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153

Korsgaard(2008), “From Duty and for the Sake of the Noble", The Constitution of Agency

0. Introduction (174-176) 1. Acting from Duty (176-187) 2. Acting for the Sake of the Noble (187-196) 3. Acting from Natural Inclination (196-206) Introduction “Kant claims that a person who helps others with pleasure from motives of natural sympathy displays no moral worth, while a person who lacks any natural inclination to help others but nevertheless does so, from the motive of duty, does di..

Zwolinski and Schmidtz(2013), “Environmental Virtue Ethics”, The Cambridge Companion to Virtue Ethics

1. Act and Character, Principle, and Rule 2. Repugnant Conclusions: A fundamental Challenge for Environmental Ethics 3. Is there Another Way of Doing Moral Theory? 4. Note on Contributing to Overpopulation 5. Intuition and Theory 6. Summary pp.221-224. (Act and Character, Principle, and Rule) 1) consequentialism : “right action is the one that does as much good as possible” 2) deonotolgy : “an a..

Cafaro(2015), “Environmental Virtue Ethics”, The Routledge Companion to Virtue Ethics

1. Introduction (427) 2. Development of the Field (427-430) 3. Three Criticisms (430-434) 4. Rights in an Environmental Virtue Ethics (434-436) 5. Foundations (436-438) 6. Recent Work and Prospects (438-442) p.427. (Introduction) “Call virtue ethics that branch of ethics focused on issues of character, excellence and human flourishing.” *덕 윤리의 느슨한 정의 1) “intrinsic value or moral considerability ..

루소(1762), 「1권」, 『사회계약론』

아래 내용에는 근대서양정치사상(서울대학교 2022-1 김주형) 강의 및 토론 내용, 역자주(장-자크 루소, 김영욱 역, 『사회계약론』, 후마니타스, 2018), 개인적 생각 등이 섞여 있음 1장 1권의 주제 2장 초기사회에 대해 3장 강자의 권리에 대해 4장 노예제에 대해 5장 언제나 첫 번째 합의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6장 사회계약에 대해 7장 주권자에 대해 8장 정치상태에 대해 9장 대물소유권에 대해 p.10. (1권 들어가기) “나는 인간은 있는 그대로 두고 법은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정치질서에 정당하고 확실한 운영원칙이 있을 수 있는지 따져 보고자 한다. 나는 이 연구 내내 권리가 허용하는 것과 이익이 명령하는 것을 결합하려 애쓸 것인데, 그래야 정의와 유용성이 결코 분리되지 않을 ..

루소(1762), 표지 및 일러두기, 『사회계약론』

아래 내용에는 근대서양정치사상(서울대학교 2022-1 김주형) 강의 및 토론 내용, 역자주(장-자크 루소, 김영욱 역, 『사회계약론』, 후마니타스, 2018), 개인적 생각 등이 섞여 있음 표지 Du Contrat Social ou Principes du Droit Politique *societé : 루소는 『불평등기원론』에서 인간의 보편적 사회성을 부정하고, 사회의 진보에 쉽게 지워지지 않는 회의의 낙인을 찍음. [...] 그가 그렇게 하는 것은, 사회를 구성주의적으로 바라보기 위해서이고, 이를 통해 현 사회의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관점을 얻기 위해서. 사회는 당연한 것도 아니고, 저절로 진보하지도 않음. 인간이 사회를 통해 많은 것을 얻었다면, 우리가 겪고 있는 모든 불행 또한 거기에..

이남인(2004), 「4쇄에 부쳐/머리말/들어가는 말」, 『현상학과 해석학』

4쇄에 부쳐 머리말 들어가는 말 4쇄에 부쳐 : 출간 이후 저자와 학자들 사이의 토론 소개, 토론된 논의의 확장 가능성, 감사 인사 머리말 : 저자가 책의 주제를 다루게 된 계기, 책에 일부·전체가 수록된 저자의 논문, 책의 목표(+한계 명시), 책의 의의, 연관 주제를 다루는 장래 출간 계획, 번역 용어 언급, 감사 인사 들어가는 말 : 연구 주제의 중요성, 기존 연구 동향, (비판하고자 하는) 기존 연구 검토, 비판의 대상 명시, (앞선 연구와 대립하는) 기존 연구 검토, 기존 연구 간 대립과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 (비판하고자 하는) 기존 연구의 문제 비판, 비판한 문제를 극복하는 저자의 방법론(전제)/연구방법/입장, 방법론 해명, 책의 목표(비판, 과제, 의의, 초점), 책의 구성 ix. (4쇄에..

김인곤(2002), 「아낙시만드로스의 아페이론」, 『시대와 철학』 13

(서론) Ⅰ. (“아페이론은 어떤 의미에서 스토이케이온인가?”) Ⅱ. (“아페이론은 어떤 경우에 스토이케이온과 어울리는가?”) Ⅲ. (“아낙사고라스의 ‘섞인 것’은 어떤 의미에서 아페이론인가?”) Ⅳ. (“4원소들의 상호 변화는 왜 스토이케이온으로서 아페이론을 요구하는가?”) Ⅴ. (“아페이론은 도대체 어떤 것인가?”) 서론 : 아낙시만드로스의 자료 정황, 아리스토텔레스와 테오프라스토스의 증언과 문서적 문제, 논문의 목표, 심플리키오스의 진술(아낙시만드로스 직접인용문), 논문의 작업 범위, 심플리키오스 진술의 내용 Ⅰ장 : ‘아르케’의 의미, ‘스토이케이온’의 의미, 아페이론을 스토이케이온이라고 하는 것의 부자연스러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A편 참고를 통한 이해 Ⅱ장 : 자연철학자들의 통찰을 통..

이종우(2018), 「범주적 직관과 범주적 재현 이론」, 『현상학과 현대철학』 79

1. 들어가며 2. 파악과 직관 3. 범주적 직관 4. 범주적 파악내용 5. 범주적 재현 이론에는 문제가 있는가? 5.1. 투겐트하트의 견해 5.2. 로마의 견해 5.3. 『경험과 판단』에서의 범주적 재현 이론 6. 나오며 1장 : 논문의 목표, 문제 상황과 기존 연구, 논문의 주장, 논문의 의의, 논문의 전개 순서 2장 : 지향적 체험(작용), 지향적 본질(intentionales Wesen)/내용(Inhalt), 지향적 질료(Materie)와 지향적 성질(Qualität), 파악(Auffassung)/재현(Repräsentation), 파악내용/재현자(Repräsentant), 파악의 존재, 파악과 파악내용과 지향적 대상의 구별, 직관적 작용(더 직관적~덜 직관적)과 비직관적 작용(표의적(signit..

김남두(2002), 「아낙시만드로스와 서양적 자연이해의 맹아」, 『철학사상』15

1. (서론) 2. (밀레토스 학파와 아낙시만드로스의 자료) 3. (아낙시만드로스의 자료) 4. (아낙시만드로스의 자료의 해석) 4-1. (포퍼의 해석) 4-2. (연구자들의 해석) 5. (필자의 해석과 결론) 1장 : 동양과 서양의 구분(문화적 경계), 서양의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물음, 논문의 주장, 논문의 주장에 대한 비판(문화전통 내 구분, 문화전통의 시기별 상이성), 논의의 출발점(문화적 정체의식과 그 근원), 논의의 발판(칼 포퍼), 실정성 개념 언급, 논문의 전개 순서 2장 : 아낙시만드로스(밀레토스 학파)의 작업과 그 성격, 아낙시만드로스(밀레토스 학파) 자료의 실정, 아낙시만드로스 자료의 구분, 아낙시만드로스 자료 해석 순서 3장 : 무한정한 것(아페이론)과 대립자들, 우주론: 세계의 형..

강철웅(2016), 「머리말: 설득과 비판, 그 진지한 유희」, 『설득과 비판』

(서론) 초기 희랍의 철학 담론 전통 설득과 비판 아곤 반성과 대화 진지한 유희 서론 : 책의 목표, 통상의 철학사 작업과 같은 점, 통상의 철학사 작업과 다른 점(책의 고유한 작업 방식), 서양고대철학자들의 이중적 대화(외적 대화, 내적 대화) 초기 희랍의 철학 : 철학사 최초 단계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 소개(‘초기 희랍 철학’,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에 대한 비판과 옹호, ‘초기 희랍 철학’을 선호하는 이유, 초기 희랍 철학의 앞뒤 경계(시인, 소피스트) 포괄과 그 이유 담론 : 우리말 ‘담론’, ‘담’(뮈토스 - 신화)과 ‘론’(로고스 – 논변, 합리적 설명), ‘담론’이라는 용어 사용을 통한 저자의 기대 전통 : 우리말 ‘전통’, 서양어 ‘traditio’, ‘전통’..