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고대철학 일차문헌 28

아리스토텔레스, 「제3권」 6-9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자발성과 비자발성 제2장 합리적 선택 제3장 숙고 제4장 바람 제5장 책임의 문제 제6장 용기 제7장 용기와 비겁, 무모 제8장 용기라고 불리는 것들 제9장 용기와 고통 제10장 절제 제11장 절제와 무절제 제12장 무절제와 자발성 제6장 용기 (1115a6-1115b6) Main Question : 용기란 무엇인가? Main Answer : 두려움과 대담함에 관련하는 중용이다. (|1|) “우리가 두려운 것들을 두려워한다는 것은 분명하며, 이것들은 단적으로 말하자면 나쁜 것들이다. 그런 까닭에 사람들은 두려움을 나쁜 것에 대한 예감으로 규정한다.”(1115a7-9) Q : 두려움이 나쁜 것에 대한 예감이라면, 그 나쁜 것 혹은 두려움이 관계하는 두려운 것은 무엇인가? 1. 두려운 것 (1115a..

아리스토텔레스, 「제3권」 5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자발성과 비자발성 제2장 합리적 선택 제3장 숙고 제4장 바람 제5장 책임의 문제 제6장 용기 제7장 용기와 비겁, 무모 제8장 용기라고 불리는 것들 제9장 용기와 고통 제10장 절제 제11장 절제와 무절제 제12장 무절제와 자발성 제5장 책임의 문제 (1113b3-1115a5) “이렇게 해서, 바람의 대상은 목적에 관계하는 반면, 숙고와 합리적 선택의 대상은 목적에 이바지하는 것이므로, 이 후자에 관계하는 행위들은 합리적 선택에 따른 것이며 자발적인 것일 게다. 그런데 탁월성의 활동은 바로 이것[목적에 이바지 하는 것]에 관계한다.”(|1|1113b3-5) 1. 우리는 자발적으로 훌륭한 사람이나 비천한 사람이 된다. (1113b6-1113b13) 1. 행위들은 합리적 선택에 따른 것이며 자발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제3권」 2-4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자발성과 비자발성 제2장 합리적 선택 제3장 숙고 제4장 바람 제5장 책임의 문제 제6장 용기 제7장 용기와 비겁, 무모 제8장 용기라고 불리는 것들 제9장 용기와 고통 제10장 절제 제11장 절제와 무절제 제12장 무절제와 자발성 제2장 합리적 선택(prohairesis) (1111b5-1112a17) 1. 합리적 선택의 특징 (111b5-11) - 탁월성에 가장 고유한 것 - 행위들보다 성격(ēthos)을 더 잘 분간해 내는 것 - 명백히 자발적인 것이지만 그것과 동일하지 않음 (자발적인 것이 더 넓은 개념) ex. 아이들이나 다른 동물들도 자발적인 것에는 참여하지만 합리적 선택에는 그러지 못함 ex. 갑작스러운 행위를 자발적인 것이라고는 해도 합리적 선택에 따른 것이라고는 하지 않음 ⇒ Af..

아리스토텔레스, 「제3권」 1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자발성과 비자발성 제2장 합리적 선택 제3장 숙고 제4장 바람 제5장 책임의 문제 제6장 용기 제7장 용기와 비겁, 무모 제8장 용기라고 불리는 것들 제9장 용기와 고통 제10장 절제 제11장 절제와 무절제 제12장 무절제와 자발성 제1장 자발성과 비자발성 (1109b30-1111b4) 1. 자발성과 비자발성에 관한 탐구의 필요성 (1109b30-34) “탁월성은 감정과 행위에 관련하고, 이것들이 자발적인 경우에는 칭찬과 비난이 가해지지만 비자발적인 경우에는 용서(syngnomē)가, 경우에 따라서는 연민까지 생겨나므로 탁월성에 대해 탐구하는 사람은 아마도 필수적으로 자발적인 것과 비자발적인 것을 규정해야 할 것이다. 또 이 일은 명예와 벌 양자에 관련해서 입법자들에게도 유용하다.”(1109b30..

아리스토텔레스, 「제2권」 7-9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탁월성의 기원 제2장 성격과 습관 제3장 성격적 탁월성은 즐거움과 고통에 관련한다. 제4장 품성상태와 행위 제5장 탁월성의 유 : 품성상태 제6장 탁월성의 종차 : 중용 제7장 성격적 탁월성들의 소묘 제8장 중용과 극단 제9장 중용에 도달하기 위한 실천적 지침 제7장 성격적 탁월성들의 소묘 (1107a28-1108b10) “하지만 이것은 이렇게 일반적으로 설명할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것들에도 적용해야 할 것이다. 행위와 관련한 논의들 가운데 일반적인 논의는 더욱 널리 적용되는 반면, 더욱 참된 것은 그 부분들에 대한 논의이다. 행위들은 개별적인 것들에 관련하며, 우리의 논의는 이러한 것들에 부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도표에서 취해 보도록 하자.”(|1|1107a28-34) ⇒ 5장, 6장..

아리스토텔레스, 「제2권」 1-6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탁월성의 기원 제2장 성격과 습관 제3장 성격적 탁월성은 즐거움과 고통에 관련한다. 제4장 품성상태와 행위 제5장 탁월성의 유 : 품성상태 제6장 탁월성의 종차 : 중용 제7장 성격적 탁월성들의 소묘 제8장 중용과 극단 제9장 중용에 도달하기 위한 실천적 지침 제1장 탁월성의 기원 (1103a13-1103b25) 1. 두 종류의 탁월성의 기원 (1103a13-23) a. 지적 탁월성 : 주로 가르침에 두고 있음. 그래서 경험과 시간이 필요함. b. 성격적 탁월성 : 습관의 결과로 생겨남. 그러므로 본성적으로 생기는 것은 아님. 1. 본성적으로 생기는 것은 본성과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다. (2. 본성과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는 것은 습관 자체를 들일 수 없다.) 3. 따라서, 습관의 결과로..

아리스토텔레스, 「제10권」 9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즐거움 제2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 제3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의 검토 제4장 활동으로서의 즐거움 제5장 즐거움의 종류 제6장 행복 : 지금까지 논의의 요약 제7장 관조적 활동으로서의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윤리학, 입법, 정치체제 제9장 윤리학, 입법, 정치체제 (1178b34-1181b24) 1. 말들의 한계 (1178b34-1179b19) 1) 이렇게 해서 이런 문제들과 탁월성에 관해, 더 나아가 친애와 즐거움에 관해 개략적으로 충분히 이야기했다면, 우리의 애초 계획은 그 목적을 성취했다고 생각해야만 할 것인가? → NO 2) 아니면 우리가 말한 것과 같이 실천적인 일에 있어 목적은 각각을 관조하고 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것들을 행위하는 것이기에, 탁월성에 관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 「제10권」 7-8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즐거움 제2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 제3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의 검토 제4장 활동으로서의 즐거움 제5장 즐거움의 종류 제6장 행복 : 지금까지 논의의 요약 제7장 관조적 활동으로서의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윤리학, 입법, 정치체제 제7장 행복 : 관조적 활동으로서의 행복 (1177a12-1178a8) 1. 관조적 활동으로서 행복 (1177a12-1177b26) 행복의 정의 : 행복은 완전한 삶 안에서 가장 완전한 탁월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다. (1권 7장 참고) (Q : 최고의 탁월성(최선의 것의 탁월성)(가장 완전한 탁월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은 무엇인가?) Q-1 : 우선, 최선의 것(highest/best element)은 무엇인가? A-1 : “지성(nous, i..

아리스토텔레스, 「제10권」 6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즐거움 제2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 제3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의 검토 제4장 활동으로서의 즐거움 제5장 즐거움의 종류 제6장 행복 : 지금까지 논의의 요약 제7장 관조적 활동으로서의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윤리학, 입법, 정치체제 제6장 행복 : 지금까지 논의의 요약 (1175a34-1177a11) “행복을 인간적인 것의 목적이라고 규정했으므로, 이제 남은 것은 행복에 관해 개략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다. 앞서 논의된 것을 다시 요약해 보면 논의가 보다 간결해질 것이다.”(1176a30-33) 1. 행복은 그 자체로 선택되는 활동이다. (1175a34-1176b7) 1. 행복이 품성상태라면, 평생 잠만 자면서 식물 같은 삶을 사는 사람도, 크나큰 비운을 겪고 있는 사람도 행..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10-13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좋음과 목적 제2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3장 논의의 방법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제5장 행복과 세 가지 삶의 유형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행복을 성취하는 방법 제10장 행복과 운명 제11장 행복과 죽음 이후 제12장 칭찬과 명예 제13장 영혼의 탁월성 제10장 행복과 운명 (1100a10-1101a21) 1. 솔론의 문제 제기에 대한 첫 번째 대응 (1100a10-21) 솔론 : “인간은 죽은 다음에야 행복하다.” 1. 인간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온갖 악들과 불운들을 겪는다. (2. 악들과 불운들을 겪는 것은 행복하다고 말할 수 없다.) 3. 따라서, 인간은 살아 있는 동안에는 행복하다고 말할 수 없다. 1.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