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153

루소(1762), 「1부」, 『에밀』

아래 내용에는 근대서양정치사상(서울대학교 2022-1 김주형) 강의 및 토론 내용, 개인적 생각 등이 섞여 있음 p.61. “모든 것은 창조자의 수중에서 나올 때는 선한데 인간의 수중에서 모두 타락한다.” cf) “인간의 마음에는 선천적으로 사악함이 없다. 인간의 마음속에 어떻게 어디를 통해 들어왔는지 말할 수 없는 악은 하나도 없다.” (161, 2부) *루소의 저술에서 자주 등장하는 구절. 루소의 전체적 기획의 핵심. 자연과 사회를 구분하고, 자연적 선(natural goodness, 『사회계약론』을 읽을 때도 언급되었지만 자연적 선은 우리가 보통 ‘선’이라고 부르는 사회적 선과 다름)과 사회적 타락(social corruption)을 구분하는 방식. *루소는 모든 악의 기원을 인간 외부의 사회로 봄..

루소(1762), 서문, 『에밀』

아래 내용에는 근대서양정치사상(서울대학교 2022-1 김주형) 강의 및 토론 내용, 개인적 생각 등이 섞여 있음 pp.54-55. “사람들은 어린이에 대해 거의 문외한이다. 그러므로 그들이 가진 그 그릇된 생각에 기초하여 고찰할수록 그들은 더 과오만 저지른다.” (54) “이 책에서 체계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부분, 여기에서 그것은 자연의 진행 과정에 다름 아닌데, 바로 그 부분이 실은 독자들을 가장 당혹스럽게 만들 것이다.” (55) *어린이를 어른이나 사회의 관점에서 교육하는 대신 자연의 진행 과정에 맞추어 어린이의 관점에서 교육해야 함 p.56 “모든 연구 계획에는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언제나 두 가지가 있다. 첫째, 그 계획의 절대적인 선량함, 둘째, 실행의 수월함이 그것이다.” “그것이 가지는 ..

『사회계약론』 「4권」 논평

몽매한 인민에서 현명한 농민으로 : 인민을 계몽하는 농촌적 풍습 루소는 2권 6장에서 “인민은 언제나 알아서 좋은 것을 원하지만, 언제나 알아서 그것을 분간하는 것은 아니다.”(51), “공중은 좋은 것을 원하지만 보지는 못한다.”(52)라고 말하며 인민의 일반의지에 대한 판단력에 회의를 드러낸 후 신적인 입법자가 인민을 인도하기를 바랐다. 하지만 루소는 4권 1장에서 “농민들이 떡갈나무 아래 모여 국가의 일을 결정하고 항상 지혜롭게 인도”(127)한다고 말하며 인민의 일반의지에 대한 판단에 신뢰를 드러내며 스스로 인도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어떻게 몽매한 인민은 입법자 없이 현명한 인민이 되었을까? 또한 어떻게 “공간과 시간을 가로질러”(53) 보아야 하고 “쉽게 인지되는 현재 이득의 유혹과 숨겨져 있는..

루소(1762), 「4권」, 『사회계약론』

아래 내용에는 근대서양정치사상(서울대학교 2022-1 김주형) 강의 및 토론 내용, 역자주(장-자크 루소, 김영욱 역, 『사회계약론』, 후마니타스, 2018), 개인적 생각 등이 섞여 있음 1장 일반의지는 파괴될 수 없다 2장 투표에 대해 3장 선출에 대해 4장 로마 민회에 대해 5장 호민관 제도에 대해 6장 독재관 제도에 대해 7장 감찰관 제도에 대해 8장 정치종교에 대해 9장 결론 *논의 전개 : 1권의 논의 대상이 사회계약, 즉 정치체의 형성이었다면, 2권은 주권행위로서의 입법을, 3원 주권자의 자기관계 실현의 필수적 매개체로서 정부를 다룸. 4권의 논의 대상은 [...] 루소는 [...] “정치법을 계속 다루면서 국가의 구성을 공고하게 만드는 수단들을 진술”하는 것이라고 말함. 루소의 이런 용약은..

루소(1762), 「3권」, 『사회계약론』

아래 내용에는 근대서양정치사상(서울대학교 2022-1 김주형) 강의 및 토론 내용, 역자주(장-자크 루소, 김영욱 역, 『사회계약론』, 후마니타스, 2018), 개인적 생각 등이 섞여 있음 1장 정부 일반에 대해 2장 다양한 정부형태의 구성원리에 대해 3장 정부의 분류 4장 민주정에 대해 5장 귀족정에 대해 6장 왕정에 대해 7장 혼합정부에 대해 8장 모든 정부형태가 모든 나라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9장 좋은 정부의 증후에 대해 10장 정부의 권력남용과 타락 경향에 대해 11장 정치체의 죽음에 대해 12장 주권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13장 계속 14장 계속 15장 대의원 혹은 대표자에 대해 16장 정부설립은 결코 계약이 아니다 17장 정부설립에 대해 18장 정부의 월권을 방지하는 수단 pp.72-78. (..

『사회계약론』 「2권」 논평

일반의지에서 개별의지의 차이의 합에 대한 이해 루소는 사회계약론 2권 3장에서 일반의지(volonté general)를 모두의 의지(volonté de tout)와 다음과 같이 구별한다. “일반의지는 오직 공동이익에 몰두한다. 모두의 의지는 사적인 이익에 몰두하며 개별의지(volonté particulière)의 합일 뿐이다. 그런데 이 개별의지들에서 서로 상쇄되는 더 큰 것들과 더 작은 것들을 빼면, 차이들의 합계로 일반의지가 남는다.”(39) 여기서 일반의지는 개별의지들을 더하고 뺀 결과처럼 보인다. 그러나 정말 일반의지가 단순히 개별의지들의 덧셈 뺄셈에 불과할 경우, 루소의 정치사상에서 “정치체에 구성원들에 대한 절대적 권력”(41)인 주권을 지휘하는 일반의지는 정치체와 구성원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루소(1762), 「2권」, 『사회계약론』

아래 내용에는 근대서양정치사상(서울대학교 2022-1 김주형) 강의 및 토론 내용, 역자주(장-자크 루소, 김영욱 역, 『사회계약론』, 후마니타스, 2018), 개인적 생각 등이 섞여 있음 1장 주권은 양도될 수 없다 2장 주권은 분할될 수 없다 3장 일반의지가 틀릴 수 있는가 4장 주권의 한계에 대해 5장 생살권에 대해 6장 법에 대해 7장 입법자에 대해 8장 인민에 대해 9장 계속 10장 계속 11장 여러 가지 입법체계에 대해 12장 법의 분류 p.35. (1장) “앞서 확립한 원리들에서 가장 먼저 도출되며 또한 가장 중요한 귀결은, 일반의지만이 국가 설립 목적인 공동선에 따라 국가의 힘을 통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권은 일반의지의 행사일 뿐이기에 결코 양도될 수 없으며, 주권자는 집합적 존재일..

Liezl(2013) 전반부 논평

Liezl(2013)은 옳은 행위에 관한 덕윤리적 설명 중 하나인 Hursthouse의 자격 있는 행위자(qualified-agent account) 설명을 소개하면서 그것이 어떻게 다른 윤리학적 설명과 구별되는지를 보이기 위해 비극적 딜레마에 대한 그것의 대응을 서술한다. 본 논평문에서는 1절에서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이 무엇이고, 그것이 비극적 딜레마에 어떻게 대응하며, 이를 통해 드러나는 그것의 특징을 살펴본다. 2절에서는 1절에서의 덕윤리적 대응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어떻게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의 장점을 계속 살려 나갈 수 있을지 검토해본다. 1. 비극적 딜레마에 대한 덕윤리적 대응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은 옳은 행위를 어떤 상황에서 덕스러운 행위자가 특징적으로 수행할 행위로 정의한다. ..

Liezl(2013), “Virtue ethics and right action”, The Cambridge Companion to Virtue Ethics

0. Introduction (172-174) 1. A Qualified-Agent Account (174-181) 2. Agent-Based Virtue Ethics (181-187) 3. A Target-Centered Account (187-192) 4. Conclusion (192-194) Introduction “It seems [...] every normative theory should say something about right (and wrong) action. An account of right action is supposed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at, if anything, do all right actions have in common?’ ..

Taylor(2003), “Pleasure: Aristotle’s Response to Plato”, Plato and Aristotles’s Ethics

(본래 절 구분이 없는 글) (0. Introduction) (240-243) (1. Replenishment Model) (243-246) (2. Problems of Replenishment Model) (246-248) (3. Aristotle’s account of pleasure) (248-251) (4. Problems of Aristotle’s account) (252-255) (5. Interpretations of Aristotle’s account) (255-264) Introduction “Aristotle’s discussion of pleasure has two main functions. First, he has to rebut arguments which purport to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