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가논/독일어

1. 독일어 알파벳과 발음

현담 2022. 2. 21. 16:36

『우리들의 메타 독일어 첫걸음』(서우석 저) pp.12-22.

『독일어문법의 이해와 응용』(장병희 저) pp.10-15.

 

1. 익숙한 독일어 : “독일어, 우리와 이미 친하다!”

. 익숙한 독일어 단어

: Aspirin [아스피린], Arbeit [아르바이트], Autobahn [아우토반], Audi [아우디], Adidas [아디다스], Allianz [알리안츠], Benz [벤츠], Siemens [지멘스], Diesel [디젤], Kindergarten [킨더가르텐], Batterie [바테리-], Sechs Kies [젝스 키-]

cf) 이밖에도 Kaiser [카이저], Thema [테마], Lotte [롯데], Allergie [알러기], Bierhof [비어호프] 등 익숙한 단어가 많음

 

. 익숙한 독일어 단어에 숨겨진 발음규칙

- Arbeit의 복모음 ei[아이]로 발음

- Autobahn에서 h는 묵음

- Allianz, Benz에서 z[]

- Siemens, Diesel에서처럼 s[]는 다음에 모음이 오면 []로 발음

- Kindergarten에서 er[에르/]로 발음

- Batterie, Sechs Kies의 복모음 ie는 장음 [-]로 발음

 

2. 알파벳 : “독일어의 알파벳, 완전 똑같다!”

. 독일어 알파벳의 특징

- 기본적으로 영어와 거의 같으며, 매우 상식적인 음가를 가지고 있음

  ex) Auto [아우토] (자동차), Audio [아우디오] (오디오)

- 일본사람 이름 읽듯이 알파벳을 그대로 읽으면 대부분 그대로 독일어 발음이 됨

  ex) Tanaka [타나카], Kimura [키무라]

 

. 독일어 알파벳(das Alphabet [다스 알파베트])

A a [-] [] B b [-] [] C c [-] [/]
D d [-] [/] E e [-] [] F f [에프] []
G g [-] [/] H h [] [/묵음] I i [-] []
J j [요트] [] K k [-] [] L l [] []
M m [] [] N n [] [] O o [-] []
P p [-] [] Q q [-] [] R r [에르] []
S s [에스] [/] T t [-] [] U u [-] []
V v [파우] [/] W w [-] [] X x [익스] [크ㅅ]
Y y [입실론] [] Z z [] [] ß [에스체트] [/]
Ä ä [] [] Ö ö [] [] Ü ü [] []

 

3. 모음 : “독일어의 모음, 정직하다!”

. 단모음 : “독일어의 기본모음

A a [-] [] E e [-] [] I i [-] [] O o [-] [] U u [-] []

- 영어의 모음이 종잡을 수 없는 반면, 독일어의 단모음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소리를 가짐

  ex) Elefant [엘레판트] (코끼리)

 

. 변모음 : “독일어의 상징모음

Ä ä [] [] Ö ö [] [] Ü ü [] []

1) A + E = Ä

  ex) März [메르츠] (3)

2) O + E = Ö

  ex) Möbel [뫼벨] (가구)

3) U + E = Ü

  ex) Müll [] (쓰레기)

 

. 복모음 : “독일어의 이중모음

- 기본적으로는 각각의 소리가 나지만, 다음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다음과 같이 발음

1) ie : [-]로 하나의 소리처럼 길게 발음 (편의상 []로 표기)

  ex) Allergie [알러기] (알러지)

  cf) , ie 앞에 있는 모음에 악센트가 있으면 [이에]로 발음 Familie [파밀리에] (가족)

2) ei/ey : [아이]로 발음 (ai/ay도 마찬가지)

  ex) Ei [아이] (달걀), Einstein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Mai [마이] (5), Haydn [하이든] (하이든)

3) eu/äu : [오이]로 발음

  ex) Europa [오이로파] (유럽), Äuglein [오이글라인] (귀여운 눈, 작은 눈)

 

. 반모음 : “자음인듯 모음인듯

J j [요트] [] Y y [입실론] []

  ex) Juni [유니] (7), Yo-yo [요요] (요요)

 

. E ()

- E[e:]의 경우, 우리말의 발음 []와는 달리, 혀는 [i:]를 발음할 때의 위치에 두고 입술을 옆으로 길게 늘여 []라고 발음. (, E가 단음일 경우, [ɛ]로 발음되고 이는 우리말 []와 비슷함)

- 대부분의 독일 사람들은 동사의 어미 ‘-(e)n’에 있는 ‘e’[]로 발음

  ex) gehen [-] (걷다)

- 대부분의 독일 사람들은 단어의 끝에 위치한 ‘-er’에서 ‘r을 발음하지 않고 그냥 []라고 발음하며, ’er‘가 단어의 처음이나 중간에 위치하면 대부분 [에어]라고 발음

  ex) her [헤어] (이쪽으로)

 

4. 자음 : “독일어의 자음, 강직하다!”

. BDG (베데게)

기본 발음 격음화
B b [-] [] [] = P p [-] []
D d [-] [/] [] = T t [-] []
G g [-] [/] [] = K k [-] []

- 기본적으로는 원래대로 발음하지만, 단어의 끝에 오거나 무성음(ex) k, p, s, t) 앞에 오면 격음화됨

  ex) Abent [아벤트] (저녁), Dieb [디프] (도둑), Tag [타크] (/하루)

  ex) Herbst [헤어프스트] (가을)

  cf) G는 종종 []로 발음 Genie [제니] (genius)

 

. H ()

- 단어 첫머리에 오면 []로 발음하지만, 단어의 중간이나 끝에 오면 소리가 나지 않으면서 앞에 있는 모음을 길게 발음하게 만듦

  ex) Haus [하우스] (), Jahr [야르] (/)

 

. Q ()

-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항상 U와 함께 쓰이며, [크ㅂ]로 소리 남

  ex) Qualität [크발리테트] (품질), Quelle [크벨레] ()

 

. S (에스)

1) S (에스) : 다음에 모음이 오면 []로 발음하고, 그밖에 경우에는 []로 발음

  ex) Sinn [] (감각, 의미), sieben [지번] (7), Szene [스체너] (scene), Hans [한스] (한스)

2) ß (에스체트) : ss에 해당하는 독일어 특유의 문자로, 단어의 중간이나 끝에서만 쓰이며, s [/]와 같은 발음

  ex) groß [그로스] (big)

  cf) , ss는 자음이 둘이므로 앞에 오는 모음은 단음이 되고, ß는 하나의 자음이므로 앞에 오는 모음은 장음이 됨 Zulassung [출라숭] (acceptance)

3) sp, st : 기본적으로 [슈프], [슈트]로 발음하지만, 단어 중간이나 끝에 올 때는 [스프], [스트]로도 발음함

  ex) Spaß [슈파쓰] (농담), Stadt [슈타트] (도시), Germanistik [게어마니스틱] (독어독문학), Kunst [쿤스트] (기능)

4) sch, tsch : 각각 [], []로 발음

  ex) Schirm [쉬름] (우산), Tschüß! [취쓰!] (안녕! - 헤어질 때 인사)

 

. VWXZ (파우붸익스쳇)

-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발음함

1) V (파우) : 영어의 f 발음으로 [] 발음 (f, ph도 마찬가지)

  ex) Volk [폴크] (국민), Fang [] (포획), Phantasie [판타지] (상상)

  cf) pf[p][f]를 모두 발음하지만, 이 경우 발음이 어려우므로 요즘은 [f]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음 Pferd [페어트] ()

2) W () : 영어의 v 발음으로 [] 발음

  ex) Wagen [봐겐] (자동차)

3) X (익스) : [ks] 발음으로 [크ㅅ], [ㄱㅅ] 발음 (chs도 마찬가지)

  ex) Taxi [탁시] (택시), Fuchs [푹스] (여우)

4) Z () : [t][s]의 혼합 발음 (편의상 []로 표기) (tz, ts, ds도 마찬가지)

  ex) Polizist [폴리치스트] (경찰관), sitzen [짓츤] (앉다), stets [슈테츠] (always), abends [아벤츠] (at night)

  cf) t’-tion’의 형태로 사용되면 z 발음 Station [슈타치온] (station), Nation [나치온] (nation)

 

. Ch (체하)

- 목에서 뱉어내는 강한 발음(가래를 뱉을 때 목에서 나오는 소리와 비슷한 발음)

1) A, O, U 뒤에서는 [], 그 외의 모음과 자음 뒤에서는 []로 발음

  ex) Bach [바흐] (실개천), doch [도흐] (그렇지만), Buch [부흐] ()

2) [] 발음은 거의 []처럼 발음되는 경우도 많음

  ex) Milch [밀쉬] (우유), Küche [퀴셰] (부엌), Griechenland [그리쉰란트] (그리스)

 

5. 장단

. 독일어의 장음

1) 단음절의 단어나 1개의 자음 앞에 오는 모음은 길게 발음

  ex) Tag [타악] (), Tal [타알] (계곡)

2) 연속하는 모음은 길게 발음

  ex) U-boot [-보오트] (잠수함), Tee [테에] ()

3) 묵음 h () 앞의 모음은 길게 발음

  ex) Mehl [메엘] (밀가루), Schuh [슈우] (신발)

 

. 독일어의 단음

1) 2개 이상의 자음 앞에 있는 모음은 짧게 발음

  ex) Ball [] (), Mann [] (남자), Mutter [무터] (어머니)

2) 단음절의 전치사나 부사

  ex) an [] (~가에), ab [] (~에서부터)

 

6. 강세(악센트)

. 독일어 강세의 특징

- 강세는 모음에만 줄 수 있음

- 강세는 기본적으로 단어의 첫음절에 있음

- 접두어(비분리전철)에는 강세가 없기 때문에 강세는 자동적으로 다음 모음으로 넘어감

- 외래어는 본래의 강세로 읽혀짐

 

. 어미와 강세

1) ‘-ieren’ 동사 : ‘i’에 강세

  ex) interessieren (~을 흥미 있게 하다), studieren (공부하다), interpretieren (해석하다)

2) ‘-ist’ 명사 : 남성명사, ‘-주의자라는 의미, ‘i’에 강세

  ex) Idealist (이상주의자), Kommunist (공산주의자), Pluralist (다원주의자), Extremist (극단주의자)

3) ‘-ismus’ 명사 : 남성명사, ‘-주의라는 의미, ‘i’에 강세

  ex) Idealismus (이상주의), Kommunismus (공산주의), Pluralismus (다원주의), Extremismus (극단주의)

4) ‘-and, -ant, -ent’ 명사 : 남성명사, ‘-(-하는 사람)’라는 의미, ‘a/e’에 강세

  ex) Doktorand (박사과정생), Demonstrant (시위자), Produzent (생산자)

5) ‘-loge, -rat, -mat’ 명사 : 직업을 나타냄, ‘o/a’에 강세

  ex) Biologe (생물학자), Demokrat (민주주의자), Diplomat (외교관)

6) ‘-ph’ 명사 : 남성명사, 직업을 나타냄, 바로 앞의 모음에 강세

  ex) Geograph (지리학자), Philosoph (철학자)

7) ‘-phie, -logie’ 명사 : 여성 명사, ‘-이라는 의미, ‘i’에 강세

  ex) Geographie (지리학), Philosophie (철학), Biologie (생물학), Soziologie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