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현상학 일차문헌

[후설] "육체를 통한 영혼적 실재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35절)

현담 2022. 10. 4. 12:47

Drittes Kapitel (3)

 

Die Konstitution der seelischen Realität durch den Leib

THE CONSTITUTION OF PSYCHIC REALITY THROUGH THE BODY

육체를 통한 영혼적 실재의 구성

*seelischen : 영혼적 (die Seele : soul) / durch : through

 

35Überleitung zur konstitutiven Betrachtung des “Menschen als Natur”

Transition to the study of the constitution of "man as nature"

자연으로서 인간들에 관한 구성적 고찰로의 이행

*die Überleitung : transition, 이행 (=Über- : trans-, - + leiten : conduct, 이끌다) / die Betrachtung : study, consideration, 고찰, 숙고 (=be- : ~에 관하여 + trachten : seek, 바라다, 지망하다) (betrachten : 고찰하다) / der Mensch : 인간, 사람 / die Natur : 자연

 

   Das Thema der folgenden Betrachtungen soll nun die Konstitution der Naturrealität Mensch (bzw. animalisches Wesen) sein, d.h. des Menschen, wie er sich in der naturalistischen Betrachtung darbietet : als materieller Körper, auf den sich neue Seinsschichten, die leiblich-seelischen, aufbauen.

   Now, the theme of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is to be the constitution of the natural reality, man (or animal being), i.e., the constitution of man as he presents himself to a naturalistic point of view: as material body upon which are constructed new strata of being, the Bodily-psychic.

   이어질 고찰들의 주제는 이제 자연 실재[로서] 인간의 (내지는 동물적 본질의) 구성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 [인간]가 자연적인 고찰에서 스스로 드러내는 방식의 인간[의 구성을 고찰해야 한다는 말이다.] : 물질적인 신체(Körper)로서, 그 위에 새로운 존재 층위들, [] 육체(leiblich)-영혼적[인 것]이 쌓아올려지는 [물질적인 신체로서 말이다.]

 

*folgenden : following (folgen : follow) / soll : 마땅히 ~해야 한다 / nun : now / bzw. = beziehungsweise : 내지는 (=die Beziehung : 연관 + die Weise : 방법) / d.h. = das heißt : that is / sich darbieten : 모습을 드러내다, present himself / der Körper : 신체 / auf : ~위에 (4) / die Schicht : / aufbauen : 짓다, build

 

*자연적 실재로서의 인간(Naturrealität Mensch)이 무엇인가? 동물적 본질(animalisches Wesen - 살아있는 것, 생명적인 것), 자연적 고찰(naturalistischen Betrachtung)에서 드러나는 대로의 인간, 물질적 신체(materieller Körper). 그런데 생명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이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쌓아 올려진 것으로서 육체-영혼적인 것(leiblich-seelischen)과 물질적 신체(materieller Körper)는 같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생명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도 같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수업)

 

*자연적(naturalistischen)’이 무엇인가? 자연과학을 포함한 광의의 자연적인가, 자연과학만을 이야기하는 협의의 자연적’(자연주의적)인가? 아니면 자연과학을 배제한 자연적’(일상적, 생활세계적)인가? (수업) - 우선 협의의 자연적은 아닌 것 같다. 후설은 물질적인 신체는 육체-영혼적인 것 혹은 생명적인 것 아래에서 그것들을 정초하고, 육체-영혼적인 것 혹은 생명적인 것은 물질적인 신체 위에서 구성된다고 말하는데, 그 맥락 속에서 사용된 물질적혹은 생명적자연과학적관계 속에서의 자연과학적속성을 담지하는 말 같지는 않기 때문이다. 나는 광의의 자연적이지 않나 싶다. 영혼을 가지고 육체를 움직인다고 흔히 말해지는 우리 인간, 즉 일상적 인간의 구성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후설 스스로 자연적을 말할 때 상위 구성 층위를 제한하지 않고 있고 새로운 존재 층위이 쌓일 여지를 남겨두기 때문이다. (사견)

 

*자연적 태도에서의 구성적 분석인가, 초월론적 태도에서의 구성적 분석인가? : 후설의 지향성 분석이 다른 철학자들과 차별되는 지점은 지향성이 새로운 의미를 나가는 과정, 즉 구성하는 과정이 밝혀졌다는 점이다. 자연적 태도에서의 구성적 분석을 탁월하게 분석한 현상학자 중 알프레드 슈츠가 있다. 그의 연구는 사회적 세계에 대한 구성적 분석이었다. 자연적 태도의 구성적 현상학에서는 세계를 있는 것들의 총체로밖에 못 본다. 세계는 단지 대상들의 합이니깐 큰 대상에 불과하다. 그러나 초월론적 태도로 가면 의미 지평으로서의 세계, 그 의미적 구조가 다 드러나게 된다. 후설의 경우. 초월론적 태도까지 내려가야 여러 태도를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자연적 태도를 얘기하더라도 초월론적인 태도에서의 구성적 분석의 일환이다. (수업)

 

Es ist möglich, daß in diese konstitutive Betrachtung manches hineingezogen werden muß, was spätere Untersuchungen als dem personalen oder geistigen Ich zugehörig erweisen werden.

It is possible that in this constitutive consideration much will have to be included that subsequent investigation will show as belonging to the personal or spiritual Ego.

이러한 구성적 고찰에서 많은 것들이 끌어들여질 수밖에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많은 것들은] 추후의 탐구가 인격적인 혹은 정신적인 자아에게 속함을 증명할 [것들이다.]

 

*manch : many (형용사, 대명사) / hineinziehen : 끌어들이다 (=hin- : 특정한 방향으로 + ein- : 안으로의 이동 + ziehen : 끌다) / später : later / geistig : 정신적인 (der Geist : 생명(), 정신) / zugehören : ~에게 속하다, ~의 일부를 이루다 (=zu : ~+ gehören : belong) / erweisen : 증명하다, 표명하다 (=er- : 안에서 밖으로 + weisen : 가리켜 보이다)

 

Die endgültige Scheidung zwischen dem “Menschen als Natur” und dem “Menschen als Geist” sowie die Feststellung der gegenseitigen Beziehungen wird erst geschaffen werden können, wenn beide Objektivitäten einer konstitutiven Betrachtung unterzogen worden sind.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the ultimate distinction between" man as nature" and" man as spirit,"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heir reciprocal relations, only when both these Objectivities have been subject to constitutive study.

자연으로서 인간정신으로서 인간최종적인 구별, 나아가 상호적인 관계들의 설립은 다음과 같은 때에만 창조될 수 있을 것이다. 두 객관성들[자연으로서 인간과 정신으로서 인간]이 하나의 구성적 고찰에 복속되었을 때.

 

*endgültig : 최종의, 결정적인 (=end- : end + gültig : 유효한 (gelten : 유효하다)) / die Scheidung : 분리, 구별 / zwischen : between / sowie : as well as / die Feststellung : establishment (=fest : firm(ly) + stellen : 세우다 + -ung) / gegenseitig : 상호의 (=gegen- : 반응, 대응 + -seitig : ~측의) / schaffen : create / beide : both / unterziehen : 복종시키다 (=unter- : under + ziehen : 끌다)

 

*왜 이러한 대상들(자연으로서의 인간과 정신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구성적 고찰을 하게 되면 양자의 궁극적 차이와 양자 관계의 확정이 가능할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인가?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수업)

 

   Suchen wir nun den Ausgangspunkt für unsere konstitutive Analyse, so müssen wir in Rechnung ziehen, was sich uns bei der Konstitution der materiellen Natur herausgestellt hat : daß sie nämlich mit ihrem gesamten anschaulichen Bestande bezogen ist auf animalische Subjekte.

   If we now look for a point of departure for our constitutive analysis, then we must take into account what came to light for us as regards the constitution of material nature, namely, that it, with its entire intuitive content, is related to animal subjects.

   이제 우리가 우리의 구성적 분석을 위한 출발점을 찾는다면, 우리는 [다음의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 물질적 자연의 구성을 통해 우리에게 밝혀졌던 것[을 말이다.] : , 그것[물질적 자연]은 총체적인 직관적 내용과 함께 동물적 주체들과 관련된다.

*der Ausgangspunkt : 출발점 (=der Ausgang : 외출 (=aus : 밖으로 + der Gang : 걸음) + s + der Punkt : point) / in Rechnung ziehen : take into account, 고려하다 / sich herausstellen : 밝혀지다 (=her : 말하는 사람으로의 방향 + aus : 밖으로 + stellen : 세우다) / gesamt : total(ly) (=ge- : 집합, 공통 + sammeln : collect) / anschaulich : 직관적인, 뚜렷한, 생생한 (=an- : 사물에의 접근, 접촉 + schauen : 보다) / der Bestand : content (bestehen : to consist in (=be- : ~에 의해 + stehen : 서다) cf. Bestandcontinued existence, continuance (bestehen : exist, withstand (=be- : 자동사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상태 불변의 뜻을 보강 + stehen : 서다)라는 뜻도 있지만 여기서는 자연스럽지 않음. / auf et.4 beziehen : 관련하다

 

*sie는 무엇인가? 물질적 자연(materiallen Nature)인가 물질적 자연의 구성(der Konstitution der materiellen Natur)인가? 전자이다. 동물적 주체들(animalische Subjekte)과 연결된 것이기 때문. (수업)

 

Wir dürfen also, wenn wir an die Konstitution des Naturobjektes, “Mensch” herangehen, nicht schon seinen Leib als voll konstituiertes materielles Ding voraussetzen, sondern müssen zunächst verfolgen, was sich schon vor bzw. korrelative zu der materiellen Natur von dem psychophysischen Subjekt konstituiert.

Hence when we approach the constitution of the natural Object, "man," we may not already presuppose his Body as a fully constituted material thing but instead must at first pursue what is already constituted prior to, or correlative with, material nature, as regards the psychophysical subject.

우리는 그러므로, 우리가 인간”[이라는] 자연적 대상의 구성에 접근할 때, 완전히 구성된 물질적 사물로서 그[인간]의 육체를 미리 전제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우리는] 우선 [다음의 것을] 추적해야 한다. 심리물리적 주체에 의해 물질적 자연보다 이미 전에 내지는 상관적으로 구성된 것[을 말이다.]

 

*herangehen : approach (=heran : 이쪽으로, 가까이로 + gehen : 가다) / voraussetzen : presuppose (=vor : 전에 + aussetzen : 내놓다 (=aus : 밖에 + setzen : 앉히다)) / voll : full(ly) / sondern : but instead, 오히려, 그와 달리 / zunächst : 우선 (=zu : to + nächt : 바로 다음의, 가장 가까운) / verfolgen : pursue (=ver- : 자동사를 타동사로 변경 + folgen : 뒤를 밟다)

 

*심리물리적 주체(psychophysischen Subjekt)와 물질적 자연(materiellen Natur)의 관계는 무엇인가? 층위를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가? 심리물리적 주체(위에서의 육체-영혼적인 것?)는 구성된 것인데, 그것은 물질적 자연의 층 이전에 혹은 그와 상관해서 구성된 것을 구성하는 것. 그와 관련해서 Leib를 완전히 구성된 사물로 간주하지 말자고 함. 자연적 사물인 인간, 인간을 자연적 사물로 보고 접근하려고 할 때는 육체를 완전히 구성된 자연적 사물로 전제해서는 안 됨. (수업)

 

Und hier wie dort versuchen wir zuerst, wie weit wir in solipsistischer Betrachtung kommen.

And here, as before, let us first try to see how far we can advance in a solipsistic consideration.

그리고 여기서 저기서처럼 우리는 맨 먼저 시도한다. 얼마나 멀리 우리가 유아론적 고찰 안에서 도달할지를.

 

*dort : there / versuchen : 시도하다 / zuerst : 맨 먼저 / weit : far

 

*유아론적 고찰(solipsistischer Betrachtung)이란 무엇인가? 다른 육체에 대한 관심을 배제하는 고찰. 반대는 상호주관적 고찰. 원래는 상호주관인데 방법론적으로 나만 있다고 가정하고 하는 것. (수업)

 

(수업 : 이남인, <서양현대철학연습> (2022-2))

(영역 : Richard Rojcewicz and Andre Schuwer(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