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고대철학 이차문헌

Nussbaum(1986), "Therapeutic arguments: Epicurus and Aristotle," The Norms of Nature: Studies in Hellenistic Ethics

현담 2023. 6. 16. 23:33

*핵심 주장

: 에피쿠로스와 아리스토텔레스 모두 철학을 하는 것을 인간을 더 낫게 만드는 의술에 비유하였으나, 에피쿠로스는 철학을 개인의 정신을 안정시키는 치료제로 이해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 철학과 의술이 개별 사태마다 가장 적절함을 찾고자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나, 철학은 개인과 사회 모두를 위한 합리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보았다. (H 발제문)

 

0. 서론

 

*도입

: 에피쿠로스는 약이 상처를 치료하는 것처럼 철학이 인간을 치유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인간을 치유하지 못하는 철학을 헛되다(empty)고 지적하였는데, Nussbaum에 따르면 이는 아리스토텔레스를 겨냥한 비판이다. Nussbaum은 철학을 의술에 비유하는 에피쿠로스의 논변과 그 실제 적용, 관련된 고대 그리스의 논의 맥락을 소개하고, 에피쿠로스가 목표로 삼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적 논변을 소개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일부는 의술 비유를 수용하고 일부는 의술 비유를 거부하는데, 이를 통해 에피쿠로스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하는 도덕적 규범과 그에 상응하는 철학하는 방법, 과정에 대하여도 고찰하고자 한다. (H 발제문)

 

*목표

: 에피쿠로스의 치료적 철학관과 그의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비난 탐구

 

*의의

: Out of this will emerge, I hope, outlines of a rich and complex debate about the proper procedures and functions of an ethical philosophy and some perpetually urgent questions about the practical usefulness of moral philosophising, the proper relation of philosophy to the expectations and needs of human beings.

 

*순서

1) characterising, briefly, Epicurus’ general view about the role of philosophy in treating disturbing pathē

2) going into some detail about the nature of therapeutic argument, as practised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analogy in the Epicurean community

3) situate these arguments in a long tradition of regarding logos as a form of medical treatment

4) explor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asking how Aristotle would defend the practical value of the non-therapeutic elements in his arguments and how Epicurus would respond to that attempt

5) asking, finally, what the relationship is between the normative ethical conceptions of each philosopher and his views about proper philosophical method and procedure.

 

1. 에피쿠로스의 진단(The Epicurean diagnosis)

 

*치료적 철학에 필요한 것

1) first of all, a procedure for separating good desires from bad, healthy from sick

2) then, a diagnosis of the genesis of bad desires that will show that and how they are based upon false belief

3) finally, a therapeutic treatment for false belief that will show us how, through belief, to get rid of bad desire

 

*욕망 구별의 기준 : 동물 혹은 어린아이

- 자연적 생명체, 동물이나 언어와 교육으로 인해 때묻지 않은 어린아이가 가지는 욕망이 좋은 욕망(건강한 욕망, 자연스러운 욕망)

- this creature does not pursue wealth, luxury, power, love, the immortal life of the soul; it neither desires these things nor ascribes to them any value

- when it has secured the removal of pain all of its wants are satisfied

if we can really get ourselves to imagine a human being for whom all disturbances and pains are satisfied [...] this person lacks nothing and has no need to go after more

when we most seriously reflect we find ourselves endorsing this figure as our witness

 

*욕망의 구별

- 자연적인 욕망 : those whose appropriateness is witnessed by their presence in the uncorrupted creature

- 공허한 욕망 : those which, being absent in the uncorrupted natural condition, are diagnosed as the products of teaching and belief

nature is well designed: the natural desires are just the ones that are reliably easy to satisfy; and all of our pain comes from our own corrupt ways of thought

 

*공허한 욕망과 거짓 믿음

- 거짓 믿음은 공허한 욕망의 기반이자 핵심적인 필요조건. Its presence generates the desire in the first place, and its removal removes not simply the justification or rationale for the desire, but the desire itself.

 

*철학 : 추론의 기술로서 치료 기술

- the curative art must therefore be an art that is equipped to challenge and conquer false belief

- since false belief is an illness with which we are all in one way or another afflicted, this art will be necessary for a good life for each of us

- since the removal of false belief by reasoning is thoroughly effective in driving out disturbing desire, an art that effectively treats belief will also be sufficient for securing the happy life

 

“This art uses reasoning as its tool. It also deals with many of the traditional concerns of philosophy: nature, the soul, the value of ends. It therefore seems to Epicurus appropriate to give this saving art the name of philosophy; and, furthermore, to insist that this saving art is what, properly understood, philosophy is.”

 

2. 정원에서의 치료적 논증(Therapeutic arguments in the garden)

 

Group A.

 

(1) 실질적인 인과적 효험(practical causal efficacy)

: Arguments do not simply provide her with reasons to live thus and so. Their task is to act as causes of good living. Each argument, each day of argument, should put her a little closer to the good of ataraxia.

 

(2) 가치연관성(value-relative)

: Argument must deliver as its conclusion something that the pupil will accept gladly as health, or as progress towards health. (cf. Some ethical enquiries [...] dispassionately inquire as to what the human good is, as to whether a certain picture of the good is true or false; and we will not allow our antecedent wishes, or the sort of life we want to live, to influene the result.) However much he will alter her beliefs, his challenge is always to get her to see that what he delivers to her does in fact fulfil her desires, at least her deepest and most central desires.

 

(1), (2)에서 짚고 넘어갈 부분

: Although the teacher insists that the illness is one of false belief and that argument is substituting correct or true beliefs for false, one cannot help feeling that the demand for practical effectiveness and the connexion of the practical end with deep antecedent desires make the notion of truth in question [...] It is, we feel, no coincidence that all and only the disturbing beliefs are false.

one of its most challenging contributions to our ethical reflexion [...] is its articulation of the idea that expectation and discovery, value and fact, are thoroughly interwoven and mutually illuminating.

 

(3) 개별 경우에 주의를 기울임(attentive to the particular case)

: making a specific prognosis and devising a specific course of treatment for each pupil some arguments are ‘bitter’; some are gentle. [...] And if the purge does not work the first time, he will try his harsh treament ‘again and again’. [...] he will ‘mix in’ with his harsh medicine some good-tasting stuff [...] surgery(beating? isolation?)

 

(1), (2), (3)에서 짚고 넘어갈 부분

: argument가 상관없는 것이 아니다. 모든 치료는 argument로 이루어지고 좋은 철학이어야 한다. 환자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면 우주의 모든 것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argument는 치료 그 자체이다. 철학 수업 듣고 나머지 시간은 맘대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삶이 철학이고 철학이 삶이 된다.

 

Group B.

 

(4) 개인연관성(individual-relative)

: arguments are directed at the end of health for an individual rather than at any communal end [...] the community is important as a supportive means to her health; it is no part of what her health is.

 

(5) 순전히 도구적 역할(merely instrumental role)을 수행하는 이성(reason)

: 영혼의 병을 치료할 유일할 길이 이성적 논변이기 때문에 논변이 가치가 있는 것이지 그 자체로 그것이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님. reason is with us as a handmaid only: useful and even necessary, but not valuable in herself.

 

(6) 이성적 담화의 표준적 덕들에 대한 본질적 존중 부재

: the Epicurean teacher has no intrinsic respect for the standard virtues of rational discourse, such as consistency, validity, clarity in definition.

 

(7) 비상호성(non-mutual), 비대칭성(asymmetrical)

: 의사-환자, 능동-수동, 권위-복종의 관계를 형성. the pupil is encouraged to follow the example of medicine and to put herself entirely in the power of the doctor.

 

(8) 대안적 관점에 대한 관심의 부재(lack of interest in alternative view)

: will as much as possible be kept away from alternative views except, of course, for an interest in frefuting them

 

(5), (7), (8)에서 특히 비롯되는 관습

: 암기(memorisation), 고백(confession), 고자질(informing)

- 암기 bec. the beliefs and desires that impede ataraxia are very deeply rooted in the soul; they are too deep to be eradicated by one-time rational persuasion

- 고백 bec. when the disease is a disease of thought and desire, the symptoms are not available to the doctor unless the pupil makes them available by telling the doctor her desires and her thoughts

- 고자질 esp. in the case where the patient is actually unable, by reason of her disease, to describe them

 

(9) 자화자찬적 성격(self-praising character)

: [...] Epicurus’ pupils, many of whom had not received much formal education [...] to encourage them to keep with philosophy, an argument must mix exhortation and self-advertisement with its reasoning

 

(1) ~ (9) (1)의 우선성

: Feature (1) is what gives the medical analogy its purchase and motivates the other specific features of the therapy. [...] Concrete personal precision, dialectical mutuality, these are at best instrumental; what is always essential is to establish saving contact with the soul.

 

3. 치료적 전통(Therapeutic tradition)

 

- logos가 영혼의 병의 치료제이며, 나아가 유일한 치료제라는 주장은 Epicurus 이전부터 있어왔음.

- 이러한 치료적 전통 하에서 superstitious uses of logosrational uses of logos, merely causal forceslogoiin some sense truly rationallogoi를 구별하기 시작.

- 그러면서 좋은 인간 삶에 관한 담화에서 실용적 측면에서 치료적이지만 약물이 치료적인 것처럼 치료적이진 않은 logoi, 다시 말해 logoi that work by not just being causes, but by giving us reasons를 발전시키기 됨

 

4. 아리스토텔레스: 의료 유비의 긍정적 사용(Aristotle: the positive use of the medical analogy)

 

- 어떤 면에서는 윤리적 목적을 위해 좋은 유비라고 하고, 다른 면에서는 철학자로 하여금 좋은 윤리적 논증의 핵심적 덕들을 무시하게 이끌 수 있는 심각하게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비유라고 함

- Group A. 아래의 치료적 논변의 특징들을 적절하다고 옹호하는 한편, Group B. 아래의 것들은 심하게 비판하면서 거부함

 

Group A.

 

(1) philosophical logoi about the good human life is a practical and not simply a theoretical matter [...] goal not simply theoretical understanding, but also the improvement of practice if it makes human lives no better, it will be deservedly ignored; and intellectual sophistication alone does not make a practictioner a good one / concretely tell us what our vague end of health(happiness) is, as well as give us its instrumental means

 

(2) it must set itself in some fruitful relation to the antecedent hopes and expectations of the human beings who engage in it the philosophical practitioner by his practice is bringing the pupil closer to the end; [...] he must satisfy the pupill that it is a worthwhile end

 

(3) must subordinate the general rule to a keen perception of particular cases the person of practical wisdom must be prepared to meet the new with responsiveness and imagination, cultivating the sort of flexibility and perceptiveness that will permit him to ‘improvise what is required’

 

5. 아리스토텔레스: 의료 유비 비판(Aristotle: criticism of the medical analogy)

 

  1]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린아이와 정신나간 사람의 윤리적 의견이 불필요하다 말한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훈육과 사회적 제재를 통하여 도덕성을 주입해야 하지, 논변을 통하여 도덕을 가르칠 수 있지 않기 때문이다. 2] 윤리학에 지적인 요소가 불필요하다는 비판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윤리학에 지성을 적용시킴은 모두를 위한 실천적인 가치를 지닌다 강변한다. 즉 윤리학은 모두의 참여가 필요한 상대적으로 민주적인 것이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자면 1]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 논변과 강의의 대상으로 성숙한 인간을 상정하였다. 2]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 논변이 윤리학의 목표인 eudaimonia의 두 측면, 개인적 삶의 목표를 분명하게 하는 것과 그 목표와 관련된 사회적 합의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왜냐하면 모두가 eudaimonia를 추구해야 한다고 합의하지만, 그 구체적 내용이 무엇인지는 이성적 담론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에는 일관성, 타당성, 명징성 등을 갖춘 이성적 담론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에피쿠로스와 달리 아리스토텔레스식 도덕적 논변은 개인과 관련되었다기보다 사회와 관련되어 있다. 이성은 목적을 향한 수단이기도 하지만 목적을 구성하기도 한다. 그래서 논리적 미덕, 일관성, 명징성, 수단성 등은 아리스토텔레스적 기획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스승의 권위를 무시하지는 않지만, 에피쿠로스처럼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일방적인 것으로 설정하기보다 제자도 동등한 이성적 존재로 인정한다. 비슷하게 아리스토텔레스는 다른 의견들을 존중하며 자기의 이론이 완전무결하다고 보기보다 비판과 정정을 겸허히 수용한다. (H 발제문)

 

Group B.

 

(4) 철저하게 공동체적(thoroughly communal)

: The criterion of success is that we find a specification of the good life that we can endorse as a group, one that is the best adjustment of all the apperances. [...] Aristotle’s pupil will be working towards agreement with her fellow pupils

 

(5) 목적의 수단이자 구성요소로서 이성

: the practical ends sought cannot be described without mention of reason: we seek a clearer grasp of ends, a more perspicuous apprehens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ends.

 

(6) 논리적 덕성의 중요성

: We move beyond the muddle of daily life only be ferreting out inconsistencies, striving for clarity in definition and in the rest of our discourse.

 

(7) 독립적이고 활동적인 학생

: He must emulate the philosopher, entering actively into the give and take of criticism, being not subserivent but independent and active.

 

(8) 대안들에 대한 존중있는 조사(a respectful survey of alternatives)

: Our attitude is that each person has something to contribute to the ethical truth [...] The Aristotelian pupil will study critically and respectfully many books in philosophy and history.

 

(9) 겸허함(self-deprecating)

: the sort of discourse embodied in lectures like the EN must be incomplete, not more than an outline or sketch of what is to be done. [...] Aristotle is willing to claim that his own discourse must, like all discourse, be subject to future criticism and correction.

 

6. 에피쿠로스의 아리스토텔레스 공격: 문헌학적 여담

 

  NussbaumCicero가 기록한 아리스토텔레스파와 에피쿠로스파의 대립에 추가로, 에피쿠로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철학과 의학의 관계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알고 있음을 지지하는 문헌학적 근거를 네 가지 제시한다.

 

1) 도입에 제시된 US 221, 423: 영혼의 치료 효과가 없는 공허한empty 논변은 아리스토텔레스를 겨냥했다.

2) Gigante가 지적하듯이 아리스토텔레스와 에피쿠로스는 의학적 치료 과정을 지시하기 위하여 iatreia라는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였다. 참고로 플라톤은 이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iatreusis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3) 에피쿠로스 학파 1세대인 Philodemus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윤리학적 논의에서 의학적 비유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EN 1104a에서 의술, 항해술을 언급한 것과 유사한 대목이 있다. (H 발제문)

4) Aristotle is the only thinker, so far as we know, who both used the medical analogy in ethical discourse and denied that the proper job of the moral philosopher was anything like ‘throwing out’ the pathē; who defended the practical value of a purely intellectual use of ethical argument.

 

7. 논쟁의 본질(The nature of the debate)

 

에피쿠로스 아리스토텔레스

 

1) impossibly elitist, effete, and impotent against the real pains of human beings

- 도덕 철학 강의를 들으려는 학생은 교육(paideia)을 통해 감정(pathē)이 바르게 되어 있어야 하는데, 교육은 선별적이고 귀족적임

- 그리고 교육을 받아봤자 효과가 없음. 나쁜 감정이 모든 곳에 있고 그것을 기르는 잘못된 믿음이 교육 자체에 의해서 가르쳐지고 장려됨

- 올바른 감동적인 종류의 logoi를 고안하는 철학이 인간의 고통을 치유할 수 있을 뿐

 

2) the task of assuaging human suffering is the only proper task for philosophy

- 아리스토텔레스는 긴급한 사안을 무시하고 너무 높은 허들을 설정했을 뿐만 아니라 정작 진짜 중요한 사안이 멈추는 데서부터 시작하려고 함

- If paideia really worked, then the EN and the EE would add to that well-ordered life nothing of value

 

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1) paideia와 이어지는 logos에 의한 훈련은 여가가 있어야 하는 것은 인정한다. 그러나 자신의 윤리학적 논변은 인간이 잘 사는 데에 distinctive practical contribution을 한다. 그것은 무용하거나 에피쿠로스적 전략에 의해 대체가능한 것이 아니다.

 

2) 에피쿠로스는 성인 인간들을 아이 취급하면서 그들 자신의 능력을 무시한다. 시민의 존엄성과 개인적/시민적 친애를 해친다. community of ‘free and equal people, ruling and being ruled by turns’가 설립될 수 없다. 다른 윤리학적 관점들에 대한 존중이 불충분하다.

 

8. 과정과 가치(Procedures and values)

 

  Nussbaum은 양자가 좋은 인간 삶에 대하여 다르게 생각하였기 때문에 철학적 과정에 대해서도 다르게 생각하였음을 지적한다. 1) 결과의 측면: 아리스토텔레스가 개인적으로는 실천적 합리성을 발휘하고, 사회적으로는 다른 사람과 함께 삶을 지향하였다면, 에피쿠로스는 세속적 번잡함에서 벗어나 개인적 영혼의 평안을 추구하였다. 2) 과정의 측면: 에피쿠로스는 순수한 아이를 이상으로 설정하고 외부tuchē의 영향에서 자유롭기를 바랐기 때문에, 제자를 아이처럼 다루는 데에 거리낌이 없었고, 스승의 권위와 그가 제공하는치료적 논변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도록 하였다. (H 발제문)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interpersonal and social goods과 운에 대한 취약함이 분리불가능함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he is able to opt for a procedure of critical argument that is subject to many influences and that never closes itself off from further criticism and revision. (수정)

  ⇒ 철학적 방법과 과정은 각 철학자가 상정하는 도덕적 가치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 합리적 선택은 가치와 무관한 선택일 수 없다. (H 발제문) + Any procedure we ourselves use to choose between these methods will, like the methods themselves, reflect our ethical values and express a normative conception of rationality.

 

9. 아리스토텔레스의 기여

 

  Nussbaum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의술 비유를 도덕적 논의에 비판적으로 적용하는 데에서 현대적인 가치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현대의 도덕 담론은 윤리학을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일관된 하나의 체계로 만들고자 하거나 별다른 사회적 기여를 못하는 철학적 전문가들의 이야기로 간주한다. 전자는 인간 삶과의 실천적 연결을 잃어버리고, 후자는 에피쿠로스의 논의처럼 개인적 측면에만 집중하여 지적인 전통을 망각하는 문제를 낳는다. 따라서 Nussbaum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중간적 입장을 취한 것처럼, 윤리학이 합리적인 논변을 통하여 개인의 발전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하며, 전문적인 철학자들이 이러한 논변을 발전시킴으로써 실천적practical 가치를 갖는다 주장한다. (H 발제문)

 

10. 두 가지 질문과 한 가지 경고

 

  마지막으로 Nussbaum은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 두 가지 질문을 제기한다. 첫째는 일반적인 도덕 이론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개별 사태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는 상충하는 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둘째는 윤리적 논변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지향하는 가치를 얼마나 지지해야 하는지이다. 즉 엘리트주의적 요소를 줄이고 사회적 보편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의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ussbaum은 아리스토텔레스를 지지하며, 그 근거로 DL의 한 대목을 인용하여 에피쿠로스처럼 개인적 평안을 위해서만 논변을 활용하면 수동적이고 나약한 인간이 되어버린다 경고한다. (H 발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