursthouse“He ought to X” or “He has a duty to X” do not necessarily imply that an agent who does X will thereby act rightly라고 주장한 것과 마찬가지로, doing one’s duty for the right reasons and thus acting rightlydoing one’s duty for the wrong reasons and thus acting wrongly를 구별. [...] even though it may be true that he cannot perform a right action, given his malicious motives, it does not necessarily follow that he finds himself in an irresolvable dilemma, for what he ought to do (or has a duty to do) is to prosecute the defendant. In this way it also avoids the “ought implies can” problem: the agent can do what he ought to do (namely, to prosecute); what he may not be able to do is to act rightly (by prosecuting from a good motive).

  ↔ 남는 질문 : Slote has not yet provide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a duty to prosecute can be understood in agent-based terms.

  ⇒ One possibility is to give an account of obligation in terms of the motives of the hypothetical virtuous agent. Another is to derive a list of action-guiding rules or duties from the virtues, such as “Do what is benevolent” and “Do not do what is malicious.” Of course, it is questionable whether such an approach will still be purely agent based, but that may well be a price worth paying.

 

A Target-Centered Account (Christine Swanton)

 

*Swanton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구별 차용

  - 덕으로부터의 행위(acting from virtue)의 요건

    : fine motivation (including having fine ends), fine emotions, practical wisdom, and the possession of a stable disposition of fine emotions, feelings, and other affective states.

  - 덕스러운 행위(virtuous virtue)의 요건

    : successfully hitting the target of a virtue

    ⇒ Swanton은 덕스러운 행위를 후자로 받아들이며,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이나 행위자 기반 덕윤리와 달리 옳은 행위에 대한 덕윤리적 설명에서 동기(motivations)의 역할을 제거함. 행위자는 자애로움에 의해 동기화되지 않더라도 자애로움의 덕의 목표인 “promoting the good of others”를 달성한다면 자애로운 행위를 했다고 할 수 있음.

 

*덕스러운 행위와 옳은 행위

 

(T1) An action is virtuous in respect V (e.g. benevolent, generous) if and only if it hits the target of virtue V (e.g. benevolence, generosity).

 

(T2) An action is right if and only if it is overall virtuous.

 

*Hitting the target of virtue의 의미

  - 도덕적 반응의 여러 양상을 포함할 수 있음

    ex. 며느리에 대한 자애로운 대우 : see her in the right way, dsplaying respect in promoting her good, and expressing appropriate forms of closeness

  - 외재적 목표도 있지만 내재적 목표도 있음

    ex. 결의의 덕 : trying hard in a sustained way, and this target may be reached even if the agent fails rather consistently in her endeavors

  - 어떤 덕은 여러 목표를 가짐

    ex. 용기의 덕 : involves both an internal target (controlling one’s fear) and an external target (handling a dangerous or threatening situation successfully

  - 맥락에 따라 목표는 달라질 수 있음

    ex. 토착 숲을 지키기 위해 주머니쥐를 중독시키는 행위는, 주머니쥐를 죽이는 결과만 보면 잔혹하다고 말하겠지만, 주머니쥐를 죽이는 사람의 정신적 고통을 인지한다면 잔혹하다고 말할 수 없을 것.

  - 어떤 덕의 목표는 무언가를 피하는 일임

    ex. 겸손의 덕 : is to avoid drawing attention to oneself, talking about oneself excessively, boasting and so on

 

*목표 중심 설명에서 옳음

  - (T1)을 아주 엄중하게 적용하여 best one possible일 수도, 넓게 적용하여 존경할 만한 행위부터 괜찮은 행위까지 포함할 수도 있음. Swanton은 전자를 선택.

  - 행위는 (1) right (overall virtuous, which entails the best action possible in the circumstances), (2) wrong (overall vicious) and (3) “all right” (not overall vicious)으로 구별됨

  - HursthouseSlote“right action”what ought to be done보다는 an action that is good or virtuous라는 의미로 사용. 그러나 Swantonright actionvirtuous action으로 정의하고, virtuous action obligatory (or that ought to be done)한 것과 (desirable or admirable but) not obligatory한 것으로 분류. 후자(not obligatory)는 과도하게 부담이 큰 supererogatory actions와 사소한 호의에 보답하는 것과 같은 undemanding actions를 포함함. 또한 wrong action [, vicious action] prohibited한 것과 사소한 무례나 경솔함과 같은 undesirable only한 것으로 분류.

  - 앞선 malicious prosecutor의 사례에서 prosecutor가 기소한다면 act from virtue는 아니지만 정의라는 목표를 달성하기만 한다면 그의 행위는 정의로운 행위이고 해야만 했던 옳은 행위를 하는 것이라 설명 가능. 또한 앞선 promiscuous man의 사례(바람둥이 딜레마)에서도 마찬가지로 loyaltycare and concern 같은 덕의 목표를 달성하기만 한다면 옳은 행위를 하는 것이라 설명 가능. 그러나 단지 A와 결혼하는 행위는 옳은 행위로는 불충분한데, 결혼 생활 내에서 추가적인 덕의 목표 달성이 필요하기 때문. 또한 Jim and Pedro 사례에서도 Jim이 행실, 동기, 사유과정, 반응이 arrogant, callous, light minded, etc.가 아니라 strong, courageous, anguished, etc.이었다면 act virtuously overall한 것.

  ↔ Daniel RussellJim10명을 살리기 위해 1명을 죽인다는 자애로운 이유에 따라 행위할지라도 자애로움이 충족된다고 보기는 힘들며, 따라서 왜 Jim이 그 행위를 하는 것이 right thing to do인지 설명할 수 없다.

  ↔ right action에서 obligatorynot obligatory 구별 기준, wrong action에서 prohibitednot prohibited 구별 기준이 모호하다.

  ⇒ demanding의 정도에 따라 구별할 수도 있고, 타자에게 중대한 차이를 불러일으키는지, 약속을 했는지, 타자가 특정한 방식으로 대우받을 권리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구별할 수도 있다. The challenge, then, is for target-centered virtue ethicists to distinguish between obligatory and desirable actions (and between undesirable and forbidden actions) in a way that is nontrivial and also consistent with the central tenets of the theory.

 

Conclusion

 

*각 이론의 문제점

 

1) A challenge for qualified-agent approaches

  : is to explain what makes an action right, or, if no such explanation is forthcoming, at least to provide a reason why answering the explanatory question is not important.

 

2) A significant problem for agent-based virtue ethics

  : is to provide an account of moral obligation in terms of motivation

 

3) aspects of target-centered approach that needs to be further developed

  : determining what counts as the appropriate targets of a virtue in a given context, and explaining when a right action is obligatory and when it is merely desirable.

 

*“옳은 행위의 기준 옳은 행위를 산출하는 의사결정 절차인 이유 (구별 4 참고)

  - Consider, for example, an agent-based criterion of rightness. Someone who consciously sets out to act from a certain motive, say benevolence, will fail to do so, for what will motivate him to act is not benevolence itself, but rather a desire to act from a benevolent motive. Hence Slote writes: “The morally good person isn’t guided by a theory or (agent-based) moral principle or even a sense of rightness as much as by a good heart that seeks to do good for and by people.”

  - Swanton similarly accepts that a target-centered account of right action is not to be used as an action-guiding tool. Instead, she answers the question of how a virtuous agent should approach problem-solving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dialogue together with what she calls the “virtues of practice.” These include virtues such as wisdom, sensitivity, creativity, discipline, and commitment to valid information, and the aim of exercising these virtues is to get things right, that is, to act virtuously overall, in solving practic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