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153

아리스토텔레스, 「제10권」 7-8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즐거움 제2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 제3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의 검토 제4장 활동으로서의 즐거움 제5장 즐거움의 종류 제6장 행복 : 지금까지 논의의 요약 제7장 관조적 활동으로서의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윤리학, 입법, 정치체제 제7장 행복 : 관조적 활동으로서의 행복 (1177a12-1178a8) 1. 관조적 활동으로서 행복 (1177a12-1177b26) 행복의 정의 : 행복은 완전한 삶 안에서 가장 완전한 탁월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다. (1권 7장 참고) (Q : 최고의 탁월성(최선의 것의 탁월성)(가장 완전한 탁월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은 무엇인가?) Q-1 : 우선, 최선의 것(highest/best element)은 무엇인가? A-1 : “지성(nous, i..

아리스토텔레스, 「제10권」 6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즐거움 제2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 제3장 즐거움에 관한 통념들의 검토 제4장 활동으로서의 즐거움 제5장 즐거움의 종류 제6장 행복 : 지금까지 논의의 요약 제7장 관조적 활동으로서의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윤리학, 입법, 정치체제 제6장 행복 : 지금까지 논의의 요약 (1175a34-1177a11) “행복을 인간적인 것의 목적이라고 규정했으므로, 이제 남은 것은 행복에 관해 개략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다. 앞서 논의된 것을 다시 요약해 보면 논의가 보다 간결해질 것이다.”(1176a30-33) 1. 행복은 그 자체로 선택되는 활동이다. (1175a34-1176b7) 1. 행복이 품성상태라면, 평생 잠만 자면서 식물 같은 삶을 사는 사람도, 크나큰 비운을 겪고 있는 사람도 행..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10-13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좋음과 목적 제2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3장 논의의 방법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제5장 행복과 세 가지 삶의 유형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행복을 성취하는 방법 제10장 행복과 운명 제11장 행복과 죽음 이후 제12장 칭찬과 명예 제13장 영혼의 탁월성 제10장 행복과 운명 (1100a10-1101a21) 1. 솔론의 문제 제기에 대한 첫 번째 대응 (1100a10-21) 솔론 : “인간은 죽은 다음에야 행복하다.” 1. 인간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온갖 악들과 불운들을 겪는다. (2. 악들과 불운들을 겪는 것은 행복하다고 말할 수 없다.) 3. 따라서, 인간은 살아 있는 동안에는 행복하다고 말할 수 없다. 1. 인간..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8-9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좋음과 목적 제2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3장 논의의 방법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제5장 행복과 세 가지 삶의 유형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행복을 성취하는 방법 제10장 행복과 운명 제11장 행복과 죽음 이후 제12장 칭찬과 명예 제13장 영혼의 탁월성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1098b9-1099b8) 1. 원리에 관한 고찰 방법 (1098b9-12) “그런데 원리에 관해서 고찰할 때에는 (A) 우리 논의의 결론과 전제들로부터만 고찰할 것이 아니라, (B) 원리에 대해서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들로부터도 고찰해야 한다. 참된 논의라면 현존하는 모든 것들과 부합하겠지만, 거짓된 논의라면 진실된 것과 금방 어..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7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좋음과 목적 제2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3장 논의의 방법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제5장 행복과 세 가지 삶의 유형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행복을 성취하는 방법 제10장 행복과 운명 제11장 행복과 죽음 이후 제12장 칭찬과 명예 제13장 영혼의 탁월성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1097a15-1098b8) 1. 다양한 좋음과 최상의 좋음(최고선) (1097a15-23) 1. 서로 다른 행위나 기술에 있어서 좋음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1-1. 의술에 있어서 좋음은 건강이다. 1-2. 병법에 있어서 좋음은 승리이다. 1-3. 건축술에 있어서 좋음은 집이다. 1-4. 다른 경우에 있어서 좋음은 각기 ..

[후설] "유아론적으로 구성된 육체의 특성" (『이념들2』 2부 3장 42절)

42절 Charakteristik des solipsistisch konstituierten Leibes. Character of the Body as constituted solipsistically 유아론적으로 구성된 육체의 특징 *‘유아론적으로 구성된’이라고 말하면서 상호주관적 차원의 구성을 논의하지 않았음을 암시하고 있다. (교수님) Suchen wir nun kurz zusammenfassend zu charakterisieren, wie sich dem solipsistischen Subjekt ein Leib konstituiert, so finden wir: If we now try, in a short summary, to characterize the way a Body is const..

[후설] "다른 물질적 사물들과 상반되는 물질적 사물로서 육체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41절) (3/3)

c) Der Leib als Glied des Kausalzusammenhanges. c) The Body as integral part of the causal nexus c) 인과연관의 항으로서 신체 Wenn wir ihn trotzdem als ein reales Ding auffassen, so liegt das daran, daß wir ihn in den Kausalzusammenhang der materiellen Natur eigengliedert finden. If, despite all this, we apprehend the Body as a real thing, it is because we find it integrated into the causal nexus of materia..

[후설] "다른 물질적 사물들과 상반되는 물질적 사물로서 육체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41절) (2/3)

b) Eigentümlichkeit der Erscheinungsmannigfaltigkeiten des Leibes. b) Peculiarity of the manifolds of appearance of the Body b) 육체의 현출다양성들의 고유성 *die Eigentümlichkeit : peculiarity Mit der beschriebenen Auszeichnung hängen andere Eigentümlichkeiten des Leibes zusammen. Other peculiar properties of the Body are conjoined with its distinctive character as we have described it. 기술된 탁월성과 함께, 육체의 다른 고..

[후설] "다른 물질적 사물들과 상반되는 물질적 사물로서 육체의 구성" (『이념들2』 2부 3장 41절) (1/3)

41절 Konstitution des Leibes als materiellen Dinges im Kontrast zu anderen materiellen Dingen.1) 1) vgl. S. 144f. Constitution of the Body as material thing in contrast to other material things1) 1) Cf pp. 152f. 다른 물질적 사물들과 상반되는 물질적 사물로서 육체의 구성1) 1) 144페이지 이하를 참조하라! Wir haben gesehen, wie sich korrelativ zur materiellen Welt ein Subjekt leiblich-seelischer Vermögen (der Sinnesvermögen, Vermögen d..

[후설] "위치감각의 위치화와 육체의 비사물적 속성들에 관한 세부사항들" (『이념들2』 2부 3장 40절) (2/2)

In der Anschauung eines Realen liegt es allgemein, daß sie in ihrer Auffassung weitere reale Abhängigkeiten offen läßt, die noch nicht bestimmt (sei es auch nur der besonderen Natur nach bestimmt) zum Bestand der vollzogenen Auffassung gehören. It pertains in general to the intuition of something real to leave open, in this intuition's apprehension, further real dependencies which do not yet b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