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고대철학 일차문헌

아리스토텔레스, 「제3권」 5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현담 2023. 2. 9. 23:36

<3권 목차>

 

1장 자발성과 비자발성

2장 합리적 선택

3장 숙고

4장 바람

5장 책임의 문제

6장 용기

7장 용기와 비겁, 무모

8장 용기라고 불리는 것들

9장 용기와 고통

10장 절제

11장 절제와 무절제

12장 무절제와 자발성

 

5장 책임의 문제 (1113b3-1115a5)

 

이렇게 해서, 바람의 대상은 목적에 관계하는 반면, 숙고와 합리적 선택의 대상은 목적에 이바지하는 것이므로, 이 후자에 관계하는 행위들은 합리적 선택에 따른 것이며 자발적인 것일 게다. 그런데 탁월성의 활동은 바로 이것[목적에 이바지 하는 것]에 관계한다.”(11113b3-5)

 

1. 우리는 자발적으로 훌륭한 사람이나 비천한 사람이 된다. (1113b6-1113b13)

 

1. 행위들은 합리적 선택에 따른 것이며 자발적인 것이다.

2. 행위하는 것이 자발적인 것이면, 행위하지 않는 것 또한 자발적인 것이다.

3. 그러므로, 행위하지 않는 것 또한 자발적인 것이다.

4. 그러므로, 고귀한 일을 하는 것이 자발적이고, 고귀한 일을 하지 않는 것 또한 자발적이며, 부끄러운 일을 하지 않는 것이 5. 자발적이고, 부끄러운 일을 하는 것 역시 자발적이다.

6. 고귀한 일을 하고 부끄러운 일을 하지 않음을 통해 좋은 사람이 되고, 고귀한 일을 하지 않고 부끄러운 일을 함을 통해 나쁜 사람이 된다.

7. 따라서, 자발적으로 좋은 사람이 되고, 자발적으로 나쁜 사람이 된다.

 

Here Aristotle turns to one major task of his discussion of voluntary action to show that being virtuous is up to us, something that we can determine by our own voluntary action and decision. He argues first that since ‘the activities of the virtues’ are up to us, being virtuous is also up to us. (Irwin, 208) 그런데 탁월성의 활동고귀한 일을 하는 것(행위)’는 서로 다름. 고귀한 일을 하더라도 탁월성의 활동은 아닐 수 있기 때문.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21장에서 품성상태들은 그 품성상태들과 유사한 활동들로부터 생긴다.”(1103b22)라고 순환논증을 피하기 위해 조심스럽게 말한 것. Irwin의 해석이 맞으려면, 1113b5에서 탁월성의 활동탁월성과 유사한 활동으로 해석해야 함. 하지만 나는 12그러므로 탁월성 역시 우리에게 달려 있으며,”로 연결되는 것을 보아, ‘탁월성의 활동이 자발적인 것에 관계한다면, 탁월성 역시 자발적인 것에 관계한다, 라는 식으로 읽어야 한다고 봄. 그리고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가 하고자 하는 작업은 역으로 탁월성이 자발적으로 형성됨을 보임으로써 그 귀결인 탁월성의 활동조차또한 자발적인 것임을 보이는 것이라 생각함.

 

2. 반론 : 자발적으로 악한 사람은 없다. (1113b14-29)

 

그런데 자발적으로 악한 사람도 없고, 마지못해 지극한 복을 받는 사람 역시 아무도 없다라는 말은 한편으로는 틀린 것 같고, 다른 한편으로는 맞는 것 같다. 마지못해 지극한 복을 받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못됨[악함]은 자발적인 것이기 때문이다.”(1113b14-16)

 

2-1. 재반론 1

 

1. 못됨이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면, 인간은 행위들의 원리가 아니고 행위들을 산출하는 것도 아니다.(5)

  (1-1. 못됨이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면, 부끄러운 행위 또한 자발적인 것이 아니다.

  1-2. 부끄러운 행위가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면, 모든 행위가 자발적인 것이 아니다.

  1-3. 모든 행위가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면, 인간은 행위들의 원리가 아니고 행위들을 산출하는 것도 아니다.)

 

Aristotle here supposes someone objecting to his account of our actions as originating from ourselves, with a view to maintaining that none of our actions is voluntary. The thought is clearly that our actions are voluntary iff they originate from us; hence they are involuntary iff their origins are external to us.

  While actions done under compulsion are one kind of action whose origin is external to us, the objector is not reviving the thesis rejected at 1110b9-15 that all action are done under compulsion. Rather he or she should be understood as assuming some general thesis of causal determinism, according to which all events, including our actions, are parts of causal sequences whose origins like indefinitely far back in time. On that view the origin of a person’s action is not that person or anything ‘in’ that person, but whatever was the origin of the causal chain of which that action was part, whether the agent’s genetic constitution,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gent’s upbringing, or the original state of the universe and the causal laws governing its subsequent development. (Taylor, 165-166)

 

2. 하지만 우리가 우리 안에 있는 원리들 이외의 다른 원리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면, 그 원리들이 우리 안에 있는 행위들 자체도 우리에게 달려 있으며 자발적인 것이다.(6)

(3. 우리가 우리 안에 있는 원리들 이외의 다른 원리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

4. 그러므로, 그 원리들이 우리 안에 있는 행위들 자체도 우리에게 달려 있으며 자발적인 것이다.

5. 따라서, 못됨은 자발적인 것이다.)

 

It is disputed whether this reply involves denial of the causal determinist thesis assumed by the objector. The crucial question is the interpretation of ‘we cannot take our actions back to any other origins other than those in us’. Those who see Aristotle as an incompatibilist read these words as denying that our actions have any origins other than those in us. Agents are then literally unmoved movers of actions, originating new chains of event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see Aristotle as a compatibilist read the crucial phrase not as denying that our actions have origins other than their origins in us, but as denying that we can ‘take our actions back’ to those origins. The force of that denial amounts to this: whatever the causal antecedents of an agent’s choices, provided that the actions in question do issue from those choices, they are thereby characterized as belonging to the agent and hence as falling with the scope of the agent’s reponsibility. (Taylor, 166)

The previous sentence(5) shows that Aristotle takes ‘we are the principles of our actions’ and ‘the principles of our actions are in us’ to be equivalent. Here, as in 1.6, 10, Aristotle takes x’s having its principle in me to imply that x is up to me and that I do x voluntarily.

  What does he mean by saying that we cannot find principles apart from those up to us (or in us)? We might take him to deny determinism (the doctrine that every event has sufficient causal conditions in some previous event); for if my internal principle itself had some cause, would this not provide a principle apart from the principle in me? We need not accept this indeterminist interpretation, however. If Aristotle takes a principle to be explanatory as well as causal, he may mean that only my internal principle really explains the character of my action; if my internal principle itself ahs some cause determining it, that determining cause does not explain the character of my action. If this is Aristotle’s position, his claim about internal principles does not commit him to indeterminism. (Irwin, 208)

 

2-2. 재반론 2

 

1. 못됨이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면, 인간은 행위들의 원리가 아니다.

2. 인간이 행위들의 원리라고 입법자들에 의해 입증된다.

  2-1. 입법자들은 악한 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이 사람들이 자신들의 탓이 아닌 강제에 의해, 혹은 무지로 말미암아 그런 일을 한 것이 아닌 한, 꾸짖고 벌을 줘서 그런 사람들을 (악한 행위를 하지 말도록) 억제한다.

  2-2. 반면 입법자들은 고귀한 것들을 행한 사람들은 명예로써 기려서 그런 사람들을 (고귀한 것들을 행하도록) 격려한다.

  2-3. 격려와 억제의 대상이, 우리에게 달려 있지도 않고 자발적이지도 않은 것이라면, 격려와 억제는 아무 소용이 없다.

  2-4.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은 아무도 하지 않는다.

  2-5. 그러므로, 격려와 억제가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었다면, 격려와 억제는 아무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2-6. 입법자들은 격려와 억제를 한다. (2-1., 2-2.)

  2-7. 그러므로, 격려와 억제의 대상은, 우리에게 달려 있거나 자발적인 것이다.

  2-8. 따라서, 악한 행위와 고귀한 행위는 우리에게 달려 있거나 자발적인 것이다. 이는 인간이 행위들의 원리라는 말과 다름아니다.

(3. 따라서, 못됨은 자발적인 것이다.)

 

3. 무지와 부주의함 (1113b30-1114a10) (313. 3-2. 참고)

 

3-1. 행위자가 무지의 원인인 경우, 자발적이다.

 

ex. 취중에 잘못을 범한 사람에게는 두 배의 형벌이 가해짐

  : 술에 취하지 않게 자신이 자신을 통제할 수 있었으며, 술에 취한 것이 그 무지의 원인이었기 때문

ex. 마땅히 알아야만 하고 어렵지도 않은 어떤 법률 규정을 모르는 사람들 또한 처벌 받음

  : 법률 규정을 모르지 않도록 내지는 법률 규정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자신이 자신을 통제할 수 있었으며, 부주의로 말미암아 모르게 되었기 때문

 

반론 : 행위자의 부주의가 무지의 원인인 경우, 행위자가 부주의한 종류의 사람이라면 비자발적인 것 아닌가?

 

3-2. 행위자의 부주의가 원인인 경우, 역시 자발적이다.

 

1. 각각의 것과 관련한 활동들이 이러저러한 [성격의] 사람들을 만들어낸다.

  (=어떤 종류의 행위를 계속 하면서,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된다.)

  1-1. 어떤 종류의 것이든 경쟁을 위해 혹은 [공연] 행위를 위해 훈련하는 사람들은 줄곧 관련된 활동을 하고 있다.

  1-2. 이에 대한 최선의 설명은 1.이다.

2. 그러므로, 부주의한 행위를 계속 하면서, 부주의한 사람이 된다.

3. 어떤 종류의 행위든지 그 행위의 원인은 자기 자신이다. , 행위는 자발적이다.

4. 따라서, 자발적으로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된다.

 

재반론 : 행위자의 부주의가 무지의 원인인 경우, 행위자가 부주의한 종류의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행위자가 부주의하게 살아오면서(부주의하게 행위하면서) 그런 종류의 사람이 되었을 것이기에, 자발적이다.

 

다시 반론 : 1., 즉 각각의 것과 관련한 활동들이 이러저러한 [성격의] 사람들을 만들어내는 것을 모르고 부주의하게 살아오면서 부주의한 종류의 사람이 되었다면 비자발적인 것 아닌가?

 

재반론 : “[...] 각각과 관련해서 활동을 함으로부터 상응하는 품성상태가 생겨난다는 것을 모른다면 그야말로 몰지각한 사람일 것이다.”, “[...] 누군가가 그러한 행위를 하면 부정의한 사람이 된다는 것을 모르지 않으면서 행위를 한다면, 그는 자발적으로 부정의한 사람일 것

 

4. 바람과 자발성, 가능성과 불가능성, 신체의 악덕 (1114a11-30)

 

a. 어떤 종류의 행위를 하면서 그런 종류의 사람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

  ex. 부정의를 행하면서 부정의한 사람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말이 안 됨

 

b.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기를 바라기만 해서는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지 않는다.

  ex. 병든 사람이 단지 바란다고 해서 건강하게 되는 것이 아님

 

c. 공히 처음부터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으며, 그런 까닭에 그들은 자발적으로 그런 사람이 된 것이지만, 그런 사람이 된 후에는 그런 사람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이상 없다.

  ex. 그가 자제력 없이 삶을 영위해 왔고 의사들의 말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병에 걸린 것이라면, 그는 자발적으로 병에 걸린 것. 그 당시에는 그가 병에 걸리지 않을 수도 있었지만, 건강을 일단 던져 버린 후에는 더 이상 그럴 수 없음.

 

d. 영혼의 악덕뿐만 아니라 신체의 악덕 또한 자발적인 것이 있고 우리는 그에 대해 비난한다. 다른 것들의 경우에 있어서도 악덕들 중에서 비난받는 것은 우리에게 달린 것이다.

  ex. 본래 볼품없는 사람은 누구도 비난하지 않지만, 운동을 하지 않고 돌보지 않아서 볼품없는 사람은 비난함

  ex. 허약함이나 불구에 관련해서도, 본성적으로 눈이 먼 사람이나 병 혹은 부상 때문에 눈이 먼 사람은 비난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그를 가련히 여길 것이지만, 폭음이나 그 밖의 다른 무절제로 인해 눈이 멀게 된 사람은 누구나 비난할 것

 

5. 인상(phantasia, conception) (1114a31-1114b25)

 

그런데 만일 누군가가 모든 사람은 외견상의 좋음을 추구하지만, 그 인상을 어떻게 통제할 수는 없는 일이며, 오히려 각자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그가 추구하는] 목적 또한 각자에게 그렇게 드러나는 것이라고 말한다면,”(1114a31-1114b1)

 

5-1. 반론 재구성 (Taylor)

 

1. 각자(의 행위)는 각자의 목적을 추구한다.

2. 각자의 목적은 외견상의 좋음, 즉 좋음의 인상이다.

3. 각자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좋음의 인상이 결정된다.

(4. 따라서, 각자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각자의 행위가 결정된다.)

 

In this section Aristotle considers another version of the theory that our actions are not up to us. The supposition is that our actions are determined by our conception of the good, but we have no control over that conception, which varies from one individual to another as part of each individual’s natural constitution. Aristotle uses the premiss that each person’s conception of the good is part of that person’s individual make-up to reject the claim that we have no control over that conception. (Taylor, 170-171) 아리스토텔레스는 3.에서 각자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좋음의 인상이 전적으로/완전히 결정된다는 것을 부정할 것. 3.에서 각자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부분적으로/어떤 방식으로 결정된다는 것은 인정할 것.

 

5-2. 반론 재구성 (Irwin)

 

1. The character we form depends on our appearance of the good.

2. But our appearance of the good depends on the character we already have.

3. Hence we are not in control of the appearance.

4. Hence we are not in control of the character we form

5. Hence we are not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our characters.

 

Aristotle denies that 3 follows from 2.

 

만일 각자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품성상태의 원인이라면, 그 목적이 [자신에게 그렇게 보이는] 인상에 대해서까지도 어떤 방식으로 원인일 것이다.”(1114b2-3)

 

5-3. 재반론 1 재구성 (Taylor)

 

1. 각자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품성상태의 원인이다.

2. 품성상태는 행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3. 그러므로, 각자는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행위의 원인이다.

4. 행위는 자신의 목적을 추구한다.

5. 그러므로, 각자는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목적의 원인이다.

6. 각자의 목적은 외견상의 좋음, 즉 좋음의 인상이다.

7. 따라서, 각자는 어떤 방식으로 좋음의 인상의 원인이다.

 

His argument repeats that of 1114a4-7. Just as our different natural predispositions leave the scope for our actions to contribute to our states of character, so on this supposition our different natural conceptions of the good themselves leave room for us to modify those very conceptions in the course of our development. That is very much the situation assumed in Plato’s Socratic dialogues. Socrates assumes that everyone acts in the light of their individual conception of the good, but treats that conception not as fixed, but as capable of modification, specifically by critical reflection prompted by argument. (Taylor, 171)

 

5-4. 재반론 1 재구성 (Irwin)

 

1. We are in control of the character we form.

2. Our appearance of the good depends on the character we already have.

3. Hence we are in control of the appearance.

 

This is first reply to the argument just presented. Aristotle insists that the character forming our appearances is itself malleable and hence the appearance is in our control. In ‘if each person...’, Aristotle clearly accepts the antecedent of the conditional. (Irwin, 210)

 

5-5. 재반론 2 재구성

 

1. 만약 각자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품성상태의 원인이 아니라면, 목적에 대한 무지로 말미암아 악행을 통해 자신에게 최선의 것이 생겨난다고 생각하면서 악행을 행하게 될 것이다.

2. 만약 각자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품성상태의 원인이 아니라면, 목적을, 훌륭하게 분간하고 참으로 좋은 것을 선택할 수 있게 해 주는 일종의 [정신적] 눈처럼, 본성상 가지고 태어나야 (선행을 행하게 될) 것이다.

3. 1.2.의 후건이 참이라면, 목적에 대한 추구는 스스로 선택한 것이 아니게 될 것이다.

4. 목적에 대한 추구가 스스로 선택한 것이 아니라면, 누구도 자신의 악행에 대한 원인이 아닐 것이고, 누구도 자신의 선행에 대한 원인이 아닐 것이다.

5. 4.의 후건이 참이라면, 탁월성이 악덕보다 더 자발적이지 않다(=탁월성이나 악덕이나 자발적이지 않다).

(6. 그러나, 탁월성이나 악덕이나 자발적이다.)

7. 따라서, 각자가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의 품성상태의 원인이다.

 

1., 2. : Aristotle now considers a variant of this theory(인상 반론), in which the conception of the good is assumed to be incapable of modification by voluntary action or by argument, but merely subject to natural development. The analogy with sight is crucial. While one’s powers of sight develop as one grows to maturity, one cannot be taught or otherwise conditioned to see things in one way rather than another. (Taylor, 171)

3.~7. : Aristotle’s first response is that on that hypothesis good actions and virtue are no more voluntary than bad actions and vice, since ex hypothesi all actions are determined by the individual’s conception of the good, which is itself immune from modification. While Aristotle presumably regards that conclusion as absurd, it is precisely the conclusion which the opponent is seeking to establish. (Taylor, 171)

Aristotle’s second reply to the opponent’s argument in 17points out the unacceptable consequences of denying responsibility for evildoing altogether. This(5.) is the result that we are forced into if we accept the conclusion that no one is responsible for acting badly; we must take all actions, good or bad, to be the inevitable results of natural conditions that are beyond our control. (Irwin, 210)

 

왜냐하면 좋은 사람에게든 나쁜 사람에게든, 본성상 그렇든 아니면 다른 어떤 방식으로든, 그 목적은 양자에게 비슷한 방식으로 보이고 결정되며, 무슨 일을 하든지 이것에 의거해서 나머지 일들을 행하기 때문이다.”(181114b13-15)

 

⇒ |18might be taken as a defense of the argument presented 17. But it is also part of the argument in 19, when Aristotle explains his own position. (Irwin, 210)

 

5-6. 재반론 3 재구성 (Taylor, Irwin)

 

그렇다면 (1) 목적이 각자에게 어떤 목적으로 보이든지 간에 본성적으로 그렇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는 자신으로부터 나온 것이건, 아니면 (2) 목적은 본성적이지만 신실한 사람은 나머지 것들을 자발적으로 행한다는 점에서 탁월성도 자발적인 것이건, 악덕도 [탁월성에] 못지않게 자발적인 것일 게다. 나쁜 사람에게도, 설령 그의 목적에 있어서는 자신으로 말미암은 것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의 행위에 있어서는 자신으로 말미암은 것이 마찬가지로 귀속하기 때문이다.”(1114b16-21)

 

(1) the individual is after all able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his or her conception of the end

 

(2) though the conception of the good is fixed, the individual has the choice of actions via which that conception will be realized

 

Aristotle now considers two possible modifications of this hypothesis, either of which will allow actions to be voluntary. Either modification yields the result that vice will be no less voluntary than virtue. (Taylor, 171)

(1) : Aristotle repeats the first reply he offered in 17, affirming that our conception of the end depends on us, and that this is why our character also depends on us. (Irwin, 210)

(2) : Here Aristotle seems to concede a point to his opponent. He sets aside his first reply, and argues that, nonetheless, virtue may turn out to be voluntary. Even if we are not responsible for the appearance of the end (i.e., if Aristotle’s first reply is rejected), we still need not embrace the position whose consequences are expounded at the end of 17. For we can allow that the virtuous and the vicious person share the same conception of the end, for which neither is responsible, and differ in their conception of ‘the other things’ -presumably, the things promoting the end. Given the wide scope of ‘things promoting the end’ (see decision), differences about these may make the difference between virtue and vice. In offering this reply Arsitotle assumes that the ‘fixed’ conception of the end will be rather schematic (with its specific content to be filled in by deliberation), and not as determinate as it is taken to be at the end of 17. (Irwin, 210-211)

 

5-5. 결론

 

그러므로 주장되는 바와 같이 탁월성이 자발적인 것이라면(우리의 품성상태에 대해서도 어떤 방식으로 우 자신이 더불어 책임을 지고 있으며, 우리가 어떤 성격의 사람이 되는가에 의해 목적을 이러저러한 것으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악덕 또한 자발적인 것일 게다. 악덕 역시 마찬가지니까.”(1114b22-25)

 

In saying that we are jointly responsible, Aristotle acknowledges that we are not the sole causes of our states since nature and upbringing contribute also. (Irwin, 211)

 

6. 행위, 품성상태, 탁월성의 자발성 (1114b26-1115a5)

 

a. 행위의 자발성

- 개별적인 것들을 알고 있을 때 처음부터 끝까지 행위들을 통제할 수 있음

 

b. 품성상태의 자발성

- 처음에는 통제할 수 있더라도, 질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개별적인 진행은 알지 못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방식으로 대처하느냐 혹은 대처하지 않느냐는 것은 우리에게 달린 것이기 때문에 자발적.

 

c. 탁월성의 자발성

- 자신이 연원하는 행위들을 자체적으로 실천에 옮길 수 있다는 것

- 올바른 이성이 명령할 방식대로 실천에 옮길 수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