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절 Näheres über die Lokalisation der Empfindnisse und die nicht-dinglichen Eigenschaften des Leibes.
More precision concerning the localization of the sensings and concerning the non-thingly properties of the Body
위치감각의 위치화와 육체의 비사물적 속성들에 관한 세부사항들
*das Nähere : (pl.) details
Ist nun alles Stoffliche leiblich lokalisiert oder durch Lokalisation leiblich bezogen und dadurch für die eigene Objektität Leib konstitutiv, so müssen wir fragen, wie diese Konstitution zu verstehen ist, und was hier Einheit schafft.
Now, if all that belongs to the matter is Bodily localized or is, by means of localization, related to the Body and is constitutive, therewith, for the Body in the Objectivity proper to it, then we need to ask how this constitution is to be understood and what it is that institutes unity here.
이제 만약 모든 질료적인 것들이 육체적으로 위치지어지거나 위치화를 통해 육체에 연관되고 그를 통해[육체적으로 위치지어지거나 육체에 연관됨을 통해] 고유한 육체 대상성을 위해 구성적이라면, 우리는 물어야 한다, 어떻게 이러한 구성이 이해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무엇이 여기서 통일성을 만들어내는지.
*schaffen : create, make
*우리 신체가 어떻게 대상을 구성하고 통일성을 만들어내는 것을 묻는 것인가? (E) 신체 자신을 어떻게 구성하는 지에 대한 이야기인 것 같다. (D)
*대상성이라고 할 때 보통 ‘Objektivität’을 사용하는데, 후설은 여기서 ‘Objektität’을 사용하고 있다. 굳이 ‘Objektität’을 사용하는 이유는 대상성보다는 구체적으로 사물성을 지시하고 싶어서인가? (D) 그런 것 같지는 않다. 39절의 제목에도 ‘Objektitäten’을 사용하였는데 대상성으로 읽는 게 더 자연스럽다. ‘Obejektivität’과 ‘Objektität’은 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교수님)
Der physische Leib ist doch eine konstituierte Einheit und nur zu ihr gehört die Schicht Empfindnis.
The physical Body is, of course, a constituted unity, and only to it does the stratum of the sensings belong.
물리적 육체는 좌우간 하나의 구성된 통일체이고 오직 그것[구성된 통일체]에 위치감각 층이 귀속된다.
*doch : «이유를 설명하며» 좌우간, 뭐니 뭐니 해도, 여하튼
*이 대목에서 위치감각이라고 하는 현상학적 태도에서 나오는 감각들이 물리적 신체(physische Leib)에 귀속된다고 하는 것이 현상학적 몸이 물리적 몸과 같다는 것을 전제로 깔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 (A) 그 신체가 아닌 다른 신체에 위치감각의 층이 속하는 것이 아니다. 그 신체(물리적 몸)와 그 신체(현상학적 몸)가 똑같다는 것이 아니고, 물리적 신체를 들여다보면 위치감각이 속해있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 것이다. 조금 어색하긴 하다. 다른 대목, 예컨대 155쪽에서는 ‘physisch-aesthesiologische’라고 말한다. ‘물리적이며 감각적인’. 둘을 분명하게 나누면서 얘기하지 않을 때가 있다. 근데 이럴 때 ‘physisch’는 완전 물리학적 사물을 이야기하는 것 같지는 않다. (교수님) physische Leib와 현상학적 신체가 동일하다고 이야기할 때 동일성이 어떤 동일성인지 궁금하다. 언어적으로 와닿는데 이론적으로 어떻게 동일하다는 술어를 붙일 수 있는가. (A) physische Leib를 물리학적 사물로 이해할 수 있고, 느슨하게 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느슨하게 쓴 것으로 이해할 경우, 물리학적 사물로서 얘기하는 건 아니다. 그러면 자연적 태도에서 얘기하는 신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자연적 태도의 층이나 자연과학적 층 중에 어느 한 층에서 얘기하는 것 같은데 비록 ‘physische’라는 말을 썼지만. 물리학적 층에서 이야기하는 물리학적 신체는 아닌 것 같다. 열어 놓고 나가보자. (교수님)
Wie bindet sich der Empfindungsinhalt an das Konstituierte, und wie hat der Leib, der zugleich materielles Ding ist, die Empfindungsinhalte in und auf sich?
How is the content of the sensation connected to what is constituted, and how does the Body, which is equally a material thing, have in itself and on itself the contents of sensation?
어떻게 감각내용이 구성된 것과 연결되는가, 그리고 어떻게 육체가, 동시에 물질적인 사물인 [육체가], 감각내용을 그 자체 안에 그리고 위에 가지는가?
Es ist doch nicht so wie der Empfindungsinhalt Tonqualität und der Empfindungsinhalt Intensität eine Wesenseinheit hat, oder wie der Empfindungsinhalt Farbe mit dem Moment der Ausbreitung (nicht der räumlichen Ausdehnung, von der bei Empfindungsinhalten sinnvoll keine Rede ist).
It is certainly not in the way in which the sensation-content, tone quality, and the sensation-content, intensity, have an essential unity, nor is it the way in which the sensation-content, color, is unified with the moment of spread (we do not mean here spatial extension, talk of which makes no sense with regard to sensation-contents).
그것은[구성된 것으로서의 육체(물리적 육체)와 감각내용 사이 통일성을 가지는 방식은] 그렇지만 감각내용 음질과 감각내용 [음]강도가 하나의 본질 통일성을 가지는 그러한 방식은 아니다. 또한 펼쳐짐의 계기와 함께 감각내용 색[이 하나의 본질적 통일성을 가지는 그러한 방식도 아니다.] ([펼쳐짐은] 공간적인 연장[물리적 연장]이 아니다. 그에[공간적인 연장에] 관해서 감각내용으로는 아무런 말이 의미가 없다.)
*die Tonqualität : 음질, 음색 / sinnvoll : meaningfull / die Rede : 말(speech, words, talk)
*본질 통일성(Wesenseinheit)이 무엇인가? 물리적 육체와 감각내용은 층위가 다르다. 본질 통일성이란 같은 차원, 같은 층위, 같은 종의 통일성이다. 이런 의미에서 물리적 육체와 감각내용 사이에는 본질통일성이 성립하지 않는다. (교수님) 사태 자체를 얘기한 것 아닌가? 층위 얘기가 아니라. 연장의 계기와 색채 감각내용 떼려야 뗄 수 없다, 음질과 음강도는 떼려야 뗄 수 없다. 그러나 육체와 감각내용 사이에는 그런 수준의 필연적 연관이 없다는 것을 인지한다. (A) 그렇게 읽어도 된다. 결정 내릴 필요는 없다. (교수님)
Hier haben wir ja auf der einen Seite nicht Empfindungsinhalte, sondern konstituierte reale Einheiten, und haben wir eigentlich auf der anderen Seite die bloßen Empfindungsinhalte?
Here we have on the one side not sensation-contents but constituted real unities instead, and is it really the case that we have mere sensation-contents on the other side?
여기서 우리는 확실히 한편으로는 감각내용이 아니라 구성된 실제적 통일체[물리적 육체]를 가지는데, 우리는 다른 한편으로는 순전한 감각내용을 가진다는 말인가?
*ja : 확실히 / eigentlich : (특히 의문문에서) 도대체, 그런데
*우리가 저쪽에는 구성된 통일체, 그리고 이쪽에는 감각내용을 가진다면, 둘이 서로 무관하게 동떨어져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뜻으로 보인다. (수업)
Überlegen wir.
Let us reflect.
우리 숙고해보자.
*überlegen : think over
Fährt ein Gegenstand mechanisch berührend über meine Hautoberfläche, so habe ich selbstverständlich eine bestimmt geordnete Folge von Empfindnissen
If an object moves mechanically over the surface of my skin, touching it, then I obviously have a succession of sensings ordered in a determinate way.
만약 어떤 대상이 기계적으로 만지면서 나의 살 표면 위로 스쳐간다면, 나는 자명하게도 어떤 특정한 질서 있는 위치감각들의 연쇄를 갖는다.
*fahren : (빠른 동작으로) 쓰다듬다, 스치다 / die Hautoberfläche : skin surface (=die Haut : skin + die Oberfläche : 표면) / bestimmt : certain / geordnet : ordered
; fährt er immer in gleicher Weise, mit gleichem Druck, die gleichen Leibesstellen in gleicher Geschwindigkeit berührend, so ist selbstverständlich das Resultat immer wieder dasselbe.
If it always moves in the same way, with the same pressure, touching the same parts of the Body at the same pace, then the result is obviously always the same.
만약 그것이[하나의 대상이] 항상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압력과 함께, 똑같은 육체장소를 똑같은 속도로 만지며 지나간다면, 자명하게도 결과[위치감각들의 연쇄]는 항상 거듭 같을 것이다.
*die Geschwindigkeit : 속도 (←geschwind : 재빠른) / wieder : 다시, 거듭
Das ist alles “selbstverständlich”, es liegt in der Auffassung
All this is "obvious," it is there in the apprehension.
그것은 모두 자명하다, 그것은 파악 안에 있다[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파악(Auffassung)은 현상학적 전문 용어로 쓰이진 않은 것 같다. 그냥 이해할 수 있다, 알 수 있다 정도로 읽으면 될 것 같다. 즉, Das ist alles “selbstverständlich”를 다른 말로 다시 쓴 거 같다. (수업)
; so benimmt sich eben unter solchen Umständen dieser Leibeskörper, daß er nicht überhaupt reizbar, sondern in bestimmter Weise unter bestimmten Umständen reizbar ist, daß alle Reizwirkungen ihr System haben, daß dem System der ihm erscheinenden Dingkörper Ortsunterschiede entsprechen, wobei aber jedem solchen Ort eine bestimmte, von der Art der Reizwirkung abhängige weitere Dimension von möglichen Unterschieden zugehört.
; precisely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Corporeal body behaves in such a way that it is not to be stimulated in just any way but is stimulatable in a definite way under definite circumstances, and such that all effects of stimulation have their system, and to the system of thingly bodies appearing in it there correspond distinctions as to place, whereby, however, to each such place pertains a definite, dependent on the type of the stimulation-effect, further dimension of possible distinctions.
다음과 같이 행동한다, 정확하게는 다음 상황들 아래에서. 바로 이러한 육체물체가. [상황인즉,] 그는[육체물체는] 일반적으로 자극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식으로 특정한 상황들 아래에서 자극받을 수 있다. [상황인즉,] 모든 자극 영향들은 그것들의 체계를 가진다. [상황인즉,] 그에[자극 영향들의 체계에] 현출하는 사물물체들의 체계에 장소차이들이 상응한다. 이 경우에 그러나 각각의 그러한 장소에는 어떤 특정한, 자극 영향의 종류에 의존적인, 가능한 차이들에 관한 그 이상의 차원이 속해 있다.
*sich benehmen : 행동(처신)하다 / überhaput : 일반적으로 / reizbar : 자극을 받아들일 수 있는, 자극에 반응하는 (=der Reiz : 자극 + -bar : ~을 갖는, ~가 가능한) / das System : system / der Ort : place / von jm./et.3 abhängig sein : ~에게 의존하는 (←abhängen : 드리워지다, 좌우되다)
Der Örtlichkeit in der Extension entspricht ein Ort-Moment in der Empfindung, und den Reizstärken und Reizarten bestimmte Momente, die die Empfindung konkret und nach ungefähr bekannten Weisen modifizierbar machen.
To the place in the extension corresponds a place-moment in the sensation, and to the degrees of stimulation and kinds of stimulation correspond definite moments which render the sensation concrete and modifiable according to more or less known ways.
연장 내 장소성에 하나의 감각 내 장소-계기가 상응하고, 자극 강도들과 자극 종류들에 특정한 계기들이 [상응한다]. 감각을 구체적이게, 그리고 대강의 친숙한 방식에 따라 수식가능하게 만드는 [그러한 특정한 계기들이 말이다.]
*die Stärke : 강도 / das Moment : 계기, 동인 / ungefähr : 대략(의). 대강(의) / nach : «모범, 기준, 방법; 이 경우 nach는 명사 앞에나 뒤에 놓일 수 있음» ~에 따라 / modifizieren : modify (=변경/수정하다, 제한/조절하다, 형용/수식하다)
*처음에 ‘nach ungefähr bekannten Weisen modifizierbar’을 ‘대강의 알려진 방식에 따라 변경가능한’으로 번역했다가 뭘 어떻게 변경한다는 건지 이해할 수 없어서 사전을 더 검색해보니 ‘modifizieren’에 어구를 수식하다는 뜻이 있음을 발견하게 됨. 감각을 구체적이고 우리가 잘 아는 방식으로 대강 수식가능하게 만드는 계기는 ‘맨질맨질함’, ‘거칠함’, ‘울퉁불퉁함’ 같은 것을 말함. (사견)
So liegt in den Empfindungen eine sich mit den erscheinenden Extensionen “deckende” Ordnung
Thus there lies in the sensations an order which "coincides" with the appearing extension.
이렇게 감각들 내에, 어떤, 현출하는 연장들과 “부합하는” 질서가 놓여있다.
*sich decken : 부합하는, 합동인
; das aber ist von vornherein in der Auffassung impliziert, so daß die Reizwirkungen nicht als etwas Fremdes und nur Bewirktes, sondern als zu dem erscheinenden Leibeskörper und der extensiven Ordnung Zugehöriges, in sich deckender Ordnung Geordnetes erscheinen.
; but that is already implicit in the apprehension from the outset, in such a way that the stimulation-effects do not appear as something alien and as just an effect, but rather as something pertaining to the appearing Corporeal body and to the extensive order, and as something ordered in a coincident order.
그것은[감각들 내에 현출하는 연장들과 부합하는 질서가 놓여있음은] 하지만 처음부터 파악 속에 함축된 것이다. 그말인즉 자극영향들은, 외래의 어떤 것 그리고 단지 야기된 것으로서가 아니라 현출하는 육체물체와 연장적인 질서에 부속하는 것[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즉] 부합하는 질서 속 질서지어진 것으로서 현출한다.
*von vornherein : 처음부터, 즉시 / sodass : so that, so, which means that, with the result that / bewirken : 야기하다 / zu et.3 zugehören : ~에 부속하다, ~의 일부를 이루다
In jeder Leibesempfindung wird nicht die bloße Empfindung erfaßt, sondern sie ist aufgefaßt als zu einem der extensiven Ordnung genau entsprechenden System von möglichen funktionellen Folgen zugehörig, die das materiell Reale in konsequenter Parallele mit möglichen materiellen Wirkungen erfahren muß.
In each Bodily sensation, the mere sensation is not grasped, but it is apprehended as belonging to a system of possible functional consequences which corresponds exactly to the extensive order, consequences that the material real must undergo in consistent parallels with possible material effects.
각각의 육체감각 속에서 순전한 감각은 포착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순전한 감각은] 파악된다, 연장적인 질서와 정확히 부합하는, 가능한 작용적인 결과들의 어떤 체계에 부속됨으로써. [결과들은] 물질적 실재가 가능한 물질적 영향들과의 일관된 평행 속에서 겪어야 한다.
*das Reale : 실재, 현실 / funktionel : 기능상의, 직무상의, 작용상의 / die Folge : sequence, consequence / konsequent : consistent(논리정연한, 시종일관된), strict(철저한, 단호한) / erfahren : experience, undergo, receive
Dabei ist auch zu bemerken, daß die in Frage kommenden Empfindungsfelder immer vollständig ausgefüllt sind, und daß jede neue Reizung nicht allererst Empfindung, sondern im Empfindungsfeld eine entsprechende Empfindungsänderung hervorruft.
We must also note that the fields of sensation in question here are always completely filled, and each new stimulation does not provoke a sensation as if for the first time, but rather, it provokes in the sensation-field a corresponding change in the sensation
거기에는 또한 주목해야 할 것이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인즉] 문제가 되는 감각장들은 항상 완전히 가득 채워져 있고, 각각의 새로운 자극은 최초의 감각이 아니라 감각장 안에서 어떤 상응하는 감각변양을 불러일으킨다.
*bemerken : notice, remark / in Frage kommen : 문제가 되다, 고려되다 (come in question) / vollständig : 완전한 / ausfüllen : (빈곳에) 기입하다, 가득 채우다 / allererst : 최초의 (=aller- : 더없이 ~한 + erst : first) / die Änderung : change, alteration / hervorrufen : 불러일으키다, 불러내다
Also das Feld erfährt eine Auffassung als ein mannigfach veränderliches und in der Art seiner Veränderlichkeit von der Extension abhängiges.
Hence the field undergoes an apprehension as something changeable in manifold ways and as dependent on extension in the type of its changeableness.
그러므로 감각장은 경험한다, 하나의 파악을, 다양하게 변화가능한 것으로서 그리고 자신의 변화가능성의 방식대로 연장에 의존하는 것으로서.
*mannigfach : manifold / in der Art : ~의 방식대로
Das Feld erhält Lokalisation und in ihm jede neue Veränderung als Folge der besonderen Reizumstände.
The field receives localization, and in the field each new change receives localiz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particular stimulating circumstances
그 [감각]장은 위치화를 획득한다. 그리고 그[장] 안에서 각각의 새로운 변화는 특수한 자극상황들의 결과로서 [위치화를 획득한다.]
Die neue Schicht, die das Ding durch Lokalisation des Feldes erhalten hat, gewinnt mit Rücksicht auf die Beständigkeit des Feldes den Charakter einer Art realer Eigenschaft.
The new stratum the thing has received by means of the localization of the field acquires, with respect to the constancy of the field, the character of a kind of real
property.
그 새로운 층은, 사물이 [감각]장의 위치화를 통하여 획득하게 된 [새로운 층은], 얻는다, [감각]장의 불변성과 [관련하여], 실제적 속성의 한 종류의 특징을.
*mit Rücksicht auf : ~에 관련하여 / gewinnen : win (이기다, 노력해서 얻다) / die Beständigkeit : 불변성
Der Leib, können wir sagen, hat immer Empfindungszustände, und welche besonderen er hat, das hängt von dem zugehörigen System vom realen Umständen ab, unter denen er empfindet.
The Body, we can say, always has states of sensation, and which particular ones it has depends on the concomitant system of real circumstances under which it senses.
육체는, 우리는 말할 수 있다, 항상 감각상태들을 가진다고, 그리고 어떤 특정한 것[감각상태]을 그가[육체가] 가지는지는 실제적 상황들에 수반되는 체계에 의존한다. 그 [상황들] 아래에서 그는[육체는] 감각한다.
*der Zustand : status / zugehörig von et.3 : concomitant of
Unter den realen Umständen des “Stiches” an der und der Leibesstelle tritt im Empfindungsfeld (als Zustandsfeld) die zuständliche Empfindung “Stichempfindung” ein
Under the real circumstances of the "sting" in this or that part of the Body, there emerges in the sensation field (as a field of states) the state of sensation, "sting-sensation."
아무 육체장소에서의 “찔림”의 실제적 상황들 아래에서 (상태장으로서) 감각장 안으로 상태에 따른 감각, [즉] “찔림 감각”이 들어선다.
*der und der : 아무(개), 모(某)(씨) / zuständlich : 상태에 따른
; unter den realen Umständen, die wir als Hineintreten in ein heißes Zimmer bezeichnen, tritt eine Änderung im ganzen lokalisierten Feld ein hinsichtlich seiner Gesamtschicht Wärmeempfindung, im Sinne der Wärmesteigerung usw.
Under the real circumstances we call entrance into a hot room, a change occurs in the total localized field with respect to its total stratum of warmth sensation in the sense of rising temperature, etc.
실제적 상황들 아래에서, 우리가 어떤 뜨거운 방으로 들어감이라 부르는 [실제적 상황들 아래에서,] 어떤 변화가 들어선다, 전체 위치화된 장 내로, 열 감각의 총체적 층의 관점에서, 열상승 등의 의미에서.
*jn/et.4 als ~ bezeichnen : ~을 ~라 부르다 / die Wärme : 열, 온도 / die Steigerung : raise (←steiger : raise) / im Sinne der : ~의 의미에서
Die Empfindsamkeit des Leibes konstituiert sich also durchaus als eine “konditionale” oder psychophysische Eigenschaft.
The sensitiveness of the Body thus is constituted throughout as a "conditional" or psychophysical property.
육체의 감수성은 구성된다, 그러므로 전부 “조건적인” 혹은 심리물리적인 속성으로서.
*die Empfindsamkeit : 감수성 / durchaus : throughout
Und das geht in die Apperzeption des Leibes, wie er “äußerlich” wahrgenommen ist, ein.
And that enters into the apprehension of the Body, as it is perceived "externally."
그리고 그것은[심리물리적 속성은] 육체의 통각 속으로 들어간다, 그가[육체가] “외부적으로” 지각되는 방식으로.
Zur Auffassung der Leiblichkeit als solcher gehört nicht nur die Dingauffassung, sondern die Mitauffassung der Empfindungsfelder, und zwar sind sie gegeben als in der Weise der Lokalisierung zugehörig zum erscheinenden Leibkörper.
To the apprehension of Corporeality as such belongs not only the apprehension of a thing but also the co-apprehension of the sensation fields, and indeed these are given as belonging, in the mode of localization, to the appearing Corporeal body
그런 육체성의 파악으로 속한다, 사물파악 뿐만 아니라, 감각장들의 동반파악 또한. 부연하자면 그것들은[감각장들은] 주어진다, 위치지어짐의 방식으로, 현출하는 육체물체에 속하는 것으로서.
“Zugehörig” : phänomenologisch drücken sich damit Verhältnisse des phänomenalen “wenn-so” aus
"Belonging:" phenomenologically, this term expresses relations of the phenomenal "if-then"
“속함”[이라는 용어는] 현상학적으로 표현된다, 현상적 “만약-그렇다면”의 관계를 위해.
*ausdrücken : express / damit : ~을 위해
: ich empfinde, wenn die Hand berührt, gestoßen wird etc.
: if my hand is touched or struck, then I sense it.
: 나는 감각한다, 만약 손이 만져지고, 찔려진다면 등.
Die Hand steht dabei nicht da als ein physischer Körper und daran geknüpft eine außerphysische Folge, sie ist von vornherein apperzeptiv charakterisiert als Hand mit ihrem Empfindungsfeld, mit ihrem immerfort mitaufgefaßten Empfindungszustand, der sich infolge der äußeren Einwirkung ändert, d.h. als eine physisch-aesthesiologische Einheit.
We do not here have the hand as physical body and, connected with it, an extra-physical consequence. From the very outset it is apperceptively characterized as a hand with its field of sensation, with its constantly co-apprehended state of sensation which changes in consequence of the external actions on it, i.e., as a physical-aesthesiological unity.
손은 그때 존립한다, 어떤 물리적 물체로서가 아니게, 그리고 그것[물리적 물체]과 연결된 어떤 외부물리적 결과가 아니게. 그것은[손은] 처음부터 통각적으로 특징적이다, 손으로서, 그것의[손의] 감각장과 함께, 그것의[손의] 끊임없이 동반파악된 감각상태와 함께. [감각상태는] 외부적인 영향에 의하여 바뀌어진다. 다시 말해 [손은] 어떤 물리적-감각학적 통일체로서 [처음부터 통각적으로 특징적이다].
*dastehen : 거기 서있다 / anknüpfen : connect / infolge : ~에 의하여 / ändern : chage, alter / die Einwirkung : influence, effect / die Aesthesiologie : aesthesiology (the study of the senses and of sensations)
Ich kann abstraktiv physische und aesthesiologische Schicht scheiden, aber eben nur abstraktiv
In the abstract, I can separate the physical and aesthesiological strata but can do
so precisely only in the abstract.
나는 물리적 [층] 그리고 감각학적 층을 추상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하지만 다만 추상적으로[만 두 층을 분리할 수 있다.]
*eben nur : 다만
: in der konkreten Wahrnehmung steht der Leib als eine neuartige Auffassungseinheit da.
In the concrete perception, the Body is there as a new sort of unity of apprehension.
구체적인 지각 속에서 육체는 존립한다, 하나의 신종 파악통일체로서.
*neuartig : 신종의
Er ist konstituiert als eine eigene Objektität, die sich dem formal-allgemeinen Begriff der Realität einordnet als ein Ding, das seine identischen Eigenschaften gegenüber wechselnden äußeren Umständen bewahrt.
It is constituted as an Objectivity in its own right, which fits under the formal-universal concept of reality, as a thing that preserves its identical properties over against changing external circumstances.
그것은[육체는] 구성된다, 하나의 고유한 대상성으로서. [그 대상성은] 실재의 형식적-보편적 개념에 편입된다, 하나의 사물로서. [그 사물은] 자신의 동일한 속성을, 바뀌는 외부적 상황들에 반해, 보존한다.
*der Begriff : concept (=be- + der Griff : 붙잡음, 쥠) / sich einordnen : 편입되다 / wechseln : change(switch) / bewahren : 보존하다 (=be- + wahren : 지키다)
Dabei sind aber die Abhängigkeitsbeziehungen, in denen es zur äußeren Natur steht, andere als die der materiellen Dinge untereinander.
The relations of dependency under which it stands toward external nature are thereby, however, other than the ones material things have amongst themselves.
그때 거기에 그러나 의존성 관계들이 있다, 그 안에는 그것이[사물로서 육체가] 외부 자연을 향해 존립한다. 물질적 사물들의 서로간 의존성 관계들과는 다르게.
*die Abhängigkeit : 의존성 / untereinander = gegenseitig (each other), miteinander (among ourselves/themselves)
(Daß der Leib außerdem auch als materielles Ding wie alle anderen sich dem Realitätszusammenhang im engeren Sinne – dem kausal geregelten – einordnet, ist bereits erwähnt worden und wird im Folgenden noch näher erörtert.)
(It has already been mentioned, and it will be discussed with more precision in what follows, that the Body, in addition, as a material thing like all others, is fit within the nexus of reality in a more strict sense, namely, the one of causal regulation.)
(뿐만 아니라 육체도 물질적 사물로서 모든 다른 것들과 같이 좁은 의미의 실재연관에 –인과적으로 규정된 것[실재연관]에- 편입된다는 것은 이미 언급되었고 다음에서 더욱더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außerdem : 뿐만 아니라 / im engeren Sinne : 좁은 의미에서 / regeln : regulate / erwähnen : mention / noch : (형용사의 비교급과 함께 강조어로) 더욱더 / näher : 더 상세한 / erörtern : discuss in detail(상론하다)
(수업 : 이남인, <서양현대철학연습> (2022-2))
(영역 : Richard Rojcewicz and Andre Schuwer(1989))
'철학 > 현상학 일차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설] "다른 물질적 사물들과 상반되는 물질적 사물로서 육체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41절) (1/3) (2) | 2022.12.03 |
---|---|
[후설] "위치감각의 위치화와 육체의 비사물적 속성들에 관한 세부사항들" (『이념들2』 2부 3장 40절) (2/2) (1) | 2022.12.02 |
[후설] "더 높은 대상성들의 구성을 위한 육체의 중요성" (『이념들2』 2부 3장 39절) (1) | 2022.12.02 |
[후설] "의지기관과 자유로운 운동의 담지자로서 육체" (『이념들2』 2부 3장 38절) (0) | 2022.12.02 |
[후설] "시각적 [영역] 그리고 촉각적 영역 사이의 차이들" (『이념들2』 2부 3장 37절) (3/3) (2)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