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현상학 일차문헌

[후설] "다른 물질적 사물들과 상반되는 물질적 사물로서 육체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41절) (2/3)

현담 2022. 12. 3. 13:03

b) Eigentümlichkeit der Erscheinungsmannigfaltigkeiten des Leibes.

b) Peculiarity of the manifolds of appearance of the Body

b) 육체의 현출다양성들의 고유성

*die Eigentümlichkeit : peculiarity

 

   Mit der beschriebenen Auszeichnung hängen andere Eigentümlichkeiten des Leibes zusammen.

   Other peculiar properties of the Body are conjoined with its distinctive character as we have described it.

   기술된 탁월성과 함께, 육체의 다른 고유성들이 관련되어 있다.

 

Während ich allen anderen Dingen gegenüber die Freiheit habe, meine Stellung zu ihnen beliebig zu wechseln und damit zugleich die Erscheinungsmannigfaltigkeiten, in denen sie mir zur Gegebenheit kommen, beliebig zu variieren, habe ich nicht die Möglichkeit, mich von meinem Leibe oder ihn von mir zu entfernen, und dem entsprechend sind die Erscheinungsmannigfaltigkeiten des Leibes in bestimmter Weise beschränkt

Whereas, with regard to all other things, I have the freedom to change at will my position in relation to them and thereby at the same time vary at will the manifolds of appearance in which they come to givenness for me, on the other hand I do not have the possibility of distancing myself from my Body, or my Body

from me, and accordingly the manifolds of appearance of the Body are restricted in a definite way

[다음과 같은] 반면에, [] 내가 모든 다른 사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자유를 가진다, 그것들을[사물들을] 향한 나의 자세를 마음대로 바꿀 [자유를,] 그리고 그[자세를 바꿈]와 함께 동시에 현출다양성을, 그 안에서 그것들이[사물들이] 내게 소여로 오는 [현출다양성들을] 마음대로 다양하게 할 [자유를 가지는 반면에], 나는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가지지 않는다, 나를 나의 신체로부터 혹은 그것을[나의 신체를] 나로부터 멀리할 [가능성을], 그리고 그와 상응하여 육체의 현출다양성들은 규정된 방식으로 제한된다.

 

*gegenüber : ~ 맞은 편에 (후치도 가능), ~와 비교해서 (후치도 가능), ~에 대해, ~를 대하며 (후치만 가능) / beliebig : 임의로, 마음대로 / variieren : vary / beschränken : restrict

 

*현출다양성(mannigfaltigkeit)이 무엇인가? (E) ‘()’보다는 로 봤는데, 단순하게 다양한 현출들을 말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잔을 흔들면, 시간 흐름 속에서, 하나의 공간 속에서 매 국면마다의 현출이 있을 때 그것들을 일컫는 것이다. (A) 공간적 측면이든 시간적 측면이든 다양하게 드러나는 것들, 혹은 순간적으로 주어지는 것들이다. (교수님) 다양하게 드러나는 모습들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E)

 

: gewisse Körperteile kann ich nur in eigentümlicher perspektivischer Verkürzung sehen, und andere (z.B. der Kopf) sind überhaupt für mich unsichtbar.

: certain of my corporeal parts can be seen by me only in a peculiar perspectival

foreshortening, and others (e.g., the head) are altogether invisible to me.

특정한 신체부분들을, 나는, 오직 고유한 관점적 제약 속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것들은[신체부분들은] (예컨대, 머리는) 일반적으로 내게 보일 수 없는 것이다.

 

*die Verkürzung : foreshortening(단축, 제한)

 

Derselbe Leib, der mir als Mittel aller Wahrnehmung dient, steht mir bei der Wahrnehung seiner selbst im Wege und ist ein merkwürdig unvollkommen konstituiertes Ding.

The same Body which serves me as means for all my perception obstructs me in the perception of it itself and is a remarkably imperfectly constituted thing.

동일한 육체는, 내게 모든 지각의 수단으로서 봉사하는 [육체는], 자기 자신의 지각에 있어 내게 방해가 되고, [그래서 육체는] 하나의 현저하게 불완전하게 구성된 사물이다.

 

*dienen : serve / im Wege stehen : 방해하다 / merkwürdig : remarkable / unvollkommen : imperfect

 

*신체는 다른 것을 지각할 때는 수단으로서 봉사하는데, 정작 자기를 지각하려면 방해가 된다. 오늘 이 두 부분, a) 방향설정 중심으로서의 신체와 b) 불완전하게 구성된 신체 부분은 여기저기서 많이 인용된다. (교수님)

 

*불완전하게 구성되는 이유가 단지 안 보이는 곳이 있어서 그런가? (B) 경험이 제대로 안 되어서 구성이 제대로 안 됨. 뒤통수는 비록 만질 수는 있지만, 내장 같은 건 만질 수도 없다. (교수님) 그래서 현저하게(merkwürdig)’라고 표현한 것 같다. 내장을 보려고 배를 가르고 이런 일은 일반 사물을 보는 일보다 현저하게 어렵다. (D) 맞다, 구성은 되되 불완전하다는 것이지 아예 구성이 안 된다는 말이 아니다. (교수님) 몸 전체가 불완전하게 구성된다는 말인가, 몸 부분가 불완전하게 구성된다는 말인가? (B) 몸 전체로 보인다. 그렇다고 몸 부분이 아닌 것은 아니지만 일차적으로는 Leibesteil이 아니라 Leib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교수님)

 

*유기체적 몸에는 목적이 상정되어 있는가? (E) 그렇다. 후설 현상학에서의 목적론과 관련하여 phenomenologica로 출판된 저작이 있다. (교수님) 어떤 목적인가? 눈은 보는 게 목적이다 같은 단순한 수준인지, 더 무언가 있는지 궁금하다. (E) 모든 것이 목적적이다. 인생 전체로서도 그렇고 순간순간에도 목적이 있다. 수업을 듣는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수업을 이해하려고 노력 중이다. 지향성 자체가 목적적이다. 그래서 목적론은 현상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후설은 인류 전체가, 역사 전체가 목적론적이라고 하기도 한다. (교수님) 세계나 초월론적 초세계 전체가? (E) 맞다. 인간은 말할 것도 없고 우주 전체가 그렇다. (교수님)

 

 

(수업 : 이남인, <서양현대철학연습> (2022-2))

(영역 : Richard Rojcewicz and Andre Schuwer(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