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메타 독일어 첫걸음』(서우석 저) pp.181-182.
『독일어문법의 이해와 응용』(장병희 저) pp.91-94.
8. 서수(Ordinalzahl)
ㄱ. 서수의 특징
- 숫자로 표시할 때는 반드시 ‘.’(서수점, Punkt)를 사용
- 1~19까지는 ‘기수+t’의 형태이며 20 이상은 ‘기수+st’의 형태이지만, ‘erst, dritt, (siebt), acht’는 예외적인 형태를 취함
- 명사 앞의 서수는 형용사 어미변화하며 구체적인 대상을 지시하므로, 원칙적으로 정관사와 함께 사용되어야 함
ㄴ. 서수의 형태
1) 1~19
erst 1. | zweit 2. | dritt 3. |
viert 4. | fünft 5. | sechst 6. |
siebent(siebt) 7. | acht 8. | neunt 9. |
zehnt 10. | elft 11. | zwölft 12. |
dreizhent 13. | vierzhent 14. | fünfzhent 15. |
sechzhent 16. | siebzhent 17. | achtzhent 18. |
neunzhent 19. |
2) 20~
zwanzigst 20. | dreißigst 30. | hundertst 100. | tausendst 1000. |
ㄷ. 서수의 활용
1) 차례/순서
ㄱ) 일반 표현
ex) das 5.(fünfte) Kapitel = Kaptel 5(fünf) : 5장(章)
ex) das 2.(zweite) Paragraph = Paragraph 2(zwei) : 2절(節, 기호 : §)
ex) die 8.(achte) Seite = Seite 8(acht) : 8페이지
ex) Sie ist meine erste Tochter. : 그녀는 나의 첫째 딸입니다.
ex) Wir wohnen im 3.(dritten) Stock. : 우리는 3층에 산다. (독일에서 3층은 우리식으로 하면 4층)
cf) das Erdgeschoss : 우리식 1층(로비층) / erster stock : 독일식 1층(우리식 2층) / der Keller : 지하실
ㄴ) 순서 질의응답(“너는 몇 번째야?”-“나는 세 번째야.”)
: “Der wievielte bist du?” - “Ich bin der 차례.”
ex) “Der wievielte bist du?” - “Ich bin der dritte.”
ㄷ) 처음, 다음, 마지막
처음(the first) | 다음(the next) | 마지막(the last) |
der erste | der nächste | der letzte |
ex) Er ist der erste/letzte Absolvent in der Hochschule. : 그는 그 대학에서 첫/마지막 졸업생이다.
ex) “Der Nächste bitte!” : “다음 사람 (들어오세요)!” (관용적 표현)
ㄹ) 전자와 후자
전자 | 후자 |
der erstere, jen- | der letztere, dies- |
- 정관사 부분은 지시하는 대상의 성을 따르며, 뒷부분은 형용사 어미변화함
ex) Peter und Anna bleiben zu Hausse. Der erstere(=Jener) sieht fern, die letztere(=diese) hört Musik.
: 페터와 안나는 집에 머무른다. 전자는 TV를 보고, 후자는 음악을 듣는다.
2) 날짜
ㄱ) 날짜 질문(“오늘은 며칠입니까?”)
: “Welches Datum ist heute?”, “Welches Datum haven wir heute?”, “Der wievielte (Tag) ist heute?”, “Den wievielten (Tag) haben wir heute?”
ㄴ) 날짜 대답
: “Heute ist der 날짜 월.”, “Heute haben wir den 날짜 월.”
ex) 12월 11일 → “Heute ist der 11.(elfte) Dezember.”
ex) 3월 11일 → “Heute haben wir den 11.(elften) März.”
ㄷ) 다양한 날짜 표현
ex) Am 7.(siebenten) Februar mache ich meine Doktorprüfung.
: 2월 7일에 나는 박사학위시험을 친다.
ex) Bonn, den 9.(neuten) Mai(fünften) 2002
: 본에서 2002년 5월 9일에 (편지에서 날짜 표시)
ex) Ich danke Ihnen für Ihren Brief vom 10.(zehnten) September(=neunten).
: 저는 9월 10일자의 편지에 대해 당신에게 감사드립니다.
3) 분수
- 기본적으로 “기수(분자) + 서수+el(분모)” 형태
ein halb | ein drittel | ein viertel | drei fünftel |
ein und einhalb, eineinhalb, anderthalb |
zwei und einhalb, zweieinhalb, dritthalb |
drei und einhalb, dreieinhalb, vierthalb |
sieben und fünfneuntel |
- 분수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경우 분모는 대문자로 씀
- 분수 자체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될지라도 어미변화하지 않음
ex) ein Drittel meiner Bücher : 내 책의 삼 분의 일
ex) drei Viertel der Bevölkerung : 인구의 사 분의 삼
ex) eine viertel Stunde : 15분
→ 여성명사 Stunde에 따라, 수사 ein_의 형태는 eine가 되지만, 분수 자체(eine viertel)은 어미변화하지 않음
ex) drei viertel Stunde : 45분
ex) ein halbes Kilo : 0.5 킬로
→ 중성명사 Kilo에 따라, 수사 ein_의 형태는 ein이 되고, halb는 분수가 아닌 형용사라서 어미변화함
ex) ein und einhalbes Jahr : 일 년 반
4) 분류수
- “서수+ens” 형태
첫째로 | 둘째로 | 셋째로 |
erstens | zweitens | drittens |
아홉 번째로 | 열일곱번째로 | 아흔아홉번째로 |
neuntens | siebzehntens | neunundneunzigstens |
9. 복합 수사
ㄱ. 복합 수사의 특징
: 복합 수사는 어미변화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사용
ㄴ. 배수
- “기수+fach” 형태
하나의, 한 겹의 | 이중의, 두 배의 | 삼중의, 세 배의 | 다중의, 몇 배의 |
einfach | zweifach | dreifach | mehrfach |
ex) Er schließt die Tür zweifach. : 그는 이중으로 문을 잠근다.
ㄷ. 반복수
- “기수+mal” 형태
한 번 | 두 번 | 세 번 | 여러 번 |
einmal | zweimal | dreimal | mehrmals |
ex) Sie isst nur einmal am Tag. : 그녀는 하루에 한 번만 먹는다.
ex) Zweimal BigMac und viermal Cola bitte! : 빅맥 두 개와 콜라 세 병 주세요!
→ 원래 물질명사 앞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단위 명사를 사용해야하나, 회화체에서는 통상적으로 물품 앞에 반복수만 붙여 간단하게 사용
ㄹ. 종류수
- “기수+erlei” 형태
동일한, 단조로운 | 두 가지/종류의 | 세 가지/종류의 | 네 가지/종류의 | 여러 가지/종류의 |
einerlei | zweierlei | dreierlei | viererlei | vielerlei |
ex) Sie kauft zweierlei Strümpfe. : 그녀는 두 가지 종류의 스타킹을 산다.
ex) Wir rechnen mit vielerlei Möglichkeiten. : 우리는 여러 가지의 가능성을 고려한다.
'오르가논 > 독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독일어 명사 (0) | 2022.03.22 |
---|---|
4. 간단한 독일어 문장 만들기 : Ich bin, 의문문, 부정문 (0) | 2022.03.03 |
3. 독일어 문법 습득을 위한 주요 개념들 (0) | 2022.03.02 |
2. 독일어 수사 中 기수 (0) | 2022.02.23 |
1. 독일어 알파벳과 발음 (0)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