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153

에피쿠로스 도덕론의 공리주의적 해석에 대한 Rosenbaum(1996)의 반대 검토

에피쿠로스 도덕론의 공리주의적 해석에 대한 Rosenbaum(1996)의 반대 검토 본고의 목적은 에피쿠로스 도덕론의 공리주의적 해석을 반대한 Rosenbaum(1996)의 논변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것의 설득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필자는 Rosenbaum의 논변이 공리주의적 해석자의 가능한 반론에 노출되어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겠지만, 적절한 보완을 통해 공리주의적 해석자의 반론에 대응함으로써 설득력이 제고될 여지가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1. 공리주의적 해석의 유혹과 Rosenbaum의 반대 논변 에피쿠로스에게 있어 도덕적인(moral) 혹은 올바른(정의로운, just) 행위는 궁극 목적인 행복(eudaimonia, 좋은/잘 삶, well-being)을 구성하는 쾌락(hedone, pl..

Rosenbaum(1996), "Epicurean Moral Theory", History of Philosophy Quarterly

(서론) 문제제기 - 도덕 철학자들은 옳고 그른 행동을 무엇이 구성하는지에 관한 에피쿠로스 이론에 대개 친숙하지 않다 - 나아가 그들은 에피쿠로스가 도덕에는 별 관심이 없고 life of pleasure의 추구에 큰 관심이 있어 윤리학적으로 적합하지 않을 것이라는 인상을 가진다 에피쿠로스 도덕 이론에 관심 가질 이유 - 서양 철학을 오랫동안 지배해왔던 도덕 전통의 대안으로서 철학적으로 더 완전하게 발전되고 있는 Aristotle과 Stoics의 이론들과 마찬가지로 ancient aretaic tradition of eudaimonistic theories들의 전통 내에 있는 도덕 이론이다 - 나아가 다른 덕 이론과 차별점을 가진다. Epricurus associated the virtue of justi..

[니체] 「차라투스트라의 서설」 1-2절,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차라투스트라의 서설」 1절 *태양(sun, die Sonne) : 니체의 초기 사유에서부터 자연은 종종 ‘과잉’과 ‘낭비’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묘사되곤 한다. 니체에게서 자연은 마치 넘쳐흐르는 자신의 충동들을 마음껏 쏟아내지 못하여 괴로워하는 생명체의 이미지를 갖는다. 이러한 자연의 이미지가 태양과 차라투스트라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태양이 자신의 빛을 마음껏 뿜어내지 못하고, 차라투스트라가 자신의 지혜를 베풀지 못한다면, 괴로움이 있을 것이다. 차라투스트라에게는 자신의 지혜를 베푸는 일이 곧 그의 ‘행복’이다. (J 발제문) 다윈의 세계는 궁핍하다. 뭇 생명들이 생존을 위해 한정된 자원을 차지하고자 서로 싸우는 세계다. 이원론적 종교도 현세를 눈문의 골짜기를 표현하는 등으로 세계를 고통과 결..

[니체] 제목과 부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Q1. 왜 이 책의 제목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 Thus Spoke Zarathustra)”일까? 왜 하필 니체는 차라투스트라의 입을 빌려 이야기하는가? A. 차라투스트라는 조로아스터교의 창시자이다. '조로아스터교'라는 이름은 창시자인 차라투스트라에게서 유래한다. 차라투스트라의 본래 이름은 아베스타어(고대 페르시아어)로 '자라수슈트라(Zaraϑuštra)'인데, 이게 그리스에서 전사라는 뜻의 '조로아스트레스(Ζωροάστρης, Zōroastrēs)'가 되었고, 그것이 라틴어를 거쳐 영어로 '조로아스터(Zoroaster)'가 되었다.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는 ‘배화교(拜火敎)’나 ‘마즈다교(Mazdaism)’라고도 불리며, 창조신 아..

플라톤, 「의인화한 법률의 연설」 후반부 및 「종결부」 (51c-54e), 『크리톤』

1. 도입부 (43a-44b) 2. 크리톤의 탈옥 권유 (44b-46a) 3. 크리톤의 권유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응수 (46b-50a) 4. 의인화한 법률의 연설 (50a-54d) 4-1. 정의의 원칙들의 적용 (50a-50c) 4-2. 정의의 원칙들의 검토 (1) : 보복금지 원칙은 정당한 것인가? (50c-51c) 4-3. 정의의 원칙들의 검토 (2) : 합의의 원칙은 정당한 것인가? (51c-53a) 4-4. 탈옥에 관한 기타 문제에 대한 응수 (53a-54b) 4-5. 신화 (54b-d) 5. 종결부 (54d-e) 4. 의인화한 법률의 연설 (50a-54d) 4-3. 정의의 원칙들의 검토 (2) : 합의의 원칙은 정당한가? (51c-53a) 4-3-1. 합의의 내용 “그리고 복종하지 않는 자는 [..

플라톤, 「의인화한 법률의 연설」 전반부 (50a-51c), 『크리톤』

1. 도입부 (43a-44b) 2. 크리톤의 탈옥 권유 (44b-46a) 3. 크리톤의 권유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응수 (46b-50a) 4. 의인화한 법률의 연설 (50a-54d) 4-1. 정의의 원칙들의 적용 (50a-50c) 4-2. 정의의 원칙들의 검토 (1) : 보복금지 원칙은 정당한 것인가? (50c-51c) 4-3. 정의의 원칙들의 검토 (2) : 합의의 원칙은 정당한 것인가? (51c-53a) 4-4. 탈옥에 관한 기타 문제에 대한 응수 (53a-54b) 4-5. 신화 (54b-d) 5. 종결부 (54d-e) 4. 의인화한 법률의 연설 (50a-54d) 소크라테스 : 그러면 이렇게 고찰해 보게. 법률과 국가 공동체가 여기서 달아나려는 –이를 어떻게 표현하든- 우리에게 다가와 앞에 서서 다음과..

Frankfurt(1971), "Freedom of the Will and the Concept of a Person", The Journal of Philosophy 58(1)

서론 문제제기 : 현재 표준적인 concept of person(인간)(state of consciousness & corporeal characteristics)은 적절치 않다 - person이 아닌데 조건을 만족하는 존재자들이 있다 [weak] - person 개념의 일반적인 언어 사용을 위반한다 (violence to our language) 문제의 중요성 : understanding what we ourselves essentially are 문제 접근 - 인간 종과 다른 종을 구별하는 생물학적 기준을 찾는 것이 아님 - 인간 삶에 가장 중요하고 문제적인 원천을 찾는 것 (다른 종의 구성원이 이런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도 인간일 것) 주장 : 의지의 구조(structure of will)에서 ..

『니코마코스 윤리학』 "우리가 할 수 있는 데까지 우리들이 불사불멸의 존재가 되도록"(1177b34)에 관한 짧은 글

Q : 다음 언명은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어느 맥락에서 나온 말인지, 주장하는 바가 무엇인지 가능한 한 설득력 있게 설명한 후, 자신의 입장에서 평가하시오. “인간이니 인간적인 것을 생각하라” 혹은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이니 죽을 수밖에 없는 것들을 생각하라”고 권고하는 사람들을 따르지 말고, 오히려 우리가 할 수 있는 데까지 우리들이 불사불멸의 존재가 되도록, 또 우리 안에 있는 것들 중 최고의 것에 따라 살도록 온갖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니코마코스 윤리학』 1권 7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적인 좋음인 행복을 탁월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으로 정의한 후 “또 만약 탁월성이 여럿이라면 그중 최상이며 가장 완전한 탁월성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이 인간적인 좋음일 것”이라는 조건을 덧붙였었다. 그는 10..

『파이돈』 "올바른 주화는 오직 현명함 뿐"(69a)에 관한 짧은 글

Q : 69a-b에서 소크라테스는 현명함만이 올바른 주화라고 이야기한다. 소크라테스가 어떤 뜻에서 현명함이 일종의 화폐라고 주장하는지 설명하고, 그의 주장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시오. 현명함만이 올바른 주화라는 소크라테스의 이야기는, 그가 철학자가 아닌 사람(일반인)의 덕과 철학자의 덕을 구별하고, 전자는 두려움이나 즐거움 등의 상호교환을 통해 갖게 되는 “온전한 바도 참된 바도 없는 것”인 반면, 후자는 두려움이나 즐거움 등과 현명함이라는 올바른 주화의 교환을 통해 도달하는 참된 덕이라고 주장하는 맥락에서 나온다. 그러므로 필자는 먼저 ➀ 일반인의 덕과 철학자의 덕이 어떻게 구별되고 왜 후자가 참된 덕이지만 전자는 그렇지 못한 것인지 살펴본 후, ➁ 소크라테스가 어떤 뜻에서 현명함이 일종의 화폐라고 ..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응수」(46b-50a), 『크리톤』

1. 도입부 (43a-44b) 2. 크리톤의 탈옥 권유 (44b-46a) 3. 크리톤의 권유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응수 (46b-50a) 3-1. 소크라테스와 원칙 (46b-c) 3-2. 다수의 판단이 아니라 전문가의 판단을 따라야 한다. (46c-48a) 3-3. 사는 것이 아니라 정의롭게 사는 것을 중시해야 한다. (48a-d) 3-4. 정의의 원칙들 (48d-49e) 3-5. 정의의 원칙들의 적용 (49e-50a) 4. 의인화한 법률의 연설 (50a-54d) 5. 종결부 (54d-e) 3. 크리톤의 권유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응수 (46b-50a) 소크라테스 : 친애하는 크리톤, 자네의 열의가 어떤 옳음을 동반하고 있다면, 그것은 크게 가치가 있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 열의가 더하면 더할수록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