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메타 독일어 첫걸음』(서우석 저) pp.152-161
『독일어문법의 이해와 응용』(장병희 저) pp.52-61.
ㄱ. 형용사의 술어적 용법
: 형용사가 불완전 자동사의 술어 역할을 함
- 불완전 자동사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자동사. 즉, 명사 술어나 형용사 술어를 필요로 하는 자동사를 말함
ex) sein, werden, bleiben
- 이 경우, 형용사는 원래의 형태로 변화없이 사용됨
ex) Er ist Arzt. Er ist fleißig. : 그는 의사다. 그는 부지런하다.
ex) Er ist Koch. Er wird dick. : 그는 요리사다. 그는 뚱뚱해진다.
ex) Sie ist krank. Sie bleibt ruhig. : 그녀는 아프다. 그녀는 조용히 머문다.
ㄴ. 형용사의 부가어적 용법
: 형용사가 명사의 의미를 부가적으로 수식함
- 독일어 명사는 성수격이라는 것이 있어서 이를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데, 명사 앞에 오는 것들은 이 부분에 기여할 의무가 있음
- 명사 앞에 오는 형용사는 마찬가지로 명사 앞에 오는 관사와 해당 의무를 분담할 수 있어서 관사의 존재 여부에 따라 형용사의 업무량이 달라짐
- 그런데 정관사처럼 똑똑한 애가 오면 형용사의 임무는 널널해지고, 부정관사가 오면 좀 더 일해야 하고, 관사가 없다면 빡세게 일하지 않으면 안 됨
- 이렇듯 형용사의 어미변화는 관사의 유무와 관계되며, 3가지 옵션에 따라 독일어 형용사는 1) 강변화(관사 없음), 2) 약변화(정관사 있음), 3) 혼합변화(부정관사 있음)
1) 형용사의 강변화
: 명사 앞에 아무것도 없는 경우
ㄱ) 강변화 어미변화 표
m. | f. | n. | Pl. | |
N. | -er | -e | -es | -e |
G. | -en/-es | -er | -en | -er |
D. | -em | -er | -em | -en |
A. | -en | -e | -es | -e |
ㄴ) 강변화 어미변화 예시
m. | f. | n. | Pl. | |
N. | guter Man | gute Frau | gutes Kind | gute Kinder |
G. | guten Mannes | guter Frau | guten Kindes | guter Kinder |
D. | gutem Man | guter Frau | gutem Kind | guten Kindern |
A. | guten Man | gute Frau | gutes Kind | gute Kinder |
ㄷ) 강변화 어미변화 특징
- 정관사 어미변화와 같으나, 남성/중성 2격만 예외 변화(-en, -es)
ex) Das ist roter Wein. : 이것은 붉은 포도주이다.
ex) der Geruch starken Kaffees : 진한 커피(m.)의 향
ex) die Farbe sauberen Wassers : 깨끗한 물(n.)의 색
- 남성 명사 2격에 ‘-es’가 붙을 경우, 형용사는 –en 변화하고, 남성 명사 2격에 ‘-en’이 붙을 경우, 형용사는 –es 변화. 이는 발음하기가 이게 편해서 그럼.
cf) -en이 붙는 남성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는데 이러한 명사들의 단수형은 대부분 관사류와 함께 사용되므로 형용사 강변화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음: des Menschen(인간의), des Studenten(대학생의), des Doktoranden(박사과정생의), des Phillosophen(철학자의), des Kollegen(동료의), des Bauern(농부의), des Nachbarn(이웃의), des Kunden(손님의).
- 문장 실제로는 대부분 관사가 함께 오는 상황이기 때문에 약변화와 혼합변화에 조금 더 신경 쓰면 됨
2) 형용사의 약변화
: 명사 앞에 정관사(류)가 사용된 경우
ㄱ) 약변화 어미변화 표
m. | f. | n. | Pl. | |
N. | -e | -e | -e | -en |
G. | -en | -en | -en | -en |
D. | -en | -en | -en | -en |
A. | -en | -e | -e | -en |
ㄴ) 약변화 어미변화 예시
m. | f. | n. | Pl. | |
N. | der gute Man | die gute Frau | das gute Kind | die guten Kinder |
G. | des guten Mannes | der guten Frau | des guten Kindes | der guten Kinder |
D. | dem guten Man | der guten Frau | dem guten Kind | den guten Kindern |
A. | den guten Man | die gute Frau | das gute Kind | die guten Kinder |
ㄷ) 약변화 어미변화 특징
- 남성/여성/중성 1격, 여성/중성 4격에만 –e이고, 나머지는 모두 –en
- 이미 정관사에서 명사의 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형용사가 형용식적인 어미만 지니게 함으로써 명사구의 비효율적인 형태를 최대한 피하고자 한 변화형
3) 형용사의 혼합변화
: 명사 앞에 부정관사(류)가 사용된 경우
ㄱ) 혼합변화 어미변화 표
m. | f. | n. | Pl. | |
N. | -er | -e | -es | -en |
G. | -en | -en | -en | -en |
D. | -en | -en | -en | -en |
A. | -en | -e | -es | -en |
ㄴ) 혼합변화 어미변화 예시
m. | f. | n. | Pl. | |
N. | mein guter Man | meine gute Frau | mein gutes Kind | meine guten Kinder |
G. | mines guten Mannes | meiner guten Frau | meines guten Kindes | meiner guten Kinder |
D. | meinem guten Man | meiner guten Frau | meinem guten Kind | meinen guten Kindern |
A. | meinen guten Man | meine gute Frau | mein gutes Kind | meine guten Kinder |
ㄷ) 혼합변화 어미변화 특징
- 남성 1격은 –er, 중성 1격/4격은 –es, 여성 1격/4격은 –e, 나머지는 모두 –en
- 남성 1격과 중성 1격/4격이 약변화와 다르게 변하는 이유는, 남성 1격과 중성 1격/4격의 부정관사가 모두 ‘ein’이라 부정관사의 형태만 보고서는 명사가 남성인지 중성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 그래서 이 부분들만 정관사 어미변화를 시킴으로써 명사의 성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것.
4) 형용사의 어미가 변하지 않는 경우 (예외)
- 도시 이름은 ‘-er’이 붙어 2격의 의미를 지니는 형용사가 되는데, 어미 ‘-er’은 어떠한 경우에도 변화하지 않음.
ex) Das ist die Pariser Straße. : 이것(이 거리의 이름)은 파리의 거리이다.
ex) Ich besuche den Hamburger Hafen. : 나는 함부르크의 항구를 방문한다.
ex) Die Bonner Straßen-Bahn : 본의 전차
- 숫자는 ‘-er’이 붙어 Jahre(Pl.)와 같이 쓰이면 연대를 표현하는 형용사가 되는데, 마찬가지로 어미 ‘-er’은 어떠한 경우에도 변화하지 않음.
ex) die achtziger Jahre : 80년대(1격 or 4격)
ex) das Leben der achtziger Jahre : 80년대의(2격) 삶
ex) in den achtziger Jahren : 80년대에(3격)
ㄷ. 형용사의 명사화
- 어미변화된 형용사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바꾸면 명사가 됨 (어휘력이 2배!)
- 명사화된 형용사는 ‘형용사+명사’보다 표현이 한결 간결해지고 살짝 고급스러워짐
ex) der kranke Mann → der Kranke
- 남성/여성/복수형으로 명사화되면 사람을 나타냄
ex) die Alten : 그 나이든 사람들
- 중성으로 명사화되면 사물을 나타냄
ex) das Alte : 그 낡은 것
- 일반적으로 국민은 ‘국가명+er(in)’의 명사화로 표현하지만, 독일인은 deutsch의 명사화로 표현
ex) der Koreaner : 한국 남자 / die Japanerin : 일본 여자 / die Koreaner : 한국인들
ex) der Deutsche : 독일 남자 / die Deutsche : 독일 여자 / die Deutschen : 독일인들
- etwas(something), nichts(nothing), viel(many), wenig(little) 뒤에 오는 형용사는 중성 강변화하여 명사가 될 수 있으며, 항상 사물을 나타내야 하므로 복수 형태로는 사용할 수 없음
ex) etwas Neues : 새로운 (어떤) 것
ㄹ. 형용사의 격지배
- 어떤 형용사는 특정한 격의 명사와 결합되어 사용되거나 특정한 전치사와 결합되어 사용됨
- 3격 지배 형용사는 3격 목적어와 함께 사용됨
ex) Ich bin immer meinen Eltern dankbar. : 나는 항상 나의 부모님에게 감사하다.
ex) Der Sohn ist dem Vater ähnlich. : 그 아들은 아버지와 닮았다.
ex) Das gebrauchte Gerät ist mir nützlich. : 그 중고기기는 나에게 유용하다.
ex) Mein Freund ist mir treu. : 내 친구는 나에게 신의를 지킨다.
ex) Die Leute sind ihm fremd. : 그 사람들은 그에게 낯설다.
- 특정한 전치사와 결합하는 형용사는 보통 sein 동사의 술어로 사용되며 문장의 마지막에 위치해도 무방함
ex) Er ist immer arm an Geld. : 그는 항상 돈이 부족하다.
ex) Er ist reich an Erfahrungen. : 그는 경험이 풍부하다.
ex) Die Mutter ist stolz auf ihren Sohn. : 어머니는 그녀의 아들을 자랑스러워한다.
ex) Ich bin zufrieden mit meiner Note. : 나는 내 점수에 만족한다.
ex) Der Weise ist frei von Sorgen. : 현명한 사람은 근심이 없다.
'오르가논 > 독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독일어 비교급과 최상급 (2) | 2022.10.25 |
---|---|
13. 독일어 부사 (0) | 2022.10.25 |
11. 독일어 동사의 현재 인칭 변화 (4) | 2022.10.23 |
10. 간단한 독일어 문장 만들기 3 : 비인칭 주어, 의문사 의문문 (0) | 2022.09.20 |
9. 간단한 독일어 문장 만들기 2 : Ich habe, Ich gebe, 병렬접속문, kein 부정문 (2) | 202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