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153

[후설] "위치감각의 위치화와 육체의 비사물적 속성들에 관한 세부사항들" (『이념들2』 2부 3장 40절) (1/2)

40절 Näheres über die Lokalisation der Empfindnisse und die nicht-dinglichen Eigenschaften des Leibes. More precision concerning the localization of the sensings and concerning the non-thingly properties of the Body 위치감각의 위치화와 육체의 비사물적 속성들에 관한 세부사항들 *das Nähere : (pl.) details Ist nun alles Stoffliche leiblich lokalisiert oder durch Lokalisation leiblich bezogen und dadurch für die eigene Objekti..

[후설] "더 높은 대상성들의 구성을 위한 육체의 중요성" (『이념들2』 2부 3장 39절)

39절 Bedeutung des Leibes für die Konstitution höherer Objektitäten. Significance of the Body for the constitution of higher Objectivities 더 높은 대상성들의 구성을 위한 육체의 중요성 *die Bedeutung : 의미, 중요성 Darüber hinaus ist nun der Leib auch bei allen anderen “Bewußtseinsfunktionen” dabei, und das hat seine verschiedenen Quellen. Now, besides this, the Body is involved in all other" conscious functions," and th..

[후설] "의지기관과 자유로운 운동의 담지자로서 육체" (『이념들2』 2부 3장 38절)

38절 Der Leib als Willensorgan und Träger freier Bewegung The Body as organ of the will and as seat of free movement 의지기관과 자유로운 운동의 담지자로서 육체 Die Auszeichnung des Leibes als Lokalisationsfeld ist die Voraussetzung für die weiteren Auszeichnungen des Leibes allen materiellen Dingen gegenüber: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Body as a field of localization is the presupposition for its further distin..

[후설] "시각적 [영역] 그리고 촉각적 영역 사이의 차이들" (『이념들2』 2부 3장 37절) (3/3)

Mit dem Vorzug der Lokalisation der Tastempfindungen hängen Unterschiede in der Komplexion visuell-taktueller Auffassungen zusammen. Connected to the privilege of the localization of the touch sensations are differences in the complexion of the visual-tactual apprehensions. 촉감각들의 위치지어짐의 특권과 함께, 시각적-촉각적 파악들의 복합체 안에 차이들이 결합되어 있다. *der Vorzug : 우선권, 특권 / zusammenhängen : hang together, joined toget..

[후설] "시각적 [영역] 그리고 촉각적 영역 사이의 차이들" (『이념들2』2부 3장 37절) (2/3)

Das Auge nämlich ist auch Lokalisationsfeld, aber nur für Berührungsempfindungen und wie jedes vom Subjekt “frei bewegliche” Organ ein solches für Muskelempfindungen. Actually, the eye, too, is a field of localization but only for touch sensations, and, like every organ "freely moved" by the subject, it is a field of localized muscle sensations. 더 자세히 말하자면, 눈도 위치화된 장이다, 그러나 촉감각들만에 대해서[을 통해서]만이고,..

[후설] "시각적 [영역] 그리고 촉각적 영역 사이의 차이들" (『이념들2』 2부 3장 37절) (1/3)

37절 Unterschiede zwischen visuellem und taktuellem Gebiet. Differences between the visual and tactual realms 시각적 [영역] 그리고 촉각적 영역 사이의 차이들 *der Unterschied : 차이 (=unter- + scheiden : 갈라놓다, 구별하다) / das Gebiet : realm, (지배) 영역 (=ge- : 집합, 공동 + das Biet : 지역) Wir finden nun einen auffallenden Unterschied zwischen der Sphäre des Visuellen und Taktuellen. We find now a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s..

[후설] "위치화된 감각들의(위치감각들의) 담지자로서의 육체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36절)

36절 Konstitution des Leibes als Trägers lokalisierter Empfindungen (Empfindnisse). Constitution of the Body as bearer of localized sensations (sensings) 위치화된 감각들의(위치감각들의) 담지자로서의 육체의 구성 Wir haben gesehen, daß bei aller Erfahrung von raumdinglichen Objekten der Leib als Wahrnehmungsorgan des erfahrenden Subjektes “mit dabei ist”1), und müssen nun der Konstitution dieser Leiblichkeit nachgehen. 1) ..

[후설] "육체를 통한 영혼적 실재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35절)

Drittes Kapitel (3장) Die Konstitution der seelischen Realität durch den Leib THE CONSTITUTION OF PSYCHIC REALITY THROUGH THE BODY 육체를 통한 영혼적 실재의 구성 *seelischen : 영혼적 (die Seele : soul) / durch : through 35절 Überleitung zur konstitutiven Betrachtung des “Menschen als Natur” Transition to the study of the constitution of "man as nature" “자연으로서 인간들”에 관한 구성적 고찰로의 이행 *die Überleitung : transition, 이행..

Bostock(1986), "Introduction" C. (i)까지, Plato's Phaedo

A. Chronology *동일 저자의 다른 저작과의 비교에 있어서 문제 - it cannot be assumed that an author never changes his opinions - even where he still maintains the same opinion, it still cannot be assume that it is always that same opinion among plenty of opinions he is trying to express ⇒ Roughly speaking, it is reasonable to expect similar views in works composed at about the same time, but where two treatments dif..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6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좋음과 목적 제2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3장 논의의 방법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제5장 행복과 세 가지 삶의 유형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행복을 성취하는 방법 제10장 행복과 운명 제11장 행복과 죽음 이후 제12장 칭찬과 명예 제13장 영혼의 탁월성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1096a12-1097a14) “아마도 보편적 좋음을 검토하고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되는지를 따져 보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탐구는 이데아들을 도입한 사람들이 우리의 벗들이기에 달갑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서 진리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더구나 철학자로서는, 우리와 아주 가까운 것들까지도 희생시키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