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You'll Be Graded
◆ 기본적 평가 기준(basic criteria)
a. 주제에 대해서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가?
b. 제시하는 논증이 얼마나 타당한가?
c. 글이 명료하고 잘 구성되었는가?
+ We do not judge your paper by whether we agree with its conclusion. In fact, we may not agree amongst ourselves about what the correct conclusion is. But we will have no trouble agreeing about whether you do a good job arguing for your conclusion.
◆ 교수가 주로 하는 코멘트
- “이 주장을 설명하시오.”, “이 문장의 의미는?”, “이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음.”
- “명료하지 않음”, “어색함”, “읽기 힘듦”
- “너무 복잡”, “맥락을 따라가기 힘듦.”, “간결하게”
- “왜 이렇게 생각하는가?”, “근거 필요”, “왜 이것을 믿어야 하는가?”
- “왜 이것이 주장 P를 믿어야 하는 근거인가?”, “왜 이것이 그 전 부분에서 도출되는지 설명하시오.”
- “관련성 없음”
- “예시?”
◆ 학생이 주로 쓰는 잘못된 보고서
: “A에 대한 논증이 없으니 A에서 도출된 B를 거부할 수 있다.”
Philosopher X assumes A and argues from there to B. B seems unattractive to me. Philosopher X just assumes A and doesn't give any argument for it. I don't think A is true. So I can just reject A and thereby avoid B. |
↔ 제대로 된 방향
a. A는 이러저러한 이유들을 통해 거부되어야 한다.
b. A를 전제하더라도 B가 도출되지 않는다.
c. B가 참임을 밝히기 위해 A를 전제할 필요가 없거나 A 대신 C가 필요하다.
-Jim Pryor (Professor, Dept of Philosoph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출처 : http://www.jimpryor.net/teaching/guidelines/writing.html)
'오르가논 > 연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 글쓰기 및 글읽기 모음 링크 (4) | 2022.10.04 |
---|---|
김영민(2019), 논문계획서 쓰는 법 (0) | 2022.07.26 |
Pryor(2012), 철학 보고서 쓰는 법 3 - 철학 보고서에서 신경 써야 할 작은 부분들 (0) | 2022.07.25 |
Pryor(2012), 철학 보고서 쓰는 법 2 - 철학 보고서 쓰는 단계 (0) | 2022.07.25 |
Pryor(2012), 철학 보고서 쓰는 법 1 - 철학 보고서에서 할 일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