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현상학 이차문헌

이남인(2004), 「4쇄에 부쳐/머리말/들어가는 말」, 『현상학과 해석학』

현담 2022. 2. 21. 18:09

<목차>


4쇄에 부쳐
머리말
들어가는 말

 

<형식>


4쇄에 부쳐
: 출간 이후 저자와 학자들 사이의 토론 소개, 토론된 논의의 확장 가능성, 감사 인사

머리말
: 저자가 책의 주제를 다루게 된 계기, 책에 일부·전체가 수록된 저자의 논문, 책의 목표(+한계 명시), 책의 의의, 연관 주제를 다루는 장래 출간 계획, 번역 용어 언급, 감사 인사

들어가는 말
: 연구 주제의 중요성, 기존 연구 동향, (비판하고자 하는) 기존 연구 검토, 비판의 대상 명시, (앞선 연구와 대립하는) 기존 연구 검토, 기존 연구 간 대립과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 (비판하고자 하는) 기존 연구의 문제 비판, 비판한 문제를 극복하는 저자의 방법론(전제)/연구방법/입장, 방법론 해명, 책의 목표(비판, 과제, 의의, 초점), 책의 구성

 

<주요 내용>

 

ix. (4쇄에 부쳐)
언어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해석뿐 아니라, 선언어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해석도 존재하며 따라서 언어의 문제를 해석학의 본질적인 문제로 간주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해석학이 참다운 의미의 해석학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언어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해석뿐 아니라, 선언어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해석도 다룰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점에서 이 두 가지 차원의 해석을 모두 분석하고자 하는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은 참다운 의미의 해석학이라 할 수 있다.

*언어의 문제를 본질적인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을 해석학으로 간주할 수 없다는 비판에 대한 대답
*참다운 해석학 = 언어적 차원 해석 + 선언어적 차원 해석 =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

x. (4쇄에 부쳐)
실존을 구성하는 본질적인 요소 중의 하나는 세계연관성 또는 세계개방성인데, 무엇보다도 발생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볼 때 후썰의 초월론적 주관은 이러한 의미의 세계연관성 내지 세계개방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점에서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은 일종의 실존철학으로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존의 가장 커다란 속성 중의 하나는 가능성인데, 초월론적 주관이 지닌 가능성이야말로 후썰의 현상학이 분석하고 있는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이다.

*실존의 구조에 천착하지 않는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은 실존철학으로 간주할 수 없다는 비판에 대한 대답
*실존철학의 핵심 : 세계연관성/세계개방성, 가능성 ⇒ 후썰의 초월론적 주관 ⇒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

x. (4쇄에 부쳐)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역시 현사실성을 어떤 한 인간의 경험적인 사실로서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현사실성의 본질구조를 해명하고자 하며, 따라서 그것은 일종의 본질학이요 그러한 한에서 하이데거 역시 암묵적으로 본질직관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만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이 현사실성을 어떤 한 인간의 경험적 사실로서 다루고 있다면 그것은 시나 소설 또는 수필이지 철학이 아니다.

*본질학의 이념을 추구하는 후썰의 현상학과 현사실성의 해석학의 이념을 추구하는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완전히 다르다는 비판에 대한 대답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 현사실성의 본질구조 해명 ⇒ 일종의 본질학 ⇒ 후설의 현상학

xvi. (머리말)
두말할 것도 없이 필자는 결코 이 책에서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사이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해명하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필자는 이 책에서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의 근본구도와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근본구도를 비교하면서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근원적인 유사성과 더불어 차이점을 해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필자가 이 책에서 한 일은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해명하기 위한 경지정리 작업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책의 목표 :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를 양자의 근본구도를 중심으로 해명
*책의 의의 :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해명하기 위한 경지정리

p.9. (들어가는 말)
[...] 후썰의 현상학은 단적으로 전통적인 의미의 인식론과 동일시될 수 있는 철학이 아니다. [...] 후썰의 현상학이 인식론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던 것은 사실이다. 더 나아가 후썰의 현상학이 인식론적 문제를 해명함에 있어 커다란 기여를 하였던 것도 사실이다. [...] 후썰은 인식론적 문제뿐 아니라 윤리학 및 실천철학, 문화철학, 역사철학, 형이상학 및 존재론, 철학적 신학 등 다양한 철학적 문제를 두루두루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후썰 전집으로 출간된 저술 및 미발간 유고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우리는 전통적인 의미의 인식론이 후썰의 현상학의 조그만 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지 결코 후썰의 현상학과 동일시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후썰의 현상학이 단순한 인식론에 불과하며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이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을 극복했다는 견해에 대한 비판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 = {인식론, 존재론, 윤리학, 역사철학, 문화철학 등} ∍ 인식론
(based on 후썰 전집으로 출간된 저술 및 미발간 유고들)
⇒ 후썰의 현상학이 인식론이라는 견해는 부분과 전체를 혼동하고 있음

pp.10-11. (들어가는 말)
[...] 양자 사이의 비교연구를 올바로 수행하기 위해 유의해야 할 점은 후썰의 현상학이 1920년경을 전후로 하여 일대 전환을 맞이하였으며, 따라서 이 시기를 중심으로 후썰의 초중기 현상학과 그의 후기 현상학이 구별된다는 사실이다. [...]
따라서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우리는 후썰의 초중기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뿐 아니라, 후썰의 후기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도 해명해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 출간된 그 어떤 연구도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를 다루고 있지 않으며, 바로 이 점이 본 연구와 기존의 다른 연구들을 구별해 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후썰의 초중기 현상학과 후기 현상학이 구별된다는 사실을 간과하며 후썰의 후기 저술을 초중기 저술과 같은 차원으로 암묵적으로 해석하는 기존의 연구에 대한 비판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 = 초중기 초월론적 현상학(불완전한 정적 현상학) and 후기 초월론적 현상학(발생적 현상학)
⇒ 후썰의 현상학이 그 근본이념이 다른 두 현상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음

p.12. (들어가는 말)
[...] 하이데거의 전기 해석학적 현상학과 후기 해석학적 현상학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철학의 근본이념 자체의 차이가 아니라, 단지 현상학적 분석이 심화된 정도의 차이에 불과하다. [...]
따라서 철학의 근본이념에 초점을 맞추어서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비교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하이데거의 전기 해석학적 현상학과 후기 해석학적 현상학을 구별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지니지 못한다.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처럼 두 현상학으로 구별하여 고찰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해명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 전기 해석학적 현상학 and 전기 해석학적 현상학의 심화(후기 해석학적 현상학)
⇒ 하이데거의 현상학은 동일한 근본이념 아래 현상학적 분석이 심화된 정도의 차이만 있음

p.12. (들어가는 말)
[...]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 역시 현상학적 분석이 심화되면서 나름대로의 “전회”를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이 나름대로의 “전회”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발생적 현상학을 “전회” 이전의 그것과 “전회” 이후의 그것으로 나누어 고찰하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전회” 이후의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은 단지 “전회” 이전의 발생적 현상학이 심화되어 등장한 것이며, 따라서 철학의 근본이념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 두 유형의 현상학 사이에는 아무런 본질적인 차이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 내에서도 “전회”가 있음에도 두 발생적 현상학으로 구별하여 고찰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해명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 = 전기 발생적 현상학 and 전기 발생적 현상학의 심화(후기 발생적 현상학)
⇒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은 동일한 근본이념 아래 현상학적 분석이 심화된 정도의 차이만 있음

p.13. (들어가는 말)
이 책의 목표는 바로 후썰의 초중기 초월론적 현상학과 그의 후기 초월론적 현상학이 그 근본구도에서 구별된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은 채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를 단순히 직선적인 발전의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두 가지 철학적 입장으로 이해하는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면서 양자 사이의 철학적 대화가 보다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우리는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계를 그 근본구도에 초점을 맞추어 해명하고자 시도하였는데, 이 책에서 우리가 살펴보게 될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책의 목표 :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의 관계를 그 근본구도에 초점을 맞추고 해명

<책의 목차>

 

4쇄에 부쳐 (vii)

머리말 (xiii)

 

들어가는 말 (1)

장 후썰과 현상학의 이념 (19)

장 후썰의 초중기 현상학의 근본구도 (95)

장 후썰의 초중기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155)

장 후썰의 후기 초월론적 현상학의 근본구도 (281)

장 후썰의 발생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387)

장 초월론적 현상학과 해석학적 현상학 사이의 대화를 위하여 (493)

 

참고문헌 (593)

찾아보기 (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