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가논/독일어

7. 독일어 인칭대명사와 소유대명사

현담 2022. 9. 6. 13:36

『우리들의 메타 독일어 첫걸음』(서우석 저) pp.68-69, 77-80.
『독일어문법의 이해와 응용』(장병희 저) pp.41-46.

 

. 인칭대명사(die Personalpronomen)

1) 인칭대명사 표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N.(1)
G.(2)
D.(3)
A.(4)
ich
meiner
mir
mich
du
deiner
dir
dich
Sie
Ihrer
Ihnen
Sie
er
seiner
ihm
ihn
sie
ihrer
ihr
sie
es
seiner
ihm
es
복수 N.(1)
G.(2)
D.(3)
A.(4)
wir
unser
uns
uns
ihr
euer
euch
euch
Sie
Ihrer
Ihnen
Sie
sie
ihrer
ihnen
sie

 

2) 인칭대명사의 특징

  - 영어의 전치사+인칭대명사’(to me) 조합이 독일어에서는 달랑 한 단어(3)로 해결됨

  - 어순의 경우, 대명사는 명사에 우선하며, 4격이 3격보다 먼저 나옴

 

3) 2격 인칭대명사의 특징

  - 뒤에서 살펴볼 소유대명사의 형태와 유사

  - 2격이지만 소유의 의미는 전혀 없음. 소유의 의미는 항상 소유대명사나 명사의 2격 형태로 표현.

  - 2격 인칭대명사는 2격과 결합하는 동사나 전치사, 형용사의 보충어(보족어)로만 사용됨

  cf) 목적어와 보충어

: ‘목적어라는 말은, 제한적으로는 타동사에 수반되는 4격 목적어를 의미하지만, 광범위하게는 전치사, 형용사, 동사의 보충어로 사용되는 2, 3, 4격 명사를 의미.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전자를 (4) 목적어로, 후자를 보충어로 지칭하지만, 문장 안에서 자연스럽게 구분이 가능하므로 용어에 너무 집착하지는 않기로 하자.

 

4) 3/4격 인칭대명사의 활용

Wir geben der Schülerin das Buch.
: 우리는 여학생에게 책을 줍니다.
Wir geben einem Schüler einen Ball.
: 우리는 한 남학생에게 공 하나를 줍니다.
Wir geben es der Schülerin.
: 우리는 그것을 여학생에게 줍니다.
Wir geben ihn einem Schüler.
: 우리는 그것을 한 남학생에게 줍니다.
Wir geben ihr das Buch.
: 우리는 그녀에게 책을 줍니다.
Wir geben ihm einen Ball.
: 우리는 그에게 공 하나를 줍니다.
Wir geben es ihr.
: 우리는 그것을 그녀에게 줍니다.
Wir geben ihn ihm.
: 우리는 그것을 그에게 줍니다.

*Buch는 중성명사 4격이기 때문에 es로 대체되었고, Ball은 남성명사 4격이기 때문에 ihn으로 대체됨

 

5) 2격 인칭대명사의 활용

Er bedarf ihrer.
: 그는 그녀를 필요로 한다.
(=그는 그녀의 도움을 요한다.)
‘bedarf’‘bedürfen’ 동사의 단수 3인칭 형태로서 ‘~을 필요로 하다라는 의미. 우리말 해석에 의하면 4격 대명사를 필요로 하겠지만, 독일어에서 ‘bedürfen’ 동사는 항상 2()명사를 보충어로 취함. 따라서 이 문장의 보충어는 4격 인칭대명사인 ‘sie’가 아니라 2격 인칭대명사인 ‘ihrer’가 됨.
Statt deiner kommt sie.
: 너 대신에 그녀가 온다.
(=너의 장소에 그녀가 온다.)
‘statt’‘~ 대신에라는 의미의 전치사이며, 항상 2()명사를 보충어로 취함. 따라서 이 문장에서도 보충어는 2격 인칭대명사 ‘deiner“가 됨.

 

. 소유대명사(die Possesivpronomen)(소유관사, der Posseivartikel)

1) 소유대명사 표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N.(1)
소유대명사
ich
mein
du
dein
Sie
Ihr
er
sein
sie
ihr
es
sein
복수 N.(1)
G.(2)
wir
unser
ihr
euer
Sie
Ihr
sie
ihr

 

2) 소유대명사의 특징

  - 대부분 명사 앞에 사용되어 소유의 의미를 나타냄

  - 독립적 술어로 사용될 경우, 정관사 변화하여 ‘~의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냄

  -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정관사를 사용함으로써 명사화할 경우, 형용사 어미변화하여 재산, 의무’(중성), ‘가족, 부하’(복수)라는 의미를 나타냄

 

3) 소유대명사 활용 1

1 Mein Name ist Babara.
: 나의 이름은 바바라입니다.
‘Name’는 남성명사이고 여기에서는 1(주어)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부정관사는 ‘ein’이며, 이 경우 부정관사 어미가 없으므로 소유대명사에서도 부정관사 어미를 사용하지 않음.
3/4 Ich gebe eu(e)ren Kindern mein Buch.
: 나는 너희의 아이들에게 나의 책을 준다.
‘Kindern’은 복수 3격이고 복수의 부정관사는 없으므로 복수 정관사 어미를 사용. 복수 3격 정관사는 ‘den’이고 정관사 어미는 ‘-en’이므로 소유대명사 ‘eueren’이 사용됨. 그런데 ‘euer’가 어미변화할 경우, 대부분 발음상 ‘e’를 생략하여 ‘eur-’ 형태를 사용함.
‘Buch’는 중성명사이고 여기에서는 4(목적어)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부정관사는 ‘ein’이며, 이 경우 부정관사 어미가 없으므로 소유대명사에서도 부정관사 어미를 사용하지 않음.

 

4) 소유대명사 활용 2

Das ist ein Hut. Das ist meiner.
(=Das ist ein Hut. Das ist mein Hut.)
: 이것은 모자다. 이것은 나의 것이다.
‘Hut’는 남성명사이고 술어는 항상 1격을 의미하므로 정관사 어미는 ‘-er’. 두 번째 문장에서 소유대명사 ‘mein’은 독립적 술어로 사용되었으므로 정관사 어미변화하여 나의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냄.
Das ist ein Buch. Das ist deins.
(=Das ist ein Buch. Das ist dein Buch.)
: 이것은 책이다. 이것은 너의 것이다.
‘Buch’는 중성명사이고 술어는 항상 1격을 의미하므로 정관사 어미는 ‘-es’. 두 번째 문장에서 소유대명사 ‘dein’은 독립적 술어로 사용되었으므로 정관사 어미변화하여 너의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냄. 그런데 발음의 편의상 ‘e’는 생략하여 ‘deins’라는 표현이 사용됨.

 

5) 소유대명사 활용 3

Er tut immer das Seine(=das Seinige).
: 그는 항상 그의 의무를 수행한다.
소유대명사가 중성명사화하여 의무라는 의미를 나타냄
Die Meinen(=Die meinigen) wohnen auf dem Land.
: 나의 가족은 시골에 산다.
소유대명사가 복수명사화하여 가족이라는 의미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