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153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4-5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좋음과 목적 제2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3장 논의의 방법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제5장 행복과 세 가지 삶의 유형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행복을 성취하는 방법 제10장 행복과 운명 제11장 행복과 죽음 이후 제12장 칭찬과 명예 제13장 영혼의 탁월성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1095a14-1095b13) Main Question : 최고선이란 무엇인가? “대중들과 교양 있는 사람들 모두 최고선을 ‘행복(eudaimonia)’이라 말하고, ‘잘 사는 것’(eu zēn)과 ‘잘 행위하는 것’(eu prattein)을 ‘행복하다는 것’과 같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1095a17-19) Revised..

『니코마코스 윤리학』 활동, 몰입, 존재, 고귀 논평

활동, 몰입, 존재, 고귀 본고의 목적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①활동, ②몰입, ③존재, ④고귀 개념이 무엇이며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탐구하고 그 연결을 보여주는 사례를 찾아 연결에 대한 이해를 명료화하는 것이다. ① 활동(energeia)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의 대조(對照)로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우선, 활동은 능력(dynamis)과 대조되는데, 그것은 능력의 발현이다. 예컨대, 뒤뚱거리며 빵부스러기를 쪼는 비둘기는 비행 능력을 지니지만 그것을 발현하지는 않는데, 개구쟁이 아이가 갑자기 뛰어들자 놀라서 푸드덕거리며 날아오를 때 비로소 그 비둘기는 자신이 지닌 비행 능력을 발휘하며 활동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의 성립과 관련하여 활동을 설명하는데, 활동은 탁월성..

[해석학] 『진리와 방법』 짧은 글

세계문학 개념에서의 ‘세계’ 분석 1. 서론 (생략) 2. 본론 2-1. 세계문학의 세계 개념 문제 가다머는 『진리와 방법』에서 뭇 문학 작품에 대한 규범적 의미를 내포하는 세계문학 개념을 그 중요도에 비해 현저히 부족해 보이는 두 페이지 남짓한 분량만을 할애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도 세계문학의 세계 개념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부분은 다음이 전부로 보인다. “세계문학에 속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의식에 자리 잡고 있다. 그것은 ‘세계’에 속한다. 한 작품이 세계문학에 귀속되었을 때, 그 세계는 이 작품이 말하는 원래의 세계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을지도 모른다. 그 세계가 더 이상 동일한 ‘세계’가 아니라는 것은 확실하다. 그렇다면 세계문학 개념에 들어 있는 규범적 의미는, 세계문학에 속하는 작품..

[해석학] 김선규(2011), 「예술작품의 존재론과 미적 의식에 대한 비판」, 『해석학연구』 27

1. 들어가며 (111-114) 2. 미학의 주관화와 한계 (114-116) 3. 놀이와 예술작품 (116-124) 4. 형성체로의 변화와 총체적 매개 (124-128) 5. 미적인 것의 시간성 (129-132) 6. 미메시스와 존재의 증대 (132-135) 7. 상대주의비판에 대한 해명과 예술작품의 기회성 (135-137) 8. 나오며 (137-139) 1. 들어가며 *문제의식 - 현대 사회에서 예술작품은 하나의 소유 품목, 현실적/잠재적 자본, 물질적 가치로 환산되는 거래의 대상, 투기의 대상 등으로 이해됨 - 이러한 예술작품에 대한 이해에 근저의 전제는 예술작품을 하나의 물질적 대상, 골동품적인 과거의 미적인 대상으로서만 이해하는 것 - 이 경우 예술작품에 대한 이해는 기껏해야 작품발생적인 것과 관..

편상범(2014), 「덕과 즐거움」, 『철학사상』

Ⅰ. 들어가며 (4-5) Ⅱ. 덕의 표시로서의 즐거움 (5-8) Ⅲ. 감정(pathos)과 행위(praxis) (8-11) Ⅳ. 감정의 덕 (11-13) Ⅴ. 감정과 인식 (14-16) Ⅵ. 감정(pathos)의 즐거움과 행위(praxis)의 즐거움 (17-22) Ⅶ. 용기의 덕과 즐거움 (23-27) Ⅷ. 나가며 (27-28) Ⅰ. 들어가며 *문제의식 “덕인은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덕행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따라서 고통스러운 상황에서도 그는 즐겁게 덕행을 실천할 뿐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비참한 상황에 빠진 이웃을 도우며 자신의 선행에서 기쁨을 느끼고, 목숨을 건 전투에서 자신의 용감한 행동에 즐거워하는 사람이 덕인일까?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행동을 해도 슬프고 괴로운 것이 정상이 아닐까?” ..

Pears(1980), “Courage as a Mean”, Essays on Aristotle’s Ethics

(본래 절 구분이 없는 글) (1. Introduction : Questions) (2. How does courage involve fear and confidence?) (3. Medial Fear and Medial Confidence) (4. Conclusion : Remaining Questions) 1. Introduction *Questions 1-1) If courage finds a place on the scale of fear and actions exhibiting fear, how can it also find a place on the scale of confidence and actions exhibiting confidence? 1-2) Or is there only one ..

구익희(2017), 「용기와 아름다움」, 『철학사상』 63

Ⅰ. 서론 Ⅱ. 1117b7-15의 문제 분석 Ⅲ. 용감한 사람과 자제력 있는 사람 1. 아름다움을 위해서(tou kalou heneka) 2. 아름다움의 애호가(philokalos) Ⅳ. 구체적인 상황에서 아름다운 것 1. 용감한 군인이 처한 상황의 특성: 자발적인 것과 비자발적인 것의 혼합 2. ‘전쟁에서’ 아름다운 것(to en tōi polemōi kalon) Ⅴ. 결론 Ⅰ. 서론 *용기(andreia)의 중요성 - 플라톤 : 용기에 관한 저술 작성(『라케스』), 영혼의 네 가지 덕 가운데 하나로서 제시(『국가』) - 아리스토텔레스 : 여러 성격적 덕 중에 용기를 가장 먼저 다룸(『니코마코스 윤리학』, 『에우데모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용기에 관한 서술 - 일차적 서술(간단) : 용기란 나..

아리스토텔레스, 「제1권」 1-3장,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장 좋음과 목적 제2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3장 논의의 방법 제4장 최고선에 관한 통념들 제5장 행복과 세 가지 삶의 유형 제6장 좋음의 이데아 비판 제7장 우리가 추구하는 좋음과 행복 제8장 정의된 행복과 통념의 부합 제9장 행복을 성취하는 방법 제10장 행복과 운명 제11장 행복과 죽음 이후 제12장 칭찬과 명예 제13장 영혼의 탁월성 제1장 좋음과 목적 (1094a1-17) 1. 행위의 본성 (1094a1-3) (1. 모든 행위는 자신의 목적/목표를 추구한다.) 2. 모든 행위의 목적은 어떤 좋음이다. 3. 따라서, 모든 행위는 (어떤) 좋음을 추구한다. cf) 목적을 가지는 것 : 기예(technē), 탐구(methodos), 행위(praxis), [합리적] 선택 (1094a1) / 행위, 기예..

김민철(2020), 「루소의 사회계약 이론에 대한 역사적 독해」, 『역사비평』 131

1. 서론 : 사회계약론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445-448) 2. 주권과 자유 (448-453) 3. 민주주의의 현실성 (453-459) 4. 결론 : 루소의 회의주의와 사회계약론의 전망 (459-461) 1. 서론 *저자의 질문 :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논문 제목) “장-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Du contrat social)』(1762)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루소는 그 책을 저술함으로써 18세기 맥락에서 어떤 언어적 ‘행위’를 한 것인가? 한마디로 『사회계약론』은 어떤 ‘사건’이었는가?” (445) *문제 상황 (비판 대상) - 루소를 직접민주주의의 옹호자로 간주하는 독법 (류청오) - 루소가 유토피아적이고 윤리적이고 민주적인 사회를 비전으로 ..

『인간 불평등 기원론』 「서문」 및 서론 논평

자연 상태와 자연인 : 루소 인간학/정치학의 아르케 루소는 『인간 불평등 기원론』 곳곳(31, 38, 44, 98)에서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는 자연 상태와 자연인은 가설적이라고 말하면서 그것을 “역사적인 진리로 간주해서는 안 되고 그저 가설적이고 조건적인 추론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그쳐야 한다.”(44)고 언급한다. 그래서 혹자가 루소가 말하는 자연 상태가 실제로 존재했는지에 대한 인류학적 혹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비판해도 그것은 루소에게 올바른 비판이 될 수 없다. 루소 자신조차 자신이 어떤 경험적 진리, 역사적 진리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루소는 어떤 이유로 자연 상태에서 시작하는 가설적 역사를 자신의 방법론으로 사용하고, 그것의 특징은 무엇일까? 루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