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현상학 일차문헌

[후설] "위치화된 감각들의(위치감각들의) 담지자로서의 육체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36절)

현담 2022. 11. 30. 13:41

36Konstitution des Leibes als Trägers lokalisierter Empfindungen (Empfindnisse).

Constitution of the Body as bearer of localized sensations (sensings)

위치화된 감각들의(위치감각들의) 담지자로서의 육체의 구성

 

   Wir haben gesehen, daß bei aller Erfahrung von raumdinglichen Objekten der Leib als Wahrnehmungsorgan des erfahrenden Subjektes “mit dabei ist”1), und müssen nun der Konstitution dieser Leiblichkeit nachgehen.

1) Vgl. S. 55ff. und 126ff. (편집자 주)

   We have seen that in all experience of spatio-thingly Objects, the Body "is involved"1) I as the perceptual organ of the experiencing subject, and now we must investigate the constitution of this Corporeality.

1) Cf pp. 60 ff. and pp. 134 ff.

   우리는 보았다, 공간사물적 대상들에 관한 모든 경험에 경험하는 주체의 지각기관으로서 육체가 거기에 함께 있다는 것을1), 그리고 [우리는] 이제 이러한 육체성의 구성을 추적해야 한다.

1) 55페이지 이하 그리고 126페이지 이하를 참조하라!

 

*nachgehen : follow, pursue, investigate (=nach : ~따라 + gehen : 가다) / vgl. = vergleich! : 참조/비교하라! / S. = Seite : 페이지 / ff. = folgende Seiten : 다음 페이지 이하 (cf. f. = folgende Seite : 다음 페이지)

 

*거기에 함께 있다(mit dabei ist)”는 것은 무엇인가? 공간사물적 대상에 대한 모든 경험에서 육체가 경험하는 지각기반으로서 늘 거기에 있다는 것. 그래서 이러한 육체성의 구성을 공간사물적 대상에 대한 경험과 육체의 관계를 주제로 하여 추적해야 함. (수업)

 

Wir können dabei gleich den besonderen Fall wählen, daß der räumlich erfahrene Körper, der mittels des Leibes wahrgenommen wird, der Leibkörper selbst ist.

We can thereby choose immediately the special case in which the spatially experienced body, perceived by means of the Body, is the Corporeal body itself.

우리는 거기에서 곧바로 특수한 경우를 고를 수 있다, 공간적으로 경험된 물체가, [] 육체를 매개로 지각된 [물체가], 육체물체 자체[인 경우를 말이다.]

 

*wählen : 고르다, 숙고하다 / gleich : 즉각적으로, 곧바로 / besonder : particular / mittels : by means of / wahrnehmen : perceive (=wahr : true + nehmen : take)

 

*여기서 특수한 경우는 공간적으로 경험된 물체가 육체인 경우, 즉 몸으로 몸을 만지거나 보는 경우임. (수업)

 

*LeibKörper는 어떻게 구별되는가? (수업) Leib는 사는 신체, 구성하는 신체. Körper는 꼭 신체가 아니라 사물 또는 물체로 번역될 때도 있고, 그냥 대상으로 볼 때의 신체. LeibKörper를 영역자는 대문자와 소문자로 구별해주는 듯함. (A)

 

Denn äußerlich wahrgenommen wird ja auch er, wenn auch innerhalb gewisser Grenzen, die es nicht gestatten, ihn ohne weiteres als ein Ding wie andere im dinglichen Zusammenhang anzusehen.

For this too is perceived from the outside, although within certain limits, preventing it from being considered, without qualification, as a thing like any other in a thingly nexus.

그것은[육체물체는] 또한 아무렴 외부적으로 지각되기 때문이다. 비록 일정한 한계 내에서, [그 한계는] 허용치 않는다, 그것을[육체물체를] 유보 없이 하나의 사물로서 다른 것들[물체들]처럼, 사물적 연관 속에서, 간주하는 것을.

 

*denn : because / ja : 확실히, 아무렴 / die Grenze : limit / wenn auch : albeit, even though / gewiss : certain / gestatten : allow / ohne weiteres : without qualification (cf. das Weitere : 기타(의 일), 자세한 사항) / der Zusammenhang : context, relation (=zusammen : together + der Hang : 매달리기) / ansehen : 간주하다, 고려하다, 감상하다

 

So gibt es Teile des Körpers, die zwar tastend wahrgenommen, aber nicht gesehen werden können.2)

2) Zur Konstitution des Leibes als Dinges vgl. S. 157ff. (편집자 주)

Thus there are parts of this body which can indeed be perceived by touch but cannot be seen.

2) As to the constitution of the Body as a thing, cf pp. 165 ff.

그렇게[일정한 한계 내에서 외부적으로 지각되는] 신체[육체물체]의 부분들이 있다. 만져 지각되지만, 보여질 수는 없는 [신체의 부분들이 말이다.]

2) 사물로서 육체의 구성에 관해서는 157페이지 이하를 참조하라!

 

*es gibt : there is/are / zwar A aber B : A이긴 하지만 B이다.

 

Wir können aber davon zunächst absehen und von den Teilen ausgehen, die zugleich tastbar und sichtbar sind.

At first, however, we may disregard these and begin instead with parts that we can both touch and see.

우리는 하지만 그에 대해 우선은 도외시하고 [다음] [신체의] 부분들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그 부분들은] 동시에 만져질 수 있고 보여질 수 있다.

 

*von et.3 ausgehen : ~로부터 시작하다 / zugleich : 동시에 (=zu- : ~+ gleich : same)

 

Ich kann sie umschauen und umtasten wie andere Dinge, und die Erscheinungen haben in dieser Hinsicht ganz denselben Zusammenhang wie andere Dingerscheinungen.

I can look at them and feel them, just like other things, and in this respect the appearances have entirely the same nexus as do other appearances of things.

나는 그것들을[동시에 만져질 수 있고 보여질 수 있는 신체의 부분들을] 둘러보고 둘러만질 수 있다, 다른 사물들처럼. 그리고 현출들은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완전히 똑같은 연관을, 다른 사물현출들처럼.

 

*umschauen = umsehen : look around / umtasten : touch around / in dieser Hinsicht : 이러한 관점에서 (die Hinsicht : 둘러봄, 관점, 고려 (=hin- : 화자 쪽에서 멀어짐 + die Sicht : (바라) ))

 

Aber nun ist ein Unterscheid zwischen den etwa auf eine Hand bezüglichen visuellen Erscheinungen und den taktuellen.

But now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the visual appearances and the tactual regarding, e.g., a hand.

하지만 이제 하나의 차이가 있다, 가령 하나의 손과 관계있는 시각적 현출들과 촉각적 [현출들] 사이에.

 

*etwa : 가령 / auf et. bezüglich : ~과 관계있는 / taktuell : tactual(ly)

 

Die linke Hand abtastend habe ich Tasterscheinungen, d.h. ich empfinde nicht nur, sondern ich nehme wahr und habe Erscheinungen von einer weichen, so und so geformten, glatten Hand.

Touching my left hand, I have touch-appearances, that is to say, I do not just sense, but I perceive and have appearances of a soft, smooth hand, with such a form.

왼손을 더듬으면서, 나는 촉각현출들을 가진다, 다시 말해 나는 단지 감각할 뿐만 아니라, 나는 지각하고 어떤 부드럽고, 이러저러하게 모양을 갖춘, 매끄러운 손에 관한 현출들을 가진다.

 

*abtasten : (손으로) 더듬어 찾다 / weich : soft / so und so : 이러저러하게 / glatt : smooth

 

Die anzeigenden Bewegungsempfindungen und die repräsentierenden Tastempfindungen, die an dem Ding “link Hand” zu Merkmalen objektiviert werden, gehören der rechten Hand zu.

The indicational sensations of movement and the representational sensations of touch, which are Objectified as features of the thing, "left hand," belong in fact to my right hand.

지시하는 운동감각들과 재현하는 촉감각들은, “왼손이라고 하는 사물에서 징표들로 대상화되는 [운동감각들과 촉감각들은] 오른손에 속한다.

 

*anzeigen : 신고하다, 가리키다 (=an- : 옆에 + zeigen : 보여주다) / das Merkmal : 표지, 특징

 

*지시하는 운동감각(Bewegungsempfindungen)과 재현하는 촉감각(Tastempfindungen)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오른손으로 왼손을 만지면 맨질맨질하다는 등의 징표로 우리에게 왼손이 드러남. 그렇게 드러날 때 그 밑에 운동감각이 있다. 운동감각은, 내가 손을 이쪽으로 움직이면 이런 징표감각(촉감각), 저쪽으로 움직이면 저런 징표감각이, 운동감각이 바뀌면서 징표감각이 바뀔 것을 지시해준다. ‘이거구나, 저거구나하게끔 운동감각이 촉각을 지시해준다. 지시한다는 것은 발생적인 가능조건. motivation. 동기연관. (교수님) 운동감각이 없으면 감각이 가능하지 않다, 혹은 운동감각이 없는데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경우가 없다는 것인데, 주체가 가만히 있는 경우에도 우리가 감각을 할 수 있다면, 주체가 가만히 있는 경우에도 운동 감각이 있다고 해야 하는가? (B) 가만히 있는 경우에 운동감각이 있다고 해야 한다. 정지가 운동의 연속성 속에서 일어나는 거 아닌가? 정지도 운동감각을 전제하는 것 같다. (교수님)

 

Aber die linke Hand betastend finde ich auch in ihr Serien von Tastempfindungen, sie werden in ihr “lokalisiert”, sind aber nicht Eigenschaften konstituierend (wie Rauhigkeit und Glätte der Hand, dieses physischen Dinges).

But when I touch the left hand I also find in it, too, series of touch-sensations, which are "localized" in it, though these are not constitutive of properties (such as roughness or smoothness of the hand, of this physical thing).

하지만 왼손을 만지면서, 나는 또한 그[왼손] 속에서 발견한다, 촉감각들에 관한 계열들을. 그것들은[계열들은] 그 속에서 위치지어진다”, 하지만 [그것들은] 속성들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손의, 이러한 물리적 사물의 거침과 부드러움처럼)

 

*betasten : (손으로) 만지다 (=be- + tasten : 손으로 더듬다) / die Serie : 계열, 연속 / rauhig : rough

 

*속성들(Eigenschaften)과 촉감각 계열들(Serien von Tastempfindungen)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touch-appearances(속성, eigenschaften)touch-sensations(장소를 가지고 있는 감각들)이 여기서 대비되고 있음. 촉각적 속성들은 객관적이라 할 수 있음. 객관적이라 할 때 어떤 의미에서 객관적인지는 살펴봐야 함. 물리학자가 연구하는 촉각적 속성은 객관적이라 할 수 있음. 일상적 촉각적 성질도 객관성이 있음. ‘오돌토돌하다’, ‘매끈매끈하다라고 말함. 정상적인 사람이라고 얘기를 했으니까 정상성의 범위 내에서 객관성이라 이야기해야 할 것. 물리학자가 얘기하는 의미에서의 객관성은 다른 의미에서 객관성. 촉감각은 주관적이면서도 객관성과 무관한 게 아님. 주관적이면서 객관적임. 1) 주관의 신체 상태, 아플 때랑 건강할 때랑 사물의 객관적 느낌이 다름. 2) 같은 손가락 부위로 만졌어도 손가락 부위와 내 몸통 간의 위치관계가 달라졌음. 3) 만지는 시간이 다름. 등등 (수업)

 

*여기서 구성은 후설 철학 내에서의 철학적 의미를 가진 용어 내지는 현상학 전문용어로 구성이 아님. 단지 사물의 속성인 것이 아니다, 사물의 속성을 이루는 부분이 아니다라는 말을 하고 싶은 것. (수업)

 

Spreche ich vom physischen Ding “linke Hand”, so abstrahiere ich von diesen Empfindungen (eine Bleikugel hat nichts dergleichen und ebenso jedes “bloß” physische Ding, jedes Ding, das nicht mein Leib ist).

If I speak of the physical thing, "left hand," then I am abstracting from these sensations (a ball of lead has nothing like them and likewise for every "merely" physical thing, every thing that is not my Body).

만약 내가 물리적 사물 왼손에 관해 말한다면, 나는 이러한 감각들을 (하나의 납탄은 그와 같은 아무것도 가지지 않고, 마찬가지로 각각의 순전한물리적 사물, 내 육체가 아닌 각 사물들도) 추상화하는 것이다.

 

*abstrahieren : 추상화하다 / die Bleikugel : 납탄 (=das Blei : lead + die Kugel : ball) / dergleichen : 그와 같은 것 (=der + gleich : 같은) / ebenso : 마찬가지로 / bloß : bare(ly), mere(ly)

 

Nehme ich sie mit dazu, so bereichert sich nicht das physische Ding, sondern es wird Leib, es empfindet.

If I do include them, then it is not that the physical thing is now richer, but instead it becomes Body, it senses.

만약 내가 그것들을 부가한다면, 물리적 사물이 풍부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이 육체가 되는 것이다, 그것은 감각한다.

 

*zunehmen : 부가하다 / sich bereichern : 풍부해지다, 부유해지다

 

Die “Berührungs” -empfindungen gehören zu jeder erscheinenden objektiven Raumstelle der berührten Hand, wenn sie eben an dieser Stelle berührt wird.

"Touch" -sensations belong to every appearing Objective spatial position on the touched hand, when it is touched precisely at those places.

접촉감각들은 속한다, 접촉되는 손의 각 현출하는 객관적인 공간위치에, 그것들이[접촉감각들이] 정확하게 이러한 위치에서 접촉될 때.

 

*berühren : 접촉하다, (가볍게) 다루다 (touch) (=be- : ~에 관하여 + rühren : 건들다, (몸의 일부를) 움직이다) / eben : precisely / die Stelle : position

 

Ebenso hat die berührende Hand, die ihrerseits wieder als Ding erscheint, ihre Berührungsempfindungen an der raumkörperlichen Stelle, wo sie berührt (bzw. von der anderen berührt wird).

The hand that is touching, which for its part again appears as a thing, likewise has its touch sensations at the place on its corporeal surface where it touches (or is touched by the other).

마찬가지로 접촉하는 손은 가진다, [접촉하는 손은] 그의 편에서 다시 사물로서 현출한다, 그것의 촉감각을, 공간물체적 위치에서, [그 위치는] 그것이[접촉하는 손이] 접촉하는 (내지는 다른 것들에 의해 접촉되는) 곳이다.

 

Ebenso : wird die Hand gezwickt, gedrückt, gestoßen, gestochen etc., von fremden Körpern berührt oder fremde Körper berührend, so hat sie ihre Berührungs-, Stich-, Schmerzempfindungen usw., und geschieht dieses durch einen anderen Leibesteilen, so haben wir dergleichen doppelt in beiden Leibesteilen, weil jeder eben für den andern berührendes, wirkendes Außending ist und jeder zugleich Leib.

Similarly, if the hand is pinched, pressed, pushed, stung, etc., touched by external bodies or touching them, then it has its sensations of contact, of being stung, of pain, etc. And if this happens by means of some other part of one's Body, then the sensation is doubled in the two parts of the Body, since each is then precisely for the other an external thing that is touching and acting upon it, and each is at the same time Body.

마찬가지로, 만약 외래의 접촉하는 물체들에 의해 혹은 외래의 물체들을 접촉하면서 손이 꼬집히고, 눌리고, 밀쳐지고, 찔리는 등이라면, 그것은 그것의 접촉-, 찌름-, 고통감각 등을 가진다. 그리고 만약 이러한 것들이[접촉-, 찌름-, 고통감각 등이] 일어난다면, 다른 육체부분을 통해서, 그렇다면 우리는 그와 같은 것들을[접촉-, 찌름-, 고통감각 등을] 이중으로 양쪽의 육체부분 속에서 가진다, 왜냐하면 각각은 바로 다른 []에 대한 접촉하고, 행하는 외부사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각은 동시에 육체[이기 때문이다.]

 

*zwicken : pinch / drücken : press / stoßen : push / stochen : sting / fremd : foreign / der Stich : sting / geschehen : happen / der Leibesteil : 육체부분 (=der Leib + es + der/das Teil : 부분(part)(m.), (share)(n.)) / wirken : 수행하다

 

Alle die bewirkten Empfindungen haben ihre Lokalisation, d.h. sie unterscheiden sich durch die Stellen der erscheinenden Leiblichkeit und gehören phänomenal zu ihr.

All the sensations thus produced have their localization, i.e., they are distinguished by means of their place on the appearing Corporeality, and they belong phenomenally to it.

모든 야기된 감각들은 자신들의 위치화를 가진다, 다시 말해, 그것들은 구별된다, 현출하는 육체성의 위치들을 통해, 그리고 현상적으로 그것에[위치화] 속한다.

 

*bewirken : 야기하다

 

Der Leib konstituiert sich also ursprünglich auf doppelte Weise

Hence the Body is originally constituted in a double way

그러므로 육체는 구성된다 근원적으로 이중적인 방식으로.

 

*ursprünglich : 기원의, 근원의 (die Ursprung : 기원, 근원)

 

: einerseits ist er physisches Ding, Materie, er hat seine Extension, in die seine realen Eigenschaften, die Farbigkeit, Glätte, Härte, Wärme und was dergleichen materielle Eigenschaften mehr sind, eingehen

first, it is a physical thing, matter; it has its extension, in which are included its real properties, its color, smoothness, hardness, warmth, and whatever other material qualities of that kind there are.

한편으로 그것은[육체는] 물리적 사물, 물질이다. 그것은 자신의 연장을 가진다, [연장] 안에는 자신의 실제적 속성들, 색채성, 매끄러움, 단단함, 따뜻함 그리고 그밖에 그와 같은 물질적 속성들이 있고, 들어간다.

 

*die Farbigkeit : colorfulness (=farbig : colorful + -keit : 명사화) / die Härte : hardness / die Wärme : warmth / mehr : 더 많이, 그밖에, 그위에 / eingehen : enter

 

; anderseits finde ich auf ihm, und empfinde ich “auf” ihm und “in” ihm

Secondly, I find on it, and I sense" on" it and" in " it

다른 한편으로, 나는 발견한다 그것[육체] 위에서, 그리고 나는 감각한다 그것 위에서 그리고 그것 안에서.

 

: die Wärme auf dem Handrücken, die Kälte in den Füßen, die Berührungs-empfindungen an den Fingerspitzen.

: warmth on the back of the hand, coldness in the feet, sensations of touch in the fingertips.

손등 위의 따뜻함, 발들 안에 차가움, 손가락 끝들에서의 접촉감각들을.

 

*der Handrücken : 손등 (=die Hand : hand + der Rücken : back) / die Kälte : coldness / die Fingerspitze : 손가락 끝 (=der Finger : finger + die Spitze : tip, top)

 

Ich empfinde ausgebreitet über die Flächen weiter Leibesstrecken den Druck und Zug der Kleider

I sense, extended over larger Bodily areas, the pressure and pull of my clothes.

나는 감각한다, 더 넓은 육체의 펼쳐짐들의 표면 위로 펼쳐져서, 옷의 눌림과 당김을.

 

*ausbreiten : spread (=aus- : 밖으로 + breiten : 넓히다, 펴다) / Fläche : surface / die Strecke : distance, stretch / der Zug : pull / der Kleider : (pl.) clothes, garment (das Kleid : dress)

 

; die Finger bewegend habe ich Bewegungsempfindungen, wobei eine Empfindungsausbreitung in veränderlicher Weise über die Oberfläche der Finger hingeht, aber in dem Empfindungskomplex ist zugleich ein Bestand, der im Innern des Fingerraums seine Lokalisation hat.

Moving my fingers, I have motion sensations, whereby a sensation in an ever changing way extends itself over and traverses the surface of the fingers, but within this sensation-complex there is at the same time a content having its localization in the interior of the digital space.

손가락을 움직이면서, 나는 운동감각들을 가진다, 거기서 어떤 감각의 펼쳐짐이 변화하는 방식 속에서 손가락의 표면 위로 스쳐지나간다, 하지만 그 감각복합체 속에 동시에 어떤 내용이 있다, [그 내용은] 손가락공간의 내부에 자신의 위치화를 가진다.

 

*veränderlich : changeable, variable / die Oberfläche : 표면 (=ober- : 위의 + fläche : ) / hingehen : 스쳐지나가다 / das Innere : interior, inside

 

Die Hand liegt auf dem Tisch.

My hand is lying on the table.

손이 탁자 위에 놓여있다.

 

*der Tisch : table

 

Ich erfahre den Tisch als ein Festes, Kaltes, Glattes.

I experience the table as something solid, cold, and smooth.

나는 탁자를 경험한다, 견고한 것, 차가운 것, 매끄러운 것으로서.

 

*fest : solid, firm

 

Sie über den Tisch bewegend erfahre ich von ihm und seinen dinglichen Bestimmungen.

Moving my hand over the table, I get an experience of it and its thingly determinations.

그것을[손을] 책상 위로 움직이면서, 나는 경험한다, 그것[책상] 그리고 그것의[책상의] 사물적 규정들에 관하여.

 

*die Bestimmung : 규정(determination) (bestimmen : determine)

 

Zugleich aber kann ich jederzeit auf die Hand achten und finde auf ihr vor Tastempfindungen, Glätte- und Kälteempfindungen usw., im Innern der Hand, der erfahrenen Bewegung parallel laufend, Bewegungsempfindungen usw.

At the same time, I can at any moment pay attention to my hand and find on it touch-sensations, sensations of smoothness and coldness, etc. In the interior of the hand, running parallel to the experienced movement, I find motion-sensations, etc.

동시에 하지만 나는 언제나 손에 유의할 수 있고 그것[] 위에서 촉감각들, 매끄러움- 그리고 냉감각들 등을 발견한다. [그리고] 손의 내부에서[], 경험되는 운동에 평행하게 움직이면서, 운동감각들 등[을 발견한다.]

 

*jederzeit : 언제나(any time) / achten auf : ~에 유의하다 / laufen : run, go

 

Ein Ding hebend erfahre ich seine Schwere, aber ich habe zugleich Schwereempfindungen, die ihre Lokalisation im Leib haben.

Lifting a thing, I experience its weight, but at the same time I have weight-sensations localized in my Body.

어떤 사물을 들어올리면서, 나는 그것의[사물의] 무게를 경험한다, 하지만 나는 동시에 무게감각들을 가진다, [그 감각들은] 자신의 위치화를 육체 속에 갖는다.

 

*heben : lift / die Schwere : 무거움(무게), 어려움(곤란), 심함(심각성)

 

Und so bietet überhaupt mein Leib, mit anderen materiellen Dingen in physische Beziehung tretend (Schlag, Druck, Stoß usw.) nicht bloß die Erfahrung physischer Vorkommnisse dar, auf den Leib und die Dinge bezogen, sondern auch spezifische Leibesvorkommnisse der Art, die wir Empfindnisse nennen.

And thus, my Body's entering into physical relations (by striking, pressing, pushing, etc.) with other material things provides in general not only the experience of physical occurrences, related to the Body and to things, but also the experience of specifically Bodily occurrences of the type we call sensings.

그리고 그렇게, 일반적으로, 나의 육체는, 다른 물질적 사물들과 함께 물리적 연관 속에 들어서면서 (때림, 눌림, 찔림 등), 단지 물리적 사건들의 경험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와 사물들에 관련되면서, 우리가 [위치]감각들이라 부르는 종의 종적인 육체사건들 또한 [제공한다.]

 

*darbieten : present, offer / das Vorkommnis : 사건 (=vorkommen : 앞으로 나오다, 있다, 일어나다) / die Art : kind, type, species, nature, style, way

 

Solche Vorkommnisse fehlen den “bloß” materillen Dingen.

Such occurrences are missing in " merely" material things.

그러한 사건들은 단지물질적 사물들에는 결여되어 있다.

 

*fehlen : to be lacking, to be missing, to be missed, to be absent

 

   Die lokalisierten Empfindungen sind nicht Eigenschaften des Leibes als physischen Dinges, aber anderseits sind sie Eigenschaften des Dinges Leib, und zwar Wirkungseigenschaften.

   The localized sensations are not properties of the Body as a physical thing,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properties of the thing, Body, and indeed they are effect-properties.

   위치화된 감각들은 물리적 사물로서 육체의 속성이 아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그것들은[위치화된 감각들은] 사물 육체[육체라고 하는 것]의 속성이고, 부연하자면 영향속성들이다.

 

*anderseits : on the other hand / und zwar : 보다 정확히 말하면, 부연하자면, 더욱이, 게다가 / die Wirkung : 결과, 영향 (wirken : 행하다, 영향을 미치다)

 

*물리적 사물로서의 육체의 속성들(Eigenschaften des Leibes als physischen Dinges)이란 무엇인가? 예컨대, 부드러움, 딱딱함, 맨질맨질함 등. (수업)

 

*왜 영향속성들(Wirkungseigenschaften)인가? 외부의 것과 닿아서 영향을 받아서 생기는 감각이기 때문. (수업)

 

Sie treten auf, wenn der Leib berührt, gedrückt, gestochen, etc. wird, und treten da auf, wo er es wird und in der Zeit, wann er es wird

They arise when the Body is touched, pressed, stung, etc., and they arise there where it is touched and at the time when it is touched

그것들은[위치화된 감각들은] 나온다[나타난다], 몸이 접촉되고, 눌리고, 찔릴 때 등. 그리고 그것이 그것이 되는 그곳에서, 그리고 그것이 그것이 되는 그때에 나온다.

 

*dauern : last

 

*접촉되고 눌리고 찔리는 것은 모두 그 무엇에 대해서 영향을 받는 것 (수업)

 

; sie dauern nur unter Umständen noch lange nach der Berührung fort.

: only under certain circumstances do they still endure after the touching takes place.

그것들[위치화된 감각들]은 지속된다, 오직 [다음과 같은] 상황들 아래에서, [] 접촉이 지나간 후 여전히 오래가는 [상황들 아래에서.]

 

*der Umständ : 상황 (=Um- : ~둘레에 + der Stand : 서 있음, 입장) / noch : still / fort : away

 

*왜 위치화된 감각들은 항상이 아니라 특정한 상황들 아래(unter Umständen)에서만 지속되는가? 접촉의 성질에 따라 지속의 기간이 다르더라도 지속이 있긴 있다. (I) 대부분의 경우 짧겠지만, 세게 맞거나 찔리면 길게 감. 그래서 경우에 따라서만 오래지속되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생겼다 없어지는 수준으로 짧게지속된다고 이해하면 될 것. (수업)

 

Berührung besagt hier ein physisches Vorkommnis, zwei leblose Dinge berühren sich auch, aber die Berührung des Leibes bedingt an oder in ihm Empfindungen.

Touching refers here to a physical event. Even two lifeless things can touch one another, but the touching of the Body provides sensations on it or in it.

접촉은 여기서 하나의 물리적 사건을 의미한다. 두 생명 없는 사물조차 서로를 접촉할 수 있지만, 육체의 접촉은 그[육체] 위에 혹은 그[육체] 안에 위치감각들을 초래한다.

 

*besagen : 의미하다 (=be- + sagen : 말하다) / leblos : lifeless / auch : even / bedingen : 초래하다

 

*여기서 ‘Berührung’은 살아있지 않은 것들을 포함하기 떄문에 접촉이라는 번역이 좋아 보임. (수업)

 

   Es ist jetzt Folgendes zu beachten

   We must now give heed to the following

   이제 다음의 것들에 유념해야 한다

 

*beachten : 준수하다, 유념하다 (=be- + achten : ~을 존중하다, <부정문으로> 신경쓰다)

 

: um das taktuelle Ding Briefbeschwerer hier zur Wahrnehmung zu bringen, betaste ich es etwa mit dem Finger.

: in order to bring to perception here the tactual thing, paperweight, I touch it, with my fingers, for example.

촉각적 사물인 서진에 대하여, 그것을 지각에게로 가져오자면, 나는 그것을[서진을] 만진다, 가령 나의 손가락으로.

 

*der Briefbeschwerer : 서진(書鎭) (=der Brief : 문서 + beschweren : 무거운 짐을 지우다) / die Wahrnehmung : perception (wahrnehmen : perceive) / bringen : bring

 

Ich erfahre dann taktuell die glatte Glasfläche, die feine Glaskante.

I then experience tactually the smooth surface of the glass and the delicate crystal edges.

나는 그러면 촉각적으로 매끄러운 유리면, 섬세한 유리모서리를 경험한다.

 

*dann : then / das Glas : glass / fein : fine / die Kante : edge

 

Achte ich aber auf die Hand, bzw. den Finger, so hat er Berührungsempfindungen, die noch nachklingen, wenn die Hand entfernt ist

But if I attend to the hand and finger, then they have touch sensations which still linger when the hand is withdrawn.

내가 그러나 손 내지는 손가락에 유의하면, 그는[손가락은] 촉감각들을 가진다, [촉감각들은] 여전히 인상이 남는다, 손이 떨어지고 나서도

 

*nachklingen : 반향을 일으키다, 인상이 남다 (=nach- : 후속 + klingen : 울리다) / entfernen : 떼어놓다, 멀리하다 (=ent- : 분리 + fernen : <고어> 멀리하다) /

 

; ebenso haben Finger und Hand kinaesthetische Empfindungen: eben dieselben Empfindungen, die anzeigend oder präsentierend fungieren hinsichtlich des Dinges Briefbeschwerer, fungieren als Berührungswirkungen des Briefbeschwerers auf die Hand und als erzeugte Empfindnisse in ihr.

Likewise, my finger and hand have kinesthetic sensations, and precisely the same sensations which function as indicational or presentational with respect to the thing, paperweight, function as touch-effects of the paperweight on the hand and as sensings produced in it.

마찬가지로 손가락과 손이 키네스테제적 감각들을 가진다: 정확히는 동일한 감각들이, [그 감각들은] 지시하거나 현전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물인 서진에 관련하여, [또한] 기능을 수행한다, 손 위의 서지의 접촉영향들로서, 그리고 그[] 안에서 산출된 위치감각들로서.

 

*derselbe : the same / präsentieren : present / fungieren : function / hinsichtlich : (2격 전치사) regarding(~의 관점에서, ~에 관해서) (=hin- : 특정 방향으로의 지속적 움직임 + die Sicht : sight + -lich) / erzeugen : generate (=er- : 안에서 밖으로 + zeugten : 아이를 낳다, 산출하다)

 

*현전(präsentieren)과 재현(repräsentieren)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수업) 재현은 현행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마치 현행적인 것처럼 드러내는 것이고, 현전은 현행적으로 몸소 현출하는 것을 드러내보이는 것. (A)

 

*동일한 감각들(dieselben Empfindungen)이 키네스테제적 감각들(kinaesthetische Empfindungen)(운동감각들)인가? 문법적으로는 그러하다. 그러나 의미적으로는 운동감각이 있고 그 이후에 촉감각이 오는 것 아닌가? (수업)

 

*촉감각과 운동감각의 관계는 어떠한가? 운동이 있어야 접촉이 되고 접촉 영향들로서 촉감각이 기능하게 됨. 촉감각의 가능조건이 운동감각. (수업)

 

*위치감각들(Empfindnisse)은 무엇인가? 위치감각은 몸의 특정 부위에 있는 감각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 위치감각에서 대상과 관련된 많은 정보들이 드러날 것. 그 중 하나는 사물의 위치. 거기에서 드러남. 거기서 다 드러나지는 않겠지만. (수업)

 

*신체와 비신체(대상, 사물) 사이의 구분이 위치감각에 있어 현상적으로 그렇게까지 엄밀한가? 피아니스트는 피아노 건반을 자기 몸처럼 느끼며 건반이 어디있는지 위치감각을 가지고, 커플댄서는 파트너의 몸을 자기 몸처럼 느끼며 파트너의 몸이 어디있는지 위치감각을 가진다. (A) 훈련 혹은 반복되는 습관을 통해서 가능하다. 하지만 그런 경우는 그런 경우대로 따로 놓고서 논의해야 할 것이다. 아직 습관화되지 않았을 경우, 대상의 위치에 대한 파악과 위치감각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구별해서 논의해야 한다. 또한, 대상에 대한 파악과 대상에 대한 감각은 다르고, 대상의 위치를 감각하는 것과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또 다르다. 위치감각이 있으면 대상의 위치에 대한 감각과 그를 토대로 대상의 위치에 대한 파악이 있을 수 있다. 대상의 위치도 여러 차원에서 경험할 수 있다. 맨 위의 층위에서는 자연과학적으로 파악된다. 여러 층위의 위치경험을 위해서 위치감각(empfindnisse)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큰 주제가 될 것이다. 일단 대상의 위치와 위치감각을 분명하게 구별해야 한다. (교수님)

 

*촉감각, 운동감각, 위치감각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 두 가지 감각(촉감각과 운동감각)과 위치감각과 어떤 관계? 둘 다 전부 어쨌든 신체의 어느 부위에 위치하는 거니까, 즉 신체에 위치지어진 감각이니까 위치감각이 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B) (사견 : 후설 자신이 바로 다음 절에서 순전히 눈만 있는 주체에 관한 사고실험을 통해서 이에 대해 어느 정도 해명. 위치감각을 촉감각과 운동감각의 종으로 이해하기는 어려움.)

 

Dieselbe Empfindung des Druckes bei der auf dem Tisch liegenden Hand <wird> aufgefaßt einmal <als> Wahrnehmung der Tischfläche (eines kleinen Teiles deselben eigentlich) und ergibt bei “anderer Richtung der Aufmerksamkeit”, in Aktualisierung einer anderen Auffassungsschicht, Fingerdruckempfindungen.

In the case of the hand lying on the table, the same sensation of pressure is apprehended at one time as perception of the table's surface (of a small part of it, properly speaking) and at another time produces, with a "different direction of attention," in the actualization of an other stratum of apprehension, sensations of digital pressure.

동일한 누름의 감각이, 책상 위에 놓여있는 손에 있어, 한번은 책상 표면의 지각(동일한 것[책상 표면]의 하나의 작은 일부, 엄밀히 말하자면)<으로서> 파악[경험]<되고>, “다른 주의 방향에서는[경험하는 주관의 손쪽으로는], 하나의 다른 파악[경험]층위의 현실화 속에서, 손가락 압박 감각들을 산출한다.

 

*eigentlich : 원래, 엄밀히 / die Richtung : 방향 / die Aufmerksamkeit : 주의, 관심 / die Aktualisierung : actualization / ergeben : result in, produce

 

*산출한다(ergeben)는 표현이 적절한가? 새로운 게 나오는 게 아님. 그냥 주의가 달라져서 이런 식으로 느껴지는 것. (수업)

 

*파악한다(auffassen)는 표현이 적절한가? 여기서는 현상학의 전문용어로서 파악이 아님. 영역으로 ‘apprehend’, 그냥 경험된다 정도가 적절한 듯. 넓은 의미에서 경험은 대상과의 관계 일반. (수업)

 

Ebenso verhalten sich Kälte der Dingfläche und Kälteempfindung im Finger.

In the same way are related the coldness of the surface of a thing and the sensation of cold in the finger.

마찬가지 사정에 있다, 사물 표면의 차가움과 손가락에서의 차가움 감각도.

 

*sich verhalten : ~한 사정에 있다

 

Bei der Berührung von Hand mit Hand haben wir dasselbe, nur komplizierter, wir haben dann zwei Empfindungen und jede doppelt auffaßbar, bzw. erfahrbar.

In the case of one hand touching the other, it is again the same, only more complicated, for we have then two sensations, and each is apprehend able or experienceable in a double way.

손으로 손을 접촉하는 경우, 우리는 동일한 것을 가지지만[사정이 마찬가지지만] 더 복잡해졌을 뿐이다. 우리는 가진다, 그러면, 두 감각들을, 그리고 각각은 이중으로 파악가능하다, 내지는 경험가능하다.

 

*두 감각들(zwei Empfindungen)이 각각 이중으로 파악가능한 것(jede doppelt auffaßbar)은 무슨 말인가? 한 손이 만지고 만져지고, 다른 한 손은 만져지면서 만짐. 한편으로 대상으로 파악이 되고 다른 한편으로 감각으로 파악이 되는 것이 이중으로 일어남. 기본 구조는 아까 얘기와 똑같음. (수업)

 

   Mit der taktuellen Tischwahrnehmung (dieser Wahrnehmungsauffassung) ist notwendig verbunden eine Leibeswahrnehmung mit ihr zugehöriger Berührungsempfindung.

   Necessarily bound to the tactual perception of the table (this perceptual apprehension) is a perception of the Body, along with its concomitant sensation of touch.

   촉각적 탁자 지각(이러한 지각 파악[경험])과 함께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육체지각이, 그것의 수반되는 촉감각과 함께.

 

*verbinden : 결합하다, 연결하다 / zugehörig : 수반되는

 

Dieser Zusammenhang ist ein Notwendigkeitszusammenhang zwischen zwei möglichen Auffassungen

This nexus is a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two possible apprehensions

이러한 연관은 하나의 필연 연관이다, 두 가능한 파악들[경험들] 사이의.

 

: korrelativ aber gehört dazu ein Zusammenhang zweier sich konstituierender Dinglichkeiten.

: pertaining correlatively to that, however, is a connection between two thinghoods that are being constituted.

상관적으로, 그런데, 그에 수반한다, 두 서로 구성되는 사물성들의 하나의 연관이.

 

*aber : 하지만, 그런데

 

*위에서는 파악들 사이의 연관(책상에 대한 경험 그리고 내 몸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했다면, 여기서는 사물들 사이의 연관(책상 그리고 내 몸)을 이야기함. 일반적인 지향성 원리, 즉 작용과 대상 사이의 지향성 상관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보임. (수업)

 

Empirisch erweist die Möglichkeit einer Weltvorstellung von Blindgeborenen, daß sich alles in der außervisuellen Sphäre abspielen kann, daß hier die Apperzeptionen so zu ordnen sind, daß diese Korrelationen sich konstituieren können.

It is shown empirically by the possibility of a representation of the world in those blind from birth that everything can come into play in the extra-visual sphere and that here the apperceptions have to be ordered in such a way that these correlations can be constituted.

경험적으로 입증한다, 선천적으로 눈이 먼 사람들의 어떤 세계표상의 가능성이, 모든 것이 시각외적 영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여기서 통각은 다음과 같이 질서지워져야 한다는 것을, 즉 이러한 상관관계들이 구성될 수 있는 식으로.

 

*die vorstellung : 표상 / blindgeboren : 선천적으로 눈이 먼 (=blind + geboren : born) / sich abspielen : happen, take place

 

(수업 : 이남인, <서양현대철학연습> (2022-2))

(영역 : Richard Rojcewicz and Andre Schuwer(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