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현상학 이차문헌 5

석사 논문 계획서

Keywords : 공간, 현상학, 후설, 사물, 신체, 촉각 석사과정 진학 이후 줄곧 저의 학문적 관심은 공간의 현상학에 있었습니다. 공간의 현상학, 즉 공간이 무엇인가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는 우리가 공간을 경험하는 사태 자체로 돌아가 우리에게 주어진 원초적인 공간 경험으로부터 어떻게 그 이상의 공간 경험을 할 수 있는지를 ‘구성적’으로 탐구하는 철학적 작업입니다. 예컨대, 우리가 걸어 올라가는 계단은 우리가 그것을 한 칸 한 칸 오를 때마다 조금씩 전진하며 위로 올라가게 해주는 사물입니다. 우리 모두는 계단이 너비와 높이와 깊이를 가진 삼차원적 공간사물이라는 점에 동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계단을 눈으로 보는 사태 자체로 돌아갔을 때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은 그것의 전면이 전부입니다. 즉 그것의 측면..

신호재(2010),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 지각」, 『인문논총』 64

1. 서언 *공간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의 과제 : 사물을 지각할 때 ‘체험하는 공간’의 본질이 무엇인지 해명 ← 사물 지각은 더 낮은 차원인 감각의 체험으로부터 구성되므로, 사물지각의 공간성이 발생하는 감각의 장으로 천착해 들어가야 함. 이 점에서 후설과 메를로퐁티는 맥을 같이 함 *비교 연구의 가능성 : 메를로퐁티와 후설의 ‘깊이(원근)’ - 메를로퐁티 : 멀리 있는 ‘배경’과 가까이 있는 ‘전경’, 눈과 가까운 ‘전면’과 ‘측면’을 따라 뒤로 가면서 거리가 멀어짐. - 후설 : 공간이 갖는 3차원을 위-아래의 ‘높이’, 왼쪽-오른쪽의 ‘너비’, 앞-뒤의 ‘깊이’라는 개념으로 분석 ⇒ 메를로퐁티와 후설이 제시하는 체험된 공간의 세 차원이 정확히 대응. 비교연구 가능. *현상학적 공간구성에 대한 기존 연..

이남인(2004), 「4쇄에 부쳐/머리말/들어가는 말」, 『현상학과 해석학』

4쇄에 부쳐 머리말 들어가는 말 4쇄에 부쳐 : 출간 이후 저자와 학자들 사이의 토론 소개, 토론된 논의의 확장 가능성, 감사 인사 머리말 : 저자가 책의 주제를 다루게 된 계기, 책에 일부·전체가 수록된 저자의 논문, 책의 목표(+한계 명시), 책의 의의, 연관 주제를 다루는 장래 출간 계획, 번역 용어 언급, 감사 인사 들어가는 말 : 연구 주제의 중요성, 기존 연구 동향, (비판하고자 하는) 기존 연구 검토, 비판의 대상 명시, (앞선 연구와 대립하는) 기존 연구 검토, 기존 연구 간 대립과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 (비판하고자 하는) 기존 연구의 문제 비판, 비판한 문제를 극복하는 저자의 방법론(전제)/연구방법/입장, 방법론 해명, 책의 목표(비판, 과제, 의의, 초점), 책의 구성 ix. (4쇄에..

이종우(2018), 「범주적 직관과 범주적 재현 이론」, 『현상학과 현대철학』 79

1. 들어가며 2. 파악과 직관 3. 범주적 직관 4. 범주적 파악내용 5. 범주적 재현 이론에는 문제가 있는가? 5.1. 투겐트하트의 견해 5.2. 로마의 견해 5.3. 『경험과 판단』에서의 범주적 재현 이론 6. 나오며 1장 : 논문의 목표, 문제 상황과 기존 연구, 논문의 주장, 논문의 의의, 논문의 전개 순서 2장 : 지향적 체험(작용), 지향적 본질(intentionales Wesen)/내용(Inhalt), 지향적 질료(Materie)와 지향적 성질(Qualität), 파악(Auffassung)/재현(Repräsentation), 파악내용/재현자(Repräsentant), 파악의 존재, 파악과 파악내용과 지향적 대상의 구별, 직관적 작용(더 직관적~덜 직관적)과 비직관적 작용(표의적(signit..

이남인(2012),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의 미래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을 위한 하나의 기여-」, 『현상학과 현대철학』54

1.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후설의 해명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태도변경으로서의 현상학적 환원 3. 현상학적 환원과 사태 개시 기능 4.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의 미래 서론 : 현상학적 환원의 문제가 후설에게서 자주 다루어진 이유, 현재 연구자들 사이에서 의견 불일치, 현상학적 환원의 논란에 대한 책임,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의 정의와 필요성,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의 주요 과제, 논문의 목표, 논문의 구성, 논문의 의의 1장 : 현상학적 환원에 대해 부정적인 철학자들(하이데거, 데리다, 타미니오)의 견해 소개, 부정적인 견해의 두 가지 문제, 부정적인 견해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 소재,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 해명 방식의 두 가지 문제, 판단중지 개념으로 현상학적 환원의 정체를 해명하는 방식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