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권 목차>
제1장 좋음과 목적
제2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3장 논의의 방법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제5장 행복과 세 가지 삶의 유형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행복을 성취하는 방법
제10장 행복과 운명
제11장 행복과 죽음 이후
제12장 칭찬과 명예
제13장 영혼의 탁월성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1096a12-1097a14)
“아마도 보편적 좋음을 검토하고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되는지를 따져 보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탐구는 이데아들을 도입한 사람들이 우리의 벗들이기에 달갑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서 진리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더구나 철학자로서는, 우리와 아주 가까운 것들까지도 희생시키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아 보인다. 친구와 진리 둘 다 소중하지만, 진리를 더 존중하는 것이 경건하기 때문이다.”(1096a12-16)
Q : 다른 곳에서 플라톤주의를 잘 비판하다가 여기서는 이렇게 얘기하는 이유가 있을까?
A : [...] the present expression of compunction is extraordinary. [...] The explanation may lie in the context. For Plato, the ideal life is that of the thinker. [...] Ar. is not yet ready to produce his own arguments in favour of this ideal, and he is about to argue against the Platonic doctrine of the chief good. [...] It was a commonplace that friends share values. [...] So by declaring his friendship with the Platonists, Aristotle clears the way for his own final position on the ideal life. (B&R 269)
*Ar., too, thinks of the good as cause or ground of the values of other goods (cf. 12, 1102a3-4), although he rejects the Platonic conception of its metaphysical status. For Ar., being cause or ground of value covers a variety of relations. [...] Various other desirables are good in so far as they adorn such activity, or their absence casts a shadow on it. (B&R 266)
1. 선후가 이야기되는 것들 (1096a17-29)
1-1. 강상진 외의 논변 정리 (역자주)
1. 수의 계열에서 가장 선행하는 것은 1이다.
2. 만약 수 일반의 이데아가 있다면, 그것은 1보다 선행한다.
3. 수 일반의 이데아가 1보다 선행한다면, 수의 계열에서 가장 선행하는 것은 1이 아니다.
4. 따라서, 수 일반의 이데아는 없다.
⇒ 희랍인들의 수 개념은 기본적으로 유리수이자 multitude. 그래서 참된 수는 2부터이며, 1은 ‘수를 가능하게 해주는’ 수의 아르케 같은 기초 개념 (1이 정의되어야만 ‘n개’를 논할 수 있기 때문). 1은 다른 모든 수들에 (단순히 순서/계열의 층위에서가 아니라) 존재론적으로 선행하며, 실체와 다른 범주들의 관계와 대응하게 됨. (N) 이는 역자주에서 드는 수의 계열에 선후에 대한 설명에서도 드러남. “수의 계열에는 선후가 있다. 가령 1은 2에 선행하는데, 2가 있다면 반드시 1이 있어야 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선후 관계는, 단순히 크다-작다 관계가 아니라, B가 있다면 반드시 A가 있어야 하지만, A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B가 있는 것은 아닌 관계로 설명되고 있음.
⇒ 실체는 나머지 9개 범주(성질, 양, 관계, 장소, 시간, 양태, 소유, 능동, 수동 – 여기서 장소와 시간이 어떻게 실체에 후행하냐?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둘은 운동에 의존하는 개념이고 운동은 운동하는 물체에 의존하기 때문)에 선행하며 (왜냐하면 나머지 범주들이 적용되려면 우선 그것이 적용되는 어떤 존재자를 먼저 필요로 하기 때문) 9개 범주는 존재론적 지위가 동등하고 서로 환원불가능 혹은 불가공약적임. (N)
1-2. Irwin의 논변 정리 (Irwin, 178-179)
1. The common property of being a member of some numerical series is the property of having some place within the series.
2. A Form for such a series would therefore have to be (i) the property of having a place within a series, and (ii) independent of, and hence prior to, the series.
3. But (i) and (ii) are inconsistent.
4. But the categories form a numerical series.
5. Hence there cannot be any Form common to the categories.
⇒ Aristotle evaluates the Platonic claims in the light of his own doctrine of the different types of predication (katēgoria) usually called ‘categories’. The categories exemplify the fact that being is homonymous. Each category answers the question ‘What is it?’ at the most general level about items of a certain sort. In Aristotle’s view, there is no general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it?’ for every being; on the contrary, the categories provide the most general answers that are available to this question. Since the goodness of anything depends on the kind of thing it is, goodness can be no more of a unified property than being is. If the categories indicate ten ways of being a being, they must also indicate ten different ways of being good. (Irwin, 179)
1-3. Broadie & Rowe의 논변 정리 (B&R, 269-270)
1. Where particular Ks constitute a series ordered by priority-posteriority, there is no Form K which explains their common K-ness.
2. The categories of being, Substance, Quality, Quantity, Relative, Time, Place, etc., form a series (or at any rate Relative is posterior to Substance).
3. The term ‘good’ is said in each of these categories.
4. Therefore there is no common Form of good,
⇒ 1. : If there were a Form of K, it would be prior to the particulars constituting the series; hence the first item of the series would not be first / 2. : A ‘relative’ is not a relation in the modern sense, but a term whose definition requires reference to a specific other terms: thus slave is of-a-master, useful is for-an-end. Being a slave, or any other relative, is inessential to the substantial individual to which it applies. / 4. : The inference to 4. depends on the assumption that since the categories form a series, a corresponding series of goods arises from the fact that ‘good’ is said in the different categories. (B&R, 269-270)
3. The term ‘good’ is said in each of the categories of being.
(*. A corresponding series of goods arises with each of the categories of being.)
(**. But a genuine, unitary, universal would occur in just one category.)
4. Hence, there is no genuine, unitary universal corresponding to ‘good’.
⇒ 3. : The main point is that information carried by ‘good’ varies with the category signified. In the domain of how things are qualified, ‘good’ picks out excellent. In the domain of how much, it picks out moderate, i.e. neither too much nor too little; in the domains of time and place respectively it picks out the right moment and suitable habitation; in the domain of relatives it picks out useful. In the domain of substance, it picks out god or intellect (if indeed they are different; the connective joining them may indicate alternative expressions) since apart from these there is no substance such that to be it is eo ipso to be good. (1096a23-29) (B&R, 270)
2. 다양한 학문 (1096a29-34)
1. 하나의 이데아에 따르는 것들에 대해서는 학문도 하나만 존재해야 한다.
2. 그러므로, 좋음의 이데아가 있다면, 좋음의 이데아에 따르는 모든 좋음들에 대해서도 하나의 학문만 존재해야 한다.
3. 그러나, 실제로는 하나의 범주 밑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학문들이 관계한다.
ex. 적시에 관련하는 학문 – 전쟁에 있어 적시를 다루는 것은 병법, 질병에 있어서 적시를 다루는 것은 의술
따라서, 좋음의 이데아는 있지 않다.
⇒ Premiss 1. was accepted by the Platonists. But they could have replied that the different kinds of practical knowledge are all branches of a single science of the good.
Q : 이미 범주 구분에 따라 서로 환원불가능하고 선후관계에 있는 좋음들이 있을 수밖에 없음을 밝혔음에도, 학문 구분에 따라 여러 좋음들이 있다고 밝히는 이유는 무엇일까?
A : 모든 범주 차원의 좋음의 이데아가 없다(1. 선후가 이야기되는 것들)고 해도, 한 범주 차원의 좋음의 이데아가 있다고 주장할 수 있음.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심지어 한 범주 내에서도 좋음의 이데아는 없다(2. 다양한 학문)는 것을 보이는 것. 이후 아리스토텔레스는 더 나아가 좋음의 이데아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이데아 개념 자체를 문제삼고, 이데아는 없다 내지는 이데아 개념은 불필요하다(3. 이데아 개념의 공허함)는 것을 보이고자 함. (N)
앞서 ‘the right time’, ‘suitable habitation’ 등으로 각 범주의 좋음을 밝혔을 때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질문은 “the right time for what?”, “the suitable habitation for what?” 등.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질문들에 대해 대답함과 동시에 인간적인 좋음의 차원에서 서로 환원불가능하고 선후관계에 있는 좋음들을 밝히고자 하는 것. (D)
3. 이데아 개념의 공허함 (1096a34-b5)
“또 ‘인간 자체(Man Itself)’에 있어서나 ‘인간(man)’에 있어서나 하나의 동일한 설명, 즉 인간에 대한 설명이 적용되는 한, 그들의 ‘무엇 자체’를 가지고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96a35-1096b1)
⇒ The second ‘man’ here probably refers to the universal that is immanent in particulars. (Less probably, it means ‘a man’, i.e., particular man.) Aristotle accuses Plato of pointlessly introducing separated, independent Forms when the immanent universals (good, man, etc.) recognized by Aristotle are all that we need if we want to understand the natures of things. (Irwin, 179)
1. X 자체와 X에 모두 X에 대한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한, 둘은 아무 차이가 없다.
(=X 자체와 X가 모두 X인 한, 둘은 아무 차이가 없다.)
2. 좋음 자체와 좋음에 모두 좋음에 대한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좋음 자체와 좋음은 모두 좋음이다.)
3. 따라서, 좋음 자체와 좋음은 아무 차이가 없다.
⇒ 2. : This may seem a surprising argument if directed against Plato himself, since it is a commonplace of the Dialogues that particular Xs fall short of the Form of X in respect of deserving to be called ‘X’. However, perhaps objection Ⅳ(3. 이데아 개념의 공허함) is directed against a possible Platonist response to objection Ⅱ(1. 선후가 이야기되는 것들), as follows:
1. The term ‘good’ as applied to particulars occurs in different categories.
2. But the term ‘good’ as applied to the Form, good-itself which is obviously good (for it is the chief good) is not one that belongs to different categories.
3. Hence, there is a genuine, unitary universal corresponding to the term ‘good’.
If this is the position opposed in objection Ⅳ(3. 이데아 개념의 공허함), the objection correctly notes its inconsistency with the assumption, attributed here to the Platonists, that what we say (i.e what the definition conveys) of particulars, and what we say of the Form, in calling them (respectively) ‘good’ is the same. It is irrelevant that the particulars live up to the single definition less well than the Form. (B&R 270-271)
예상 반론 : 좋음 자체는 좋음과 달리 영원하다.
↔ “또 좋음 자체가 영원하다는 이유는 더 좋은 것일 수도 없을 것이다. 오랜 시간 동안 하얀 것이 더 하얀 것이 아니듯이.” (1096b3-4)
1. X한 것이 오래 지속된다/영원하다고 해서 더 X한 것이 되지 않는다.
2. 그러므로, 좋음 자체가 영원하다고 해서 더 좋은 것이 되지 않는다.
3. 따라서, 좋음 자체와 좋음은 좋음인 한 아무 차이가 없다.
⇒ It is debatable that an eternal good is not on that account better than a transient one. It surely would be, if it could be possessed; but see 1096b33-35(7. 좋음의 이데아의 무용함). (B&R 271)
4. 더 그럴듯한 피타고라스 학파 (1096b5-7)
“피타고라스 학파 사람들이 일자(hen)를 좋음의 계열에 놓고 있다는 점에서 이 문제와 관련해 더 그럴듯한 것을 이야기한 것처럼 보인다. [...] 그렇지만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는 다른 기회에 논하기로 하자.”
⇒ The followers of Pythagoras based their metaphysics on pairs of contraries forming two columns (Metaph. i. 5, 986a22-6):
Limit | Unlimited |
Odd | Even |
One | Many |
... | ... |
Ar. refers to the left-hand one as ‘the column of goods’ even though Good itself appears as an item in it lower down. His comparison with Platonism presumably has to do with the relations in each theory between Good and One. Plato [...] identified them (Metaph. xiv. 4, 1091b13-15), where as the Pythagoreans distinguished them. We can only guess why Ar. prefers the Pythagorean theory to Plato’s. (B&R, 271)
5. 그 자체로 좋은 것(들)의 이데아? (1096b8-26)
예상 반론 : “그들은 모든 종류의 좋음들에 대해 그들의 이론을 전개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추구되고 사랑받는 것들만을 단일한 이데아(형상)에 따라 좋다고 이야기한 것이며, 이런 것들을 만들어내는 것들, 혹은 어떤 방식으로 보존하는 것들, 혹은 그 반대를 방해하는 것들은 이것들 때문에 좋음이라고 불린다고, 또 [이것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좋음이라고 불린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 이제 그 자체로 좋은 것들을 유용할 뿐인 것들로부터 떼어낸 후, 이것들이 단일한 이데아에 따라 이야기되는지 살펴보자.”
a. 그 자체로 좋은 것들
b. 이것들[a.] 때문에 좋은 것들
Q : “그런데 어떤 것들을 그 자체로 좋은 것[a.]으로 놓아야 할까?”(1096b17)
A1 : 좋음의 이데아를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것도 그 자체로 좋은 것은 아니게 되는 것인가?
↔ 좋음의 이데아는 공허한(has no point – B&R, futile – Irwin) 것이 됨 (좋음의 이데아는 그 어떤 좋음도 설명할 수 없게 됨)
A2 : 명예, 사려, 즐거움이 그 자체로 좋은 것들에 속하는 것인가?
↔ 좋음에 대한 설명(logos)은 그 모든 것들에 있어서 동일한 것으로 드러나야만 할 것이다. [...] 그러나 명예나 사려, 즐거움에 대한 설명은 그것들이 좋다고 이야기되는 그 관점에서 서로 구별되고 차이를 보임 (그것들 사이에 좋음의 이데아라고 부를만한 공통분모가 없음)
“따라서 단일한 이데아 따라 공통적인 것으로서의 좋음은 존재하지 않는다.”(1096b26)
6. 좋음들은 왜 다 좋음이라 불리는 것인가? (1096b26-29)
해명 요구 : “그렇다면 좋음은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된다는 말인가? 적어도 우연으로부터 나온 동음이의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1) 단일한 무엇으로부터 유래한(derives on) 동음이의인가? (→ 그렇다.)
2) 모든 것이 하나에 기여하는(converges on, contributes to) 동음이의인가? (→ 그렇다.)
3) 비례[유비](analogy)에 따른 동음이의인가? (→ 그렇다.)
⇒ These two cases(1), 2)) have been illustrated in previous arguments. Reference to one thing is illustrated by instrumental goods and the goods to which they are means. Analogy is illustrated by intrinsic goods; sight is intrinsically good for the eye, and so on. Cases of analogy also support Aristotle’s contention that goods differ ‘insofar as they are goods’; seeing is the good of the eye because the eye’s function is to see, cutting is the good of a knife because the knife’s function is to cut, and so on. (Irwin, 180)
⇒ The first two possibilities (if indeed they are different) he suggests offer considerable latitude, since ‘derives from’ and ‘converges on’ (alternative expressions) cover a variety of relations. Thus if wisdom were the primary good, honour is good when wisdom is its object, or when it is accorded wisely; and pleasure is good when it is pleasure in the exercise of wisdom, or of some power that contributes to wisdom, etc. In this way, wisdom would be the principle of value, i.e. the cause of the goodness of other goods. [...] the second suggestion, although ‘good’ is not said univocally of sight and of intellect, it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a single principle grounded in the analogy. Another relevant analogy would be: as intellect is to the category of Substance, so excellence is to that of Quality, the useful-for to that of Relative, etc. (B&R, 272)
7. 좋음의 이데아의 무용함 (1096b31-1097a14)
1. 좋음의 이데아가 설사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인간적 행위를 통해 성취/소유될 수 없다.
2. 인간적 행위를 통해 성취/소유될 수 없는 것은 윤리학/정치학의 대상이 아니다.
3. 어떤 학문의 대상이 아닌 것은 그 학문에 있어서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
4. 따라서, 좋음의 이데아는 윤리학/정치학에 있어서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
⇒ 모든 범주 차원의 좋음의 이데아도 없고(1.), 개별 범주 차원의 좋음의 이데아도 없고(2.), 이데아 개념 자체도 불필요하고(3.), 좋음의 이데아를 좁게 해석해봐도 좋음의 이데아는 없고(5.), 좋음의 이데아 없이도 좋음들이 좋음이라 불리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지만(6.), 혹여나 좋음의 이데아가 있거나 좋음의 이데아 개념이 필요하다고 해도 윤리학/정치학에서 그것을 고려해서는 안 됨(7.). 실천적으로 무용하기 때문.
예상 반론 : 좋음의 이데아를 본으로 가지고 있으면 인간적 행위를 통해 성취/소유될 수 있는 것들을 더 잘 알고, 그래서 그것들을 더 잘 성취/소유할 수 있다.
재반론 1 : “[...] 여러 학문의 관행과는 맞지 않는 것 같다. 모든 학문은 어떤 좋음을 추구하며 그 부족한 점을 채우려 하지만,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앎에는 관심을 두지 않기 때문이다.”(1097a5-6)
1. 만약 좋음의 이데아가 인간적 행위를 통해 성취/소유될 수 있는 것들을 더 잘 성취/소유할 수 있도록 한다면, 모든 학문은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앎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2. 어떤 학문도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앎에 관심이 없다.
3. 따라서, 좋음의 이데아는 인간적 행위를 통해 성취/소유될 수 있는 것들을 더 잘 성취/소유할 수 있도록 하지 않는다.
재반론 2 : 좋음의 이데아가 ‘어떻게’ 인간적 행위를 통해 성취/소유될 수 있는 것들을 다 잘 성취/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의사는 분명 이런 식으로 건강을 돌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건강을 돌보는 것일 터이며, 아마 그것도 개별적인 인간의 건강을 돌보는 것일 터이기 때문이다.“(1097a12-13)
'철학 > 고대철학 일차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8-9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0) | 2023.02.07 |
---|---|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7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2) | 2023.02.05 |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4-5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0) | 2022.09.05 |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1-3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0) | 2022.06.06 |
아리스토텔레스, 「제6권」 9-13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0) | 2022.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