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근대 윤리학의 두 경향, 의무론과 결과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현대에 들어서 덕윤리 이론이 발달하였지만, 그 기원이 되는 서양 고대철학에서는 덕을 행복이라는 개념이 지배하는 더 큰 구조의 부분으로 간주하였다. Annas 서양 고대철학에서 말하는 덕과 행복의 관계를 살펴야 하는 이유로, 1) 덕으로는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서양 고대철학의 덕을 더 큰 구조 하에 두는 논의를 참고해야 하며, 2) 서양 고대철학의 체계적인 논의 하에서 덕이 어떠한 위치를 점하는지를 확인하면 현대 덕윤리가 더욱 정교해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 (H 발제문) *문제의식 : And there has indeed been considerable interest in developing moder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