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문법의 이해와 응용』(장병희 저) pp.33-35, 38-40.
ㄱ. 불규칙 변화 명사
Herr(신사) | Herz(심장, 마음) | Name(이름) | Hotel(호텔) | ||
단수 | N. G. D. A. |
der Herr des Herrn dem Herrn den Herrn |
das Herz des Herzens dem Herzen das Herz |
der Name des Namens dem Namen den Namen |
das Hotel des Hotels dem Hotel das Hotel |
복수 | N. G. D. A. |
die Herren der Herren den Herren die Herren |
die Herzen der Herzen den Herzen die Herzen |
die Namen der Namen den Namen die Namen |
die Hotels der Hotels den Hotels die Hotels |
Kaufmann(상인) | Museum(박물관) | Drama(드라마) | Mensch(인간) | ||
단수 | N. G. D. A. |
der Kaufmann des Kaufmanns dem Kaufmann den Kaufmann |
das Museum des Museums dem Museum das Museum |
das Drama des Dramas dem Drama das Drama |
der Mensch des Menschen dem Menschen den Menschen |
복수 | N. G. D. A. |
die Kaufleute der Kaufleute den Kaufleuten die Kaufleute |
die Museen der Museen den Museen die Museen |
die Dramen der Dramen den Dramen die Dramen |
die Menschen der Menschen den Menschen die Menschen |
- ‘das Herz’와 ‘der Name’의 2격 형태인 ‘des Herzens’, ‘des Namens’에 유의하기
- ‘das Hotel’은 외래어이기 때문에 2격과 복수에서 ‘s’가 사용됨. ‘s’로 끝나는 외래어의 복수 3격에서는 예외적으로 복수 3격 어미 ‘n’을 붙이지 않음. 동일한 변화를 하는 명사로는 ‘das Auto’(자동차)와 ‘das Büro’(사무실)이 있음.
- ‘der Kaufmann’의 복수형은 ‘die Kaufleute’임에 유의하기. ‘die Leute’는 항상 복수로 사용되는 명사이며,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지님. 단수 명사 ‘der Mann’의 복수형은 ‘die Männer’.
- ‘Mensch’는 자주 사용되는 명사이므로 격변화 형태를 잘 기억하기
ㄴ. 관사를 사용하지 않는 명사
1) 관사를 사용하지 않는 명사
- 알고 있지 않거나 이미 언급되지 않은 복수형 명사 (이후 재차 언급될 경우 정관사 사용)
ex) Studenten demonstrieten gegen Studiengebühren. : 학생들은 수업료 납부에 반대해 투쟁했다.
- 물질 명사, 추상 명사, 고유 명사 (단, 다른 문장 성분에 의해 의미가 제한될 경우 정관사 사용)
ex) Energie (f. 에너지), Luft (f. 공기) / Durst (m. 목마름), Intelligenz (f. 지능) / Thomas Mann, Heinrich Böll
- 신분, 직업, 국적을 나타내는 명사가 술어로 (혹은 ‘als’(~로서) 뒤에) 사용될 경우
ex) Ich bin Student. : 나는 학생입니다. / Sie arbeitet als Lehrerin. : 그녀는 선생님으로서 일한다.
2) 관사를 사용하지 않는 명사의 2격 표현
: 그 자체만으로는 2격(소유격)임을 표시할 수 없고 관사마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명사 앞에 전치사 ‘von’을 사용. ‘von’은 소유의 의미(‘~의’)를 나타내지만 항상 3격 명사와 결합(‘~에게서의’, ‘~로부터의’)하는 전치사이므로, 복수형이 ‘von’ 뒤에 사용될 경우 복수 3격 어미 ‘-n’을 반드시 붙여야 함.
ex) der Wert von Büchern : 책들의 가치 – 복수형 명사의 2격 표현 (Wert는 의미 제한으로 정관사 사용)
ex) die Qualität von Papier : 종이의 질 – 물질 명사의 2격 표현 (Qualität는 의미 제한으로 정관사 사용)
ex) das Gefühl von Entgremdun : 소외의 느낌 – 추상 명사의 2격 표현 (Gefühl은 의미 제한으로 정관사 사용)
ex) die Liebe von Anna : 안나의 사랑 – 고유 명사의 2격 표현 (Liebe는 의미 제한으로 정관사 사용)
ㄷ. 고유 명사
1) 기본 : 관사 없이 사용 (단, 다른 문장 성분에 의해 의미가 제한될 경우 정관사 사용)
ex) Thomas Mann und Heinrich Böll sind Nobelpreisträger für Literatur.
: 토마스 만과 하인리히 뵐은 노벨 문학상 수상자들이다.
ex) der junge Mozart : 젊은 모차르트 – 고유 명사(인명)가 형용사를 통해 한정됨
ex) das Seoul der achtziger Jahre : 80년대의 서울 – 고유 명사(지명)가 2격을 통해 한정됨
ex) das Südkorea der Nachkriegszeit : 전후의 한국 – 고유 명사(국명)가 2격을 통해 한정됨
2) 인명의 2격
- 인명 앞에 전치사 ‘von’을 사용 (문체적으로는 ‘von’을 사용하는 것보다 인명에 ‘s’를 붙이는 것이 더 좋은 소유의 표현) (인명의 2격이 처음에 올 경우 관사를 대신하므로 관사를 사용하지 않지만, 인명이 끝에 사용될 경우 명사는 인명에 의해 한정되어 구체적인 지시 대상이 되므로 관사를 붙여야 함)
ex) das Buch von Peter = das Buch Peters = Peters Buch
- 인명에 ‘s’를 붙임 (이름과 성을 함께 사용할 경우 성에만 ‘s’를 붙임) (-s, -sch, -ß, -tz, -x, -z로 끝나는 인명은 ‘ens’를 붙이거나 생략부호 ’을 붙임)
ex) Goethes, Friedrich Schillers, Hansens = Hans’, Maxens = Max’, Fritzens = Fritz’
3) 국명과 지명
- 2격 표현을 위해 ‘s’를 붙임
ex) Koreas
- 대부분 중성이지만, 몇몇 국명은 중성이 아닌 다른 성을 갖는데 이 경우에는 반드시 정관사를 붙이고 일반 명사와 동일하게 정관사 격변화함
ex) 남성 : der Libanon (레바논), der Sudan (수단), der Iran (이란)
ex) 여성 : die Schweiz (스위스) die Türkei (터키), die Ukraine (우크라이나)
ex) 복수 : die Niederlande (네덜란드), die Vereinigten Staaten von Amerika = die USA (미국), die Philippinen (필리핀)
- 대부분의 독일어 사전 부록에는 나라(대륙) 이름, 그 나라 국민(대륙민)들을 지칭하는 표현, 그 나라(대륙)를 지칭하는 형용사적 표현이 실려 있음. 필요한 경우 사전의 부록을 참조하도록 하자.
ex) Korea – Koreaner(in) - koreanisch / Asien – Asiat(in) - asiatisch
'오르가논 > 독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간단한 독일어 문장 만들기 3 : 비인칭 주어, 의문사 의문문 (0) | 2022.09.20 |
---|---|
9. 간단한 독일어 문장 만들기 2 : Ich habe, Ich gebe, 병렬접속문, kein 부정문 (2) | 2022.09.07 |
7. 독일어 인칭대명사와 소유대명사 (0) | 2022.09.06 |
6. 독일어 관사 (0) | 2022.09.06 |
5. 독일어 명사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