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or Points
◆ 시작할 때(beginning your paper)
: 주제에 대해서 워밍업 없이 바로 들어가기
ex) “Down through the ages, mankind has pondered the problem of..." (x)
ex) "Webster's Dictionary defines a soul as..." (x)
◆ 문법(grammar)
- 현수 분사(의미상 주어가 제시되지 않은 분사)는 피하기
ex) Hurt by her fall, the tree fell right on Mary's leg... (x)
- 문미 전치사나 부정사 분리(to와 동사 사이 부사를 넣는 것)는 괜찮음
ex) They sought to better equip job candidates who enrolled in their program. (o)
- ‘is’와 ‘to be’는 필요한 만큼 많이 사용해도 괜찮음
- 특히 보고서가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할 건지에 대해 설명할 때, ‘나’('I')를 자유롭게 언급 가능
ex) I've just explained why... (o) / Now I'm going to consider an argument that... (o)
◆ 이차 문헌(secondary readings)
- 선택 사항이며, 추후 학생의 개인적 공부를 위한 것
- 보고서 과제의 목적은 철학적 논증의 분석과 자신만의 논증 세우기를 가르치기 위함이며, 수업 시간에 다루는 논증 자체만으로도 모든 관심을 기울여야 할 만큼 충분히 어려움
◆ 대화나 이야기(dialogue or story) 형식으로 보고서 작성은 금물
: 그런 철학적 작품을 보긴 하지만, 그런 형식으로 보고서를 잘 쓰는 것은 너무나도 어렵고, 저자의 주장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쓰는 게 나음
◆ 물리적 형식(mechanics)
- 글자 수는 제한 수에 딱 맞거나 더 적게
(대개 제한 글자 수를 넘는 글은 너무 야심차거나 반복적이거나 딴소리가 많음)
(그러나 너무 짧은 글은 제기한 문제들에 다 대답하지 못하거나 논증이 갑자기 끊김)
- include your name, double space, number the pages, include wide margins
- simply stapled (plastic binder x), don't turn in your only copy
-Jim Pryor (Professor, Dept of Philosoph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출처 : http://www.jimpryor.net/teaching/guidelines/writing.html)
'오르가논 > 연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민(2019), 논문계획서 쓰는 법 (0) | 2022.07.26 |
---|---|
Pryor(2012), 철학 보고서 쓰는 법 4 - 철학 보고서의 평가 (0) | 2022.07.25 |
Pryor(2012), 철학 보고서 쓰는 법 2 - 철학 보고서 쓰는 단계 (0) | 2022.07.25 |
Pryor(2012), 철학 보고서 쓰는 법 1 - 철학 보고서에서 할 일 (0) | 2022.07.24 |
이기상(2020), 「독일 유학시절 회상 - ‘알바’하면서는 공부하기 불가능하다!」 전문 (2)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