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현대대륙철학 이차문헌 4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신체 개념 분석

1. 서론 (생략) 2. 니체의 신체 개념 2-1. 자기(Selbst)로서 신체 니체는 「신체를 경멸하는 자들에 대하여」에서 신체가 의식적으로 생각하고 느끼는 “자아”(Ich)의 배후에서 그것을 명령하는 “자기”(Selbst)라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밝힌다. 너희들은 “자아” 운운하고는 그 말에 긍지를 느낀다. 믿기지 않겠지만 그보다 더 큰 것이 있으니 너의 신체와 그 신체의 커다란 이성이 바로 그것이다. 그것은 자아 운운하는 대신에 그 자아를 실행한다. 감각과 정신은 한낱 도구이자 놀잇감이다. 그것들 뒤에는 자기라는 것이 버티고 있다. 이 자기 또한 감각의 눈으로 탐색하며 역시 정신의 귀로 경청하는 것이다. 우리는 일상적으로 흔히 ‘나’를 중심으로 느낌과 생각을 표현한다. ‘나는 오늘 하늘이 아름답다고..

[해석학] 『진리와 방법』 짧은 글

세계문학 개념에서의 ‘세계’ 분석 1. 서론 (생략) 2. 본론 2-1. 세계문학의 세계 개념 문제 가다머는 『진리와 방법』에서 뭇 문학 작품에 대한 규범적 의미를 내포하는 세계문학 개념을 그 중요도에 비해 현저히 부족해 보이는 두 페이지 남짓한 분량만을 할애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도 세계문학의 세계 개념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부분은 다음이 전부로 보인다. “세계문학에 속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의식에 자리 잡고 있다. 그것은 ‘세계’에 속한다. 한 작품이 세계문학에 귀속되었을 때, 그 세계는 이 작품이 말하는 원래의 세계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을지도 모른다. 그 세계가 더 이상 동일한 ‘세계’가 아니라는 것은 확실하다. 그렇다면 세계문학 개념에 들어 있는 규범적 의미는, 세계문학에 속하는 작품..

[해석학] 김선규(2011), 「예술작품의 존재론과 미적 의식에 대한 비판」, 『해석학연구』 27

1. 들어가며 (111-114) 2. 미학의 주관화와 한계 (114-116) 3. 놀이와 예술작품 (116-124) 4. 형성체로의 변화와 총체적 매개 (124-128) 5. 미적인 것의 시간성 (129-132) 6. 미메시스와 존재의 증대 (132-135) 7. 상대주의비판에 대한 해명과 예술작품의 기회성 (135-137) 8. 나오며 (137-139) 1. 들어가며 *문제의식 - 현대 사회에서 예술작품은 하나의 소유 품목, 현실적/잠재적 자본, 물질적 가치로 환산되는 거래의 대상, 투기의 대상 등으로 이해됨 - 이러한 예술작품에 대한 이해에 근저의 전제는 예술작품을 하나의 물질적 대상, 골동품적인 과거의 미적인 대상으로서만 이해하는 것 - 이 경우 예술작품에 대한 이해는 기껏해야 작품발생적인 것과 관..

[해석학] 김창래(2008), 「나은 이해 또는 다른 이해?」, 『범한철학』 51(4)

1. 두 개의 해석학? (240-245) 2. 나은 이해와 다른 이해 (245-253) 1) 나은 이해 (245-250) 2) 다른 이해 (250-253) 3. 다른 이해로서의 나은 이해 (254-264) 4. 나은 이해로서의 다른 이해 (265-274) 5. 하나의 해석학을 위하여 (274-278) 1. 두 개의 해석학? *문제 상황 : 두 개의 해석학이 대립한다는 견해(이분법적 견해) (P. 리쾨르, R.E. 팔머) Ⓐ 전통적 해석학 : 이해의 객관성을 위한 방법론적 성찰에 주력 Ⓑ 철학적 해석학 : 이해의 역사성에 대한 존재론적 기술에 매진 cf) “전통적”, “철학적” 명명은 가다머(Wahrheit und Methode, 1960)에 의함 *문제 상황의 시발점 : 하이데거의 (기초) 존재론적 전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