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76

이종우(2018), 「범주적 직관과 범주적 재현 이론」, 『현상학과 현대철학』 79

1. 들어가며 2. 파악과 직관 3. 범주적 직관 4. 범주적 파악내용 5. 범주적 재현 이론에는 문제가 있는가? 5.1. 투겐트하트의 견해 5.2. 로마의 견해 5.3. 『경험과 판단』에서의 범주적 재현 이론 6. 나오며 1장 : 논문의 목표, 문제 상황과 기존 연구, 논문의 주장, 논문의 의의, 논문의 전개 순서 2장 : 지향적 체험(작용), 지향적 본질(intentionales Wesen)/내용(Inhalt), 지향적 질료(Materie)와 지향적 성질(Qualität), 파악(Auffassung)/재현(Repräsentation), 파악내용/재현자(Repräsentant), 파악의 존재, 파악과 파악내용과 지향적 대상의 구별, 직관적 작용(더 직관적~덜 직관적)과 비직관적 작용(표의적(signit..

김남두(2002), 「아낙시만드로스와 서양적 자연이해의 맹아」, 『철학사상』15

1. (서론) 2. (밀레토스 학파와 아낙시만드로스의 자료) 3. (아낙시만드로스의 자료) 4. (아낙시만드로스의 자료의 해석) 4-1. (포퍼의 해석) 4-2. (연구자들의 해석) 5. (필자의 해석과 결론) 1장 : 동양과 서양의 구분(문화적 경계), 서양의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물음, 논문의 주장, 논문의 주장에 대한 비판(문화전통 내 구분, 문화전통의 시기별 상이성), 논의의 출발점(문화적 정체의식과 그 근원), 논의의 발판(칼 포퍼), 실정성 개념 언급, 논문의 전개 순서 2장 : 아낙시만드로스(밀레토스 학파)의 작업과 그 성격, 아낙시만드로스(밀레토스 학파) 자료의 실정, 아낙시만드로스 자료의 구분, 아낙시만드로스 자료 해석 순서 3장 : 무한정한 것(아페이론)과 대립자들, 우주론: 세계의 형..

강철웅(2016), 「머리말: 설득과 비판, 그 진지한 유희」, 『설득과 비판』

(서론) 초기 희랍의 철학 담론 전통 설득과 비판 아곤 반성과 대화 진지한 유희 서론 : 책의 목표, 통상의 철학사 작업과 같은 점, 통상의 철학사 작업과 다른 점(책의 고유한 작업 방식), 서양고대철학자들의 이중적 대화(외적 대화, 내적 대화) 초기 희랍의 철학 : 철학사 최초 단계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 소개(‘초기 희랍 철학’,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에 대한 비판과 옹호, ‘초기 희랍 철학’을 선호하는 이유, 초기 희랍 철학의 앞뒤 경계(시인, 소피스트) 포괄과 그 이유 담론 : 우리말 ‘담론’, ‘담’(뮈토스 - 신화)과 ‘론’(로고스 – 논변, 합리적 설명), ‘담론’이라는 용어 사용을 통한 저자의 기대 전통 : 우리말 ‘전통’, 서양어 ‘traditio’, ‘전통’..

강성훈(2013), 「책머리에」, 『서양고대철학1』

고대 그리스의 일군의 지성인들이 했던 활동으로서 철학, 철학의 이해를 위한 고대 그리스의 일군의 지성인들이 했던 활동 확인의 필요성, 서양고대철학 텍스트들의 국내 번역 사정, 서양고대철학 조망의 필요성, 국내 서양고대철학 조망서 사정, 『서양고대철학』의 저술 목적, 『서양고대철학』의 구성, 『서양고대철학』의 저술 및 구성 방식, 『서양고대철학1』의 구성, 『서양고대철학1』 1부의 세부 구성(엘레아학파, 다원론자, 크세노파네스 관련), 『서양고대철학1』 2부의 세부 구성(소피스트, 소크라테스 관련), 『서양고대철학1』 3부의 세부 구성(플라톤 관련), 『서양고대철학』의 집필 과정, 집필진의 희망, 감사 인사 p.5. 철학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오늘날 다양한 견해가 있다. 하지만 2,500여 년 전 그리스의..

김성진(2005), 「탈레스 철학의 작용영향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테오리아」, 『서양고전학연구』24

Ⅰ. 아리스토텔레스의 경험적 탐구정신과 역사의식 1. 경험적 탐구와 역사의식 2. 철학적 사유의 역사적 연관성 3. 최초의 철학자 탈레스의 작용영향사 Ⅱ. 지식과 지혜와 테오리아 1. 고대문명과 테오리아의 시초 2. 테오리아는 제일 원인과 원리들의 탐구 3. 테오리아의 역사적 기원은 자연철학과 수학에서 Ⅲ. 탈레스의 자연철학과 수학,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테오리아 1. 물리학, 수학, 제일철학 2. 탈레스의 자연철학과 테오리아 3. 탈레스의 수학과 테오리아 4. 수학적 증명과 학문적 논증 그리고 제일철학 Ⅳ. 나오면서 Ⅰ장 : 발생 기원에 대한 물음의 의미, 이오니아 자연철학자들을 최초의 철학자로 평가한 아리스토텔레스(서양철학의 시작을 이오니아 자연철학자들에게서 찾는 고대의 전통), 아리스토텔레스의 학..

이남인(2012),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의 미래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을 위한 하나의 기여-」, 『현상학과 현대철학』54

1.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후설의 해명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태도변경으로서의 현상학적 환원 3. 현상학적 환원과 사태 개시 기능 4.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의 미래 서론 : 현상학적 환원의 문제가 후설에게서 자주 다루어진 이유, 현재 연구자들 사이에서 의견 불일치, 현상학적 환원의 논란에 대한 책임,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의 정의와 필요성,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의 주요 과제, 논문의 목표, 논문의 구성, 논문의 의의 1장 : 현상학적 환원에 대해 부정적인 철학자들(하이데거, 데리다, 타미니오)의 견해 소개, 부정적인 견해의 두 가지 문제, 부정적인 견해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 소재,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 해명 방식의 두 가지 문제, 판단중지 개념으로 현상학적 환원의 정체를 해명하는 방식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